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부안 유천리 청자 요지, 전체 형태 고려 청자가마 첫 확인(종합)

등록 2019.06.17 17:31:49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부안군, 유천리 6구역 가마 학술자문회의·현장설명회서 밝혀

【부안=뉴시스】 고석중 기자= 17일 전북 부안 유천리(사적 제69호) 6구역 가마에 대한 현장설명회를 진만강 전북문화재연구원이 진행하고 있다. 2019.06.17. (사진=부안군 제공)photo@newsis.com

【부안=뉴시스】 고석중 기자= 17일 전북 부안 유천리(사적 제69호) 6구역 가마에 대한 현장설명회를 진만강 전북문화재연구원이 진행하고 있다. 2019.06.17. (사진=부안군 제공)[email protected]

【부안=뉴시스】고석중 기자 = 전북 부안군 유천리 청자 요지에서 전체 형태의 고려 청자가마가 최초로 확인돼 학계의 관심을 끌고 있다.

부안군은 17일, 발굴조사 중인 부안 유천리(사적 제69호) 6구역 가마에 대한 학술자문회의와 현장설명회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발굴현장은 부안 보안면 유천리 250-52번지다.
 
이번 조사는 사적지인 유천리 6구역에 대한 체계적인 보호 및 보존대책을 수립하기 위한 것으로 지난 2018년 시굴조사에서 확인된 가마와 유물퇴적구의 축조방법과 운영시기, 성격 등을 정밀하게 파악하기 위해 진행됐다.

【부안=뉴시스】 고석중 기자= 17일 전북문화재연구원이 발굴조사한 부안 유천리(사적 제69호) 6구역 가마에 대한 현장설명회가 권익현 부안군수(오른쪽 2번째) 등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되고 있다. 2019.06.17. (사진=부안군 제공)photo@newsis.com

【부안=뉴시스】 고석중 기자= 17일 전북문화재연구원이 발굴조사한 부안 유천리(사적 제69호) 6구역 가마에 대한 현장설명회가 권익현 부안군수(오른쪽 2번째) 등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되고 있다. 2019.06.17. (사진=부안군 제공)[email protected]

발굴조사는 문화재청(청장 정재숙)의 허가를 받아 지난 2월부터 (재)전북문화재연구원에서 진행했다.

진만강 전북문화재연구원에 따르면 이번에 조사된 유천리 6구역의 가마는 모두 2기로 구릉 서사면에 등고선과 직교한 방향으로 나란히 축조됐으며 가마는 약 5m 간격으로 비교적 가깝게 위치해 있다.
 
【부안=뉴시스】 고석중 기자= 17일 전북 부안 유천리(사적 제69호) 6구역 가마에 대한 현장설명회에 참석한 권익현 부안군수(오른쪽)이 진만강 전북문화재연구원의 설명을 듣고 있다. 2019.06.17. (사진=부안군 제공)photo@newsis.com

【부안=뉴시스】 고석중 기자= 17일 전북 부안 유천리(사적 제69호) 6구역 가마에 대한 현장설명회에 참석한 권익현 부안군수(오른쪽)이 진만강 전북문화재연구원의 설명을 듣고 있다. 2019.06.17. (사진=부안군 제공)[email protected]

가마는 진흙과 석재를 이용해 만든 토축요(土築窯, 진흙을 이용하여 만든 가마 )이며 가마 바닥면에는 원통형 갑발과 도지미가 불규칙하게 놓였다.

가마 2기 중 전체적인 구조가 양호하게 남아있는 1호는 전체길이 25m, 연소실 길이 1.6m, 소성실 길이 19m다.

가마 맨 끝부분에서는 석재로 만든 배연시설이 확인되며 배연시설과 맞닿아 있는 마지막 소성실 바닥면에는 여러 점의 초벌 청자가 놓여있다.

【부안=뉴시스】 고석중 기자= 17일 전북 부안 유천리(사적 제69호) 6구역 가마에 대한 현장설명회에 참석한 권익현 부안군수(오른쪽)이 진만강 전북문화재연구원의 설명을 듣고 있다. 2019.06.17. (사진=부안군 제공)photo@newsis.com

【부안=뉴시스】 고석중 기자= 17일 전북 부안 유천리(사적 제69호) 6구역 가마에 대한 현장설명회에 참석한 권익현 부안군수(오른쪽)이 진만강 전북문화재연구원의 설명을 듣고 있다. 2019.06.17. (사진=부안군 제공)[email protected]

진 연구원은 "1호 가마의 우측(남쪽)에서는 유물퇴적구가 확인되는데, 소성실 끝 칸 우측의 유물퇴적구에서는 특히 초벌 청자편이 집중적으로 쌓여 있음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이를 통해 가마온도가 가장 낮은 소성실 끝 칸을 초벌 전용으로 활용했음을 알 수 있다는 것이다.

현재까지 조사된 고려시대 청자가마에서는 강진 사당리 43호에서 초벌칸이 확인됐으나 초벌칸과 연결된 유물퇴적구에서 초벌 청자가 다량으로 조사된 예는 유천리가 최초다.

【부안=뉴시스】 고석중 기자= 17일 전북 부안 유천리(사적 제69호) 6구역 가마에 대한 현장설명회에 공개된 유물(접시, 잔, 발, 완 등)의 일상적 그릇이 대부분으로 무문·압출양각·철백화 기법의 청자다. 2019.06.17. (사진=부안군 제공)photo@newsis.com

【부안=뉴시스】 고석중 기자= 17일 전북 부안 유천리(사적 제69호) 6구역 가마에 대한 현장설명회에 공개된 유물(접시, 잔, 발, 완 등)의 일상적 그릇이 대부분으로 무문·압출양각·철백화 기법의 청자다. 2019.06.17. (사진=부안군 제공)[email protected]

이러한 구조와 비교할 수 있는 예로 조선시대 15세기 분청사기 가마 구조에서 일반적으로 확인되고 있어 가마구조의 발전단계 연구에 있어 6구역 1호 가마는 중요한 자료를 제공해 주고 있다고 강조했다.             
 
특히 이곳에서 출토된 유물은 맞은 편 구릉에 위치한 유천리 7구역에서 출토된 청자와 유사한 양상을 보이고 일상적 그릇(접시, 잔, 발, 완 등)이 대부분으로 무문·압출양각·철백화 기법의 청자다.

연구원은 이를 바탕으로 가마의 운영시기가 12세기 후반~13세기 전반으로 추정하고 있다.

권익현 부안군수는 “이번 조사에서 전체형태의 청자가마가 최초 확인된 것이 주요 성과”라며 “이는 학술연구적 가치가 매우 높아 향후 사적지 복원 및 정비사업, 나아가 세계유산 추진에 큰 밑바탕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