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자폐, 조현병, 치매···다양한 뇌·신경질환 잡는다"

등록 2021.01.05 10:03:06수정 2021.01.05 10:15:16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한국뇌연구원, 성인 뇌 기억력 유지 기전 규명

왼쪽부터 카이스트 이준혁 제1저자·정원석 교신저자, 한국뇌연구원 박형주 교신저자·김지영 제1저자

왼쪽부터 카이스트 이준혁 제1저자·정원석 교신저자, 한국뇌연구원 박형주 교신저자·김지영 제1저자


[대구=뉴시스] 박준 기자 = 성인의 뇌가 기억력을 유지하는 기전이 밝혀졌다.

한국뇌연구원 신경·혈관단위체연구그룹 박형주 책임연구원과 김지영 연구원은 한국과학기술원(KAIST) 생명과학과 정원석 교수, 이준혁 연구원과 함께 '새로운 뇌 항상성 유지 기전'에 기반한 기억 형성 원리를 처음으로 규명했다고 5일 밝혔다.

이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지 '네이처'에 지난해 12월23일 게재됐다.

사람의 뇌에서 기억을 담당하는 부분은 해마다. 성인 해마에서는 학습 및 기억 형성 중에 기존의 시냅스는 사라지고 새로운 시냅스가 생기는 시냅스 재구성이 활발히 일어난다.

그러나 어떻게 시냅스가 사라지고 이러한 시냅스 제거가 학습과 기억과정 중에 어떠한 역할을 수행하는지는 알려져 있지 않았다.

 연구팀은 신경교세포 중 가장 숫자가 많은 별아교세포가 발생시기 때 시냅스를 먹어서 없앤다는 선행 연구결과에 착안, 성체 뇌에서도 별아교세포가 불필요한 시냅스를 제거함으로써 학습 및 기억에 중요한 해마 내 흥분성 시냅스 및 회로를 유지한다는 사실을 증명했다.

이제까지 신경교세포의 시냅스 포식 현상은 전자 현미경 또는 시냅스 염색법을 사용해 확인했다. 하지만 기존의 방법은 신경교세포에 의해 먹힌 시냅스가 세포 내 산성 소화기관에서 급속히 분해되기 때문에 잔여 시냅스를 표시하고 관찰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연구팀은 시냅스에 산성화 감지가 가능한 형광단백질 조합(m체리-eGFP)으로 구성된 바이러스 기반 시냅스 포식 리포터를 개발했다.

또 새로 개발한 방법을 이용해 기존의 방법으로는 관찰할 수 없었던 현상인 별아교세포가 성인 해마에서 시냅스를 지속적으로 제거하며 특히 흥분성 시냅스를 더 많이 제거하고 있음을 발견했다.

'뇌의 면역세포'라고 불리는 미세아교세포보다 별아교세포가 주도적으로 정상 해마의 흥분성 시냅스를 제거하고 있음도 확인해 미세아교세포가 시냅스를 제거하는 주된 세포라는 기존 학설과는 다른 결과를 얻었다.

미세아교세포를 제거했을 때는 시냅스의 수가 변하지 않았지만 해마의 별아교세포가 시냅스를 먹지 못하도록 억제했을때 비정상적인 시냅스가 과도하게 급증가하고 정상적인 해마 뇌 회로의 기능과 기억형성이 저해된다는 것을 처음으로 관찰했다.

연구팀은 유전자 변형을 통해 생쥐의 별아교세포의 시냅스 포식 작용을 저해하면 해마 내 시냅스 연결 가소성과 기억 형성에 문제가 생김을 발견했다. 이는 불필요한 시냅스들을 별아교세포가 제거하지 않는다면 정상적 학습과 기억 능력이 유지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연구팀은 이 연구성과로 별아교세포에 의한 성인 뇌의 흥분성 시냅스 재구성이 정상적 신경회로망 유지 및 기억 형성에 필수적인 기전임을 최초로 제시했다.이 기전은 향후 뇌기능 및 관련 신경 회로의 항상성 유지에 관한 다양한 연구들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팀은 "비정상적인 수준의 시냅스 수 변화는 자폐, 조현병, 전 측두엽 치매 등 다양한 신경질환의 유병률과 연관성이 높다"며 "시냅스 수를 다시 정상으로 회복하기 위해 별아교세포가 시냅스를 먹는 현상을 조절하는 것이 이들 뇌 질환을 치료하는 새로운 전략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삼성미래기술육성재단,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뇌원천기술개발사업, 한국뇌연구원 기관고유사업 등의 도움을 받아 이뤄졌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