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ICT·IoT·드론으로 대국민서비스 빠르고 편하게

등록 2018.11.04 12:00:00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ICT·IoT·드론으로 대국민서비스 빠르고 편하게

【서울=뉴시스】배민욱 기자 = 대국민 서비스 분야에서 정부의 일하는 방식이 바뀌고 있다.

4일 행정안전부(행안부)에 따르면 공공기관을 직접 방문해 산더미 같은 서류를 제출해야했던 불편이 줄고 있다. 정보통신기술(ICT)을 적극 활용해 업무처리가 종이문서 제출에서 온라인 접수·처리 시스템으로 전환됐다. 서류제출 비용, 방문시간 등 사회적 비용과 국민 불편이 줄었다.

사물인터넷(IoT), 챗봇, 드론 등 스마트 기술 현장 도입으로 대국민 서비스 제공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지능형 지방세 상담(상담봇), 지자체 여권민원 대응(뚜봇), 생활법률지식서비스 제공(버비) 등 인공지능 챗봇으로 365일 24시간 시간·장소 구애 없는 민원상담을 한다.

소화전 내부에 IoT센서를 달아 소화전 결빙, 인근불법 주정차 문제 등을 원격 관리한다. 드론 활용으로 지적재조사 사업 실시, 광범위한 현장에 대한 산불감시, 취약지역 순찰, 문화재 발굴 추진이 진행됐다.

또 실시간 신속한 현장행정이 더욱 확산되고 있다. 서울·전국 지역지식재산센터 9곳에서 기관 방문 없이 민원인과 심사관간에 온라인 영상으로 직접 자료를 보며 실시간 소통을 할 수 있다.

단계적 영상회의 연결방식을 통해 중앙부처에서 지자체 읍·면·동 공무원들까지 정부 정책과 현장상황을 신속하게 공유·확산할 수 있다. 노트북·태블릿·모바일로 장·차관, 실·국장 등 간부들이 국내·외 현장을 방문하면서도 의사결정이 가능하도록 해 언제 어디서나 신속한 업무처리를 가능하게 했다.

정부는 앞으로도 불필요한 민원서류 폐기·통폐합의 지속 추진과 전자적 민원접수·처리, 부처간 정보 공동활용 협업 등 업무프로세스 단축·효율화를 통해 원스톱 정부 구현을 중점 추진할 방침이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