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서울시, IoT센서-AI택시-버스와이파이로 스마트시티 구현

등록 2019.03.13 10:00:00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박원순, 13일 6대 분야 빅데이터 기반 '스마트시티 서울 추진계획' 발표

'도시·행정 데이터+신기술+민관협치'로 시민일상 혁신 1조4천억 투입

【서울=뉴시스】

【서울=뉴시스】

【서울=뉴시스】박대로 기자 = 서울시가 그간 구축한 세계 최고 수준의 정보통신기술과 그간 누적된 도시·행정 자료에 사물인터넷(IoT), 블록체인 등 4차 산업혁명 핵심기술을 결합해 '스마스시티'를 구현하겠다고 13일 선언했다.

박원순 시장은 이날 오전 서울시청 대회의실에서 '스마트시티 좌담회'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의 '스마트시티 서울 추진계획'을 발표했다. 2022년까지 1조4000억원을 투자해 서울을 '빅데이터 수도'로 만들겠다는 취지다.

2022년까지 서울 전역에 5만개 사물인터넷 감지기(센서)가 설치된다. 감지기는 도시현상(미세먼지, 소음, 바람, 야간 빛 세기 등)과 시민행동(유동인구, 차량이동 등) 자료를 수집한다.

5만개 감지기에서 수집된 자료를 비롯해 시가 보유 중인 행정자료(518종 행정시스템)를 한 곳에서 저장·분석·활용하는 '공공 빅데이터 통합 저장소'가 연내 구축된다.

공공 빅데이터 통합 저장소는 원천자료를 저장하는 기능을 넘어 어떤 자료를 어느 분야에 활용할지를 정하기 위해 분류·표준화하는 역할도 한다.

시는 금융, 유통, 포털, 통신 등 민간 빅데이터와 융·복합해 공동활용할 수 있도록 공공-기업-시민이 참여하는 '민·관 공동 빅데이터 플랫폼'을 내년까지 구축한다. 아직 초기 단계인 국내 빅데이터 산업 생태계를 활성화하고 빅데이터의 활용가치를 극대화할 계획이다.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해 질문에 자동으로 답변하는 '챗봇(chatbot)' 기능이 올해 120다산콜 상담업무(문자)에 시범 적용된다. 시는 주요 시민 관심사항을 모아 딥러닝 기술로 답변의 정확도를 높여 향후 아리수 상담, 공공서비스 예약, 평생학습 추천 등으로 확대 적용한다.

회의 참여자 음성을 문자로 실시간 변환하는 '인공지능 음성인식 회의록 시스템'이 연내 구축된다. 음성 인식률과 문자변환 정확도가 높아지면 이 기술은 인공지능 통역으로까지 확대된다.

교통 분야에서는 상암 DMC에 세계 최초로 조성 중인 '5G 융합 자율주행 테스트베드'를 비롯해 사물인터넷 기술로 실시간 주차가능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IoT 공유주차 시스템', 인공지능으로 기사-승객을 연결하는 'AI 택시'가 올해 도입된다.

AI 택시란 택시 승하차 이력과 기상, 인구통계, 상권, 대중교통 정보 등 택시수요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모두 더해 실시간 택시수요를 예측하는 기술이다. 기사와 가까운 거리에 승객이 많은 장소가 어디인지를 차내 택시결제기 화면에서 바로 확인할 수 있다. 시는 지난해 11월부터 법인택시 5개사 380대를 대상으로 이 기술을 시범적용하고 있다. 이 기술은 성능 개선 후 서울시 전체 택시로 확대될 예정이다.

시는 25개 자치구별로 관리·운영하고 있는 폐쇄회로텔레비전(CCTV) 영상정보를 서울시, 경찰, 소방 등 기관간 서로 공동 활용하는 '스마트서울 안전센터'를 상암동 에스플렉스센터에 연내 설치·운영한다. 범죄나 화재 발생시 폐쇄회로(CC)TV 영상정보를 즉시 공유해 보다 신속하게 대응하고 안전 골든타임을 확보한다는 취지다.

