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이주호 "초·중·고 수학 논술형 평가 확대"…'심화수학 제외' 논란 일축

등록 2024.01.05 18:01:00수정 2024.01.05 18:25:30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올해 중 수학교육 종합계획 수립…내년부터 적용"

오늘 함께 차담회 갖고 수학교사 9명 만나 간담회

심화수학 배제에 수학계에서 "수학교육 약화" 우려

[서울=뉴시스] 정병혁 기자 = 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이 5일 서울 영등포구 한국교육시설안전원에서 열린 제5회 함께 차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사진=교육부 제공) 2024.01.05.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정병혁 기자 = 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이 5일 서울 영등포구 한국교육시설안전원에서 열린 제5회 함께 차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사진=교육부 제공) 2024.01.05. [email protected] *재판매 및 DB 금지


[세종=뉴시스]김정현 기자 = 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5일 초·중·고 논·서술형 평가 확대를 비롯한 수학교육 종합계획을 연내 내놓겠다고 밝혔다.

2028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심화수학 제외로 인한 '수학교육 약화' 우려는 거듭 일축하면서 공교육에서 학생들의 사고력을 키우겠다고 설명했다.

이 부총리는 이날 오후 서울 영등포구 한국교육시설안전원에서 현장 수학 교사 9명이 참여한 '함께 차담회'를 갖고 "제4차 수학교육 종합계획을 올해 중으로 수립해 내년부터 적용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했다.

이 부총리는 "초·중등학교(초·중·고)의 수학교육이 더 이상 대입을 위한 문제풀이 과목이 아니라 AI(인공지능) 시대에 반드시 필요한 흥미로운 교과가 되도록 하겠다"며 "학생들의 사고력을 키워줄 수 있도록 획기적으로 변화 시켜 나가고자 한다"고 취지를 밝혔다.

그는 "학생들의 수학적 사고력과 문제 해결력 등 수학 역량을 평가하는 과정 중심 평가와 논·서술형 평가를 확대하겠다"며 "교원 역량 강화를 위한 대대적인 연수 등을 추진할 것"이라고 했다.

교육부는 오는 2025년 도입 예정인 AI 디지털교과서를 통해 학생의 수준에 맞는 자기 주도적 수학 교육을 강화할 방침이다. 도형과 그래프의 개형을 그려주는 프로그램 '알지오매스' 등 콘텐츠도 개발·보급한다.

아울러 교사의 교수학습 모델을 개발·보급해 올해 예비 중학교 3학년이 고등학교에 진학하는 내년부터 도입될 '2022 개정 교육과정'의 안착을 도울 계획이다.

이 부총리는 수능 심화수학(미적분Ⅱ·기하) 제외로 인해 수학계에서 기초소양 저하 우려가 제기된 데 거듭 "사실과 다르다"고 선을 그었다. '2022 개정 교육과정'이 미적분과 기하의 기초 개념을 충실히 가르치도록 짜여 있고 대학도 평가가 가능하다고 거듭 밝혔다.

이 부총리는 "미래사회를 대비하기 위해서는 학생들이 수리적 소양을 바탕으로 창의성과 융합적 사고력을 길러 나가야 한다"며 "그러나 우리 수학교육은 여전히 입시 위주, 문제 풀이 중심으로 왜곡돼 학생들에게 과도한 학습 부담과 사교육을 유발했다"고 했다.

그는 "(그간의 수학교육은) 학생들이 수학에 대해 흥미를 잃게 만들었다"며 "학생들의 창의성과 사고력 발달을 어렵게 하는 문제가 있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학생 간 학습 격차가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평균보다 높고 격차가 날로 증가하고 있다"며 "수학 과목에 대한 사교육비 역시 매우 높다"고 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