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26일 총파업 앞둔 서울 버스노조 "임금동결, 사실상 삭감"

등록 2022.04.21 17:27:17수정 2022.04.21 18:15:44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자동차노련, 파업 찬반투표에 따라 총파업 가결해

오는 25일 쟁의조정 절차 기한 앞둬…결렬 시 파업

서울시내버스노조 "사측 '개악안' 받아들일 수 없어"

[서울=뉴시스] 추상철 기자 = 서울시버스노동조합의 '임금인상 승리쟁취 총파업 투쟁 결의대회'가 열린 21일 오후 서울 송파구 교통회관 앞에서 노조원들이 구호를 외치고 있다. 2022.04.21. scchoo@newsis.com

[서울=뉴시스] 추상철 기자 = 서울시버스노동조합의 '임금인상 승리쟁취 총파업 투쟁 결의대회'가 열린 21일 오후 서울 송파구 교통회관 앞에서 노조원들이 구호를 외치고 있다. 2022.04.21.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신재현 기자 = 서울 시내버스 노조가 오는 26일 총파업을 예고한 가운데 21일 결의대회를 열어 단체교섭 파행을 규탄했다. 이들은 임금 동결로 인해 사실상 임금이 삭감됐다고 주장하며 총파업 배경을 설명했다.

전국자동차노동조합연맹(자동차노련) 서울시버스노동조합은 이날 오후 3시15분께부터 사용자단체 사무실이 있는 서울 송파구 교통회관 앞에서 총파업 결의대회를 열었다. 집회 측 추산 700여명의 조합원이 이날 대회에 참여했다.

올해 단체교섭 경과보고를 발표한 한상덕 중앙노사교섭위 위원장은 사측이 임금 인상 및 제도 개선에 대한 요구안을 받아들이지 않아 교섭 파행이 이어지고 있다고 비판했다.

한 위원장은 "사용자 측이 제 6차 교섭에서 임금 동결, 무사고포상금 3개월 단위로 변경, 입원 및 골절환자 20일 유급처리 조항 삭제 등 '개악안'을 제출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지난 5일 제 7차 교섭에서도 사측이 기존 입장을 유지함에 따라 더 이상의 자율적인 교섭이 불가능하다고 판단해 교섭 결렬을 선언하고 지난 8일엔 노동쟁의 조정 신청서를 제출했다"고 덧붙였다.

앞서 서울지방노동위원회에서 1차 조정회의가 열려 노조와 사측이 의견서를 제출했지만 아직까지 노사 간 이견이 좁혀지지 않고 있다.

박점곤 서울시버스노조 위원장은 "지난해와 올해 물가상승률을 합하면 6.3%에 달하지만 지난해 우린 이웃의 아픔, 지방버스 노동자들의 아픔을 나누기 위해 임금 동결이란 결단을 내렸다"고 전했다.

이어 "이젠 필수 노동자로서 코로나 위험을 온몸으로 견뎌야 했던 우린 합리적 보상을 받아야 한다"며 "실질적인 임금 삭감인 임금 동결은 더 이상 받아들일 수 없다"고 강조했다.

자동차노련이 속해 있는 한국노동조합총연맹(한국노총)의 김동명 위원장도 결의대회에 참석해 정부와 사업주의 무책임한 태도와 행위를 규탄했다.

김 위원장은 "운수 노동자들이 붕괴된 노선버스에 관한 대책을 정부와 지방 정부에 요구했으나 이들을 실질적인 대책 수립을 위한 제도적, 법적 마련 대신 방관으로 일관했다"고 말했다.

아울러 "사업주는 경영이 악화됐다면서 사실상 임금 삭감인 임금 동결과 유급휴직 축소 등 합의 불가능한 내용을 임금 협상 때마다 들고 나왔다"며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한편, 자동차노련에 따르면, 지난 18~19일 진행된 파업 찬반투표에 3만9189명의 버스운전기사가 참여해 96.3%의 압도적 찬성으로 총파업이 가결됐다.

이번 투표에는 서울, 부산, 대구, 광주, 경기, 전북, 전남, 경남, 충북, 창원 등 모두 10개 지역이 참여했고 대부분 90% 이상 찬성률을 보였다. 오는 25일 쟁의조정 절차 기한까지 최종 교섭에 실패하면 26일부터 파업이 시작된다.

파업에 참여하는 조합원은 약 4만5000명으로, 버스 약 2만대가 운행을 중단하게 된다. 서울은 7235대가 파업에 참여한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