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유행따라 중환자 병상은 '고무줄 증감'…"항상 대비해야"

등록 2022.06.13 21:44:24수정 2022.06.13 21:51:42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급격한 동원 명령…병상·인력 부족 심각"

유행정점 중증병상 2825개→최근 1536개

"지역 불균형 해소·치료 우선순위 정해야"

[서울=뉴시스]코로나19 오미크론 대유행으로 중환자실 가동률이 수도권 55.7%, 비수도권 70%에 육박한 지난 3월8일 오전 코로나19 거점전담병원인 서울 광진구 혜민병원 음압병동에서 의료진이 병실 모니터링을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DB) 2022.06.13. scchoo@newsis.com

[서울=뉴시스]코로나19 오미크론 대유행으로 중환자실 가동률이 수도권 55.7%, 비수도권 70%에 육박한 지난 3월8일 오전 코로나19 거점전담병원인 서울 광진구 혜민병원 음압병동에서 의료진이 병실 모니터링을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DB) 2022.06.13. [email protected]

[세종=뉴시스]이연희 기자 = 코로나19 유행이 안정화되면서 당장 필요한 병상이 줄었지만 재유행 또는 신종감염병 위협이 있을 때 언제든 가동할 수 있는 1인실·격리실을 확보해야 한다는 의료계 주장이 제기됐다.

13일 뉴시스 취재를 종합하면 박성훈 한림대학교성심병원 호흡기알레르기내과 교수는 전날 대한의사협회가 연 '포스트 코로나(Post Covid-19) ; 오미크론 대유행 이후 코로나19 미래와 대책 세미나'에서 "상시적인 일반·감염병 중환자 치료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를 위해 중환자 인력과 시설, 장비 등 인프라를 확충하면서 전국의 개별 상급종합병원의 수준을 상향 평준화하고 이를 위해 정부의 공적 투자와 지원, 규제가 필요하다고 봤다.

정부는 국내 코로나19 유입 이후 유행 상황에 따라 병상 수를 늘렸다가 줄이기를 반복하고 있다. 유행이 커질 때마다 병상을 급격히 늘릴 때면 병실·인력을 동원하느라 시간이 소요되기도 했다. 델타변이가 유행하기 시작한 지난해 11~12월에는 확진자 병상이 부족해 하루 이상 입원을 대기하는 환자들이 쏟아져 나오기도 했다.

박 교수는 "(그간) 급격한 동원 명령으로 인한 일반 중환자실 병상이 부족하고, 코로나19 중환자 간호인력을 확보하느라 기존 중환자실을 축소 운영하는 문제가 있었다"고 지적했다.

중환자 병상은 올해 오미크론 대유행 전인 1월말에는 1000개 수준이었으나 정점 직후인 3월23일부터 4월18일까지 최대 2825개의 중환자실을 운영하며 2.8배로 늘었다. 이후 유행이 안정됨에 따라 13일 0시 기준 1537개로 다시 감축했다.

코로나19가 아니더라도 신종감염병의 발생 주기가 빨라지고 있다는 점도 변수다. 최소 32개국으로 확산하고 있는 원숭이두창 역시 2급 법정감염병으로서 7일간 격리가 필요한 감염병이다. 입원이 필요한 경우 격리병상에서 치료를 받게 된다.

박 교수는 "많은 병원의 중환자실이 개방식인데 1인실과 격리실, 준중환자실을 준비해서 대유행 시에 감염병 중환자가 생기더라도 빠르게 전환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중환자 전담인력이 하루나 한두 달 안에 생기지 않기 때문에 경력직 등을 미리 준비하는 등 대유행 시에 동원 가능한 의료진을 확보해야 한다"고 말했다.

지역간 중환자 의료 인프라의 불균형 해소, 중환자 치료 우선순위에 대한 논의 필요성도 제기됐다. 지역별 1등급 중환자실을 갖춘 상급종합병원과 종합병원을 살펴보면 총 64개 중 서울에 21곳, 경기 18곳 등 39곳(60.9%)이 수도권에 쏠려있다.

박 교수는 "재난상황에서 입·퇴실 기준과 중환자실 치료 우선순위를 재정립하는 사회적 합의와 법제화가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