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MB정부 경찰 여론조작' 사건, 경찰청서 수사한다

등록 2018.03.21 16:32:07수정 2018.03.21 17:10:13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서울=뉴시스】 '안보관련 인터넷상 왜곡정보 대응 방안' 문건.

【서울=뉴시스】 '안보관련 인터넷상 왜곡정보 대응 방안' 문건.

경찰청 보안과 작성 내부문건 공개
참여연대 "사안 중대성 크다" 고발

【서울=뉴시스】나운채 기자 = 이명박정부 시절 경찰이 불법 여론 조작과 정치개입을 했다는 의혹을 제기한 시민단체 고발 사건 수사가 경찰청에서 이뤄진다.

 서울중앙지검은 참여연대가 조현오 전 경찰청장, 김용판 전 서울경찰청장 및 당시 보안국 관계자 등을 직권남용 혐의로 고발한 사건을 경찰청에서 수사하도록 지휘했다고 21일 밝혔다.

 앞서 지난 13일 더불어민주당 이재정 국회의원이 입수한 경찰 내부 문서에 따르면, 2011년 당시 경찰청은 보안요원뿐만 아니라 총 23개 보수단체 회원 7만여명을 여론 조작에 동원할 계획을 수립했다.

 경찰청 보안2과에서 2011년 4월18일 특별취급 인가를 받고 만든 '안보 관련 인터넷상 왜곡정보 대응 방안' 문건에는 국가안보 관련 인터넷 이슈 발생 시 악의적·편파적인 정보전달로 인한 사실 왜곡 대응 일환으로 사안에 따라 1~3단계별 대응 방안이 적시됐다.

 ▲1단계는 보안사이버수사요원 88명을 동원해 대응 ▲2단계는 전 지방청·경찰서 보안요원 전원(1860명) 투입해 대응 ▲3단계서는 보안요원 전원과 인터넷 포털사이트에 개설된 보수단체 회원 7만7917명이 대응한다는 등 내용의 방안이다.

 이에 참여연대는 당시 조 전 청장 등이 경찰청 보안국과 민간 보수단체를 동원해 정부 비판 여론에 대응하기 위한 온라인 게시물 작성 등을 실행케 했다고 주장, 지난 15일 서울중앙지검에 이들을 고발했다.

 참여연대는 "법과 질서를 수호해야 할 경찰이 직접 국민을 상대로 여론을 조작했다"라며 "불법 행위의 직접적 수행자였다는 점에서 사안의 중대성이 크다"라고 강조했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