•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줄기세포, 안전" vs "검증 더 필요"…전문가 찬반토론

등록 2019.09.20 15:00:00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복지부·보건산업진흥원, 제4회 '헬스케어 미래포럼'

【서울=뉴시스】 이윤청 기자 = 의료민영화저지범국민운동본부, 무상의료운동본부가 16일 서울 여의도 국회 정문 앞에서 집회를 열고 의료민영화법안 폐기를 촉구하고 있다. 2019.07.16. radiohead@newsis.com

【서울=뉴시스】 이윤청 기자 = 의료민영화저지범국민운동본부, 무상의료운동본부가 16일 서울 여의도 국회 정문 앞에서 집회를 열고 의료민영화법안 폐기를 촉구하고 있다. 2019.07.16. [email protected]

【세종=뉴시스】임재희 기자 =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은 20일 첨단재생의료(줄기세포)를 안전한 치료기술로 발전시키는 방안을 놓고 찬반 토론을 열었다.

복지부와 진흥원은 4월부터 바이오헬스 관련 다양한 쟁점에 대한 찬반 토론을 통해 산업 육성을 위한 정책방향을 모색하고 합의점을 찾아가고 있다. 헬스케어 미래포럼은 이번으로 4회째다.

이날 오후 3시부터 여의도 글래드 호텔에서 열리는 4회 포럼은 '첨단재생의료(줄기세포)-안전하고 믿을 수 있는 치료기술로의 발전방안 모색'이 주제다. 내년 8월28일 '첨단재생의료 및 첨단바이오의약품 안전 및 지원에 관한 법률'(첨단재생바이오법) 시행을 앞두고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는 첫 공론의 장이기도 하다.

인하대 재생의료전략연구소 박소라 센터장은 '첨단재생바이오법 제정 의의와 미래 방향'을 주제로 법안의 주요 내용과 환자와 산업에 미칠 영향, 향후 재생의료 분야 미래전망과 우리의 정책방향에 대해 제언했다.

김현철 이화여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는 '재생의료 연구의 규제체계와 해외 현황'을 주제로 미국의 유전자치료 연구 규제사례 등을 소개하고, 규제정책 수립시의 시사점 등을 강조했다.

이어진 정책 토론에선 '첨단재생의료, 안전하고 믿을 수 있는 치료기술 대 아직은 많은 검증이 필요한 치료기술'을 주제로 찬반 진영으로 나뉘어 토론이 펼쳐졌다.

복지부 노홍인 보건의료정책실장은 "헬스케어 미래포럼이 4회째를 맞이하면서 바이오헬스 분야에서 대중과 적극 소통하는 새로운 정책 공론의 장이 형성되고 있다"며 "제도 시행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의견들을 적극 수렴하여 정책 수립에 반영하겠다"고 말했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