횡단보도 주변 바닥에 발광다이오드(LED) 보조 신호등을 설치하는 '스마트 횡단보도'가 교차로 주변으로 확대 구축된다. 스마트폰에 열중하는 스몸비족과 초등학생, 어르신 등 교통약자의 보행안전을 강화하기 위해서다.

도시 관리도 더 똑똑해진다. 지형과 건물, 시설물 등 서울 전역의 물리적인 도시환경을 가상공간에 3차원으로 구현해 도시변화를 예측할 수 있는 '3D 기반 버추얼 서울(Virtual Seoul)'이 2021년까지 구축된다. 이 기술은 도시계획을 수립할 때, 새로 건물을 짓거나 도로를 낼 때 적용된다.

자동차 도장업체의 대기오염방지시설 가동여부를 사물인터넷 기술로 실시간 파악하는 시범사업은 올해 성동구 내 139개 업체(서울시 26.5%)에서 시작된다. 사물인터넷 기반 '스마트 플러그'가 전력 사용량을 감지해 정화시설 가동여부를 확인한다.

'스마트시티 시범단지'로 조성 중인 마곡지구에는 6월까지 공공와이파이존 109개소, CCTV 257개, 재난 예경보 방송장비 1개소 등 정보통신·안전·교통·재난관리 설비가 구축된다. 5월 정식 개원을 앞둔 '서울식물원'에는 보행자를 감지해 자동으로 빛 밝기를 제어하는 조명과 관람객 수를 실시간 확인하는 무인계수기 등 20개 설비가 도입된다.

독거노인 가정의 텔레비전과 전기밥솥 등의 전력 사용량을 감지해 일정 시간 동안 변동이 없을 경우 사회복지사에게 '방문요청'이 전송되는 실시간 돌봄이 도입된다. 올해 1000가구를 대상으로 운영되며 2022년까지 4000가구로 확대된다.

공공 와이파이가 확대된다.

시는 2022년까지 옥탑방, 고시원 등이 밀집한 주거소외지역의 노인·장애인복지관 등 1240개소에 와이파이망이 설치된다.

하루 평균 118만명이 이용하는 마을버스 50개 노선에 와이파이망이 시범 설치된다. 수요·편의성 등을 고려해 내년에는 마을버스 250개 전 노선으로 공공 와이파이가 확대된다.

시내버스도 내년까지 전체 7405대에 공공 와이파이가 설치된다. 지하철은 현재 대비 120배 빠른 속도로 이용할 수 있도록 용량이 확대된다.

아이디어 제안부터 사업화 진행까지 이뤄지는 '스마트서울 협치시스템'은 5월 열린다. 혁신기술은 있지만 상용화·사업화 실적이 없어 판로개척에 어려움을 겪는 중소·벤처기업을 위한 '혁신기술 공공 테스트베드 제공사업'은 2022년까지 455억원 규모로 추진된다. 스마트시티 관련 신산업 육성과 일자리 창출을 위해 '스마트시티 펀드'가 2022년까지 2500억원 규모로 조성된다.

김규호 서강대 교수(서울시 스마트도시위원회 위원)는 "서울시가 축적하게 될 도시데이터는 도시 내 현상들에 대한 인과관계, 상관관계에 대한 과학적 분석과 합리적 이해의 폭을 크게 넓힐 것으로 기대된다"며 "학계와 산업계에서 데이터 융합을 통해 우리의 상상을 뛰어넘는 새로운 형태의 용도들이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박원순 시장은 "서울시는 시민 일상 한 가운데에 있는 도시행정, 교통, 안전, 환경, 복지, 경제를 중심으로 한 '스마트시티 서울 추진계획'을 통해서 세계 전자정부 1위 위상을 넘어 가장 앞서나가는 빅데이터 기반 스마트시티로 도약하겠다"고 밝혔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