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정부, 전공의 1·2차 병원 수련 추진…"의원급 전속 배정은 아냐"

등록 2024.05.12 17:14:30수정 2024.05.12 17:21:57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의료개혁특위, 10일 네트워크 수련체계 구상 발표

"현장 목소리 필요…의료계, 논의과정 참여해달라"

[서울=뉴시스] 배훈식 기자 = 노연홍 의료개혁특별위원장이 지난 10일 오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제2차 의료개혁특위 회의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2024.05.10. dahora83@newsis.com

[서울=뉴시스] 배훈식 기자 = 노연홍 의료개혁특별위원장이 지난 10일 오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제2차 의료개혁특위 회의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2024.05.10.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고홍주 기자 = 정부가 상급종합병원의 전공의 의존도를 낮추기 위한 1·2차 병원 수련 제도를 추진하겠다고 밝힌 가운데, 의원급 의료기관에서만 수련받는 것은 아니라고 설명했다.

의료개혁특별위원회는 12일 보도참고자료를 통해 "상급종합병원과 협력의료기관 간 네트워크 수련체계로 다양한 경험을 통해 진료 역량을 갖춘 의사를 양성하겠다"고 밝혔다.

앞서 노연홍 의료개혁특위 위원장은 지난 10일 브리핑에서 "현재 대학병원에서 수련을 거친 전문의 중 절반 이상이 지역의 중소병원이나 의원에서 근무하는 상황"이라며 "상급병원과 중소병원, 의원은 환자군과 진료 내용이 달라 현재의 수련체계로는 실제 현장에 맞는 다양한 역량을 키우는 데 어려움이 있다"고 말했다.

특위는 이날 "의원급 의료기관에 전공의를 전속 배정하는 것은 아니다"라며 "네트워크 수련체계는 전공의가 상급종합병원과 협력 병·의원 간의 네트워크 안에서 다양한 진료환경을 경험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선택할 수 있는 기회를 열어주려는 취지"라고 추가 설명했다.

이어 "향후 진료과별 특성에 적합한 네트워크 수련체계의 프로그램 구성 등 제도 설계방안은 의학회, 병원계 등과 충분히 논의하고 의료개혁특위에서 논의를 통해 구체화할 계획"이라고 했다.

또 네트워크 수련체계는 의료기관과 전공의, 환자 모두에게 필요한 구조라고 강조했다.

현재 전공의 의존도가 심각한 상급종합병원을 전문의 중심으로 운영해 진료 성과를 높이고, 전공의 교육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이다. 전공의는 상급종합병원에서 수련하면서도 종합병원이나 1차 의료기관에서 수련할 수 있는 기회가 열리게 된다. 이를 통해 환자에게 전문과목별 특성에 맞는 질 좋은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전문의를 양성할 수 있다는 게 의료개혁특위의 설명이다.

이 같은 네트워크 수련체계는 해외에서도 시행 중이다.

의료개혁특위는 "일본과 영국은 소속 수련병원 외에 협력병원(지역사회 의원, 2차 병원, 공공의료기관 등)에서 일정기간 수련 받도록 하고 있고, 미국은 내과나 소아과 등 일부 전문과목의 1차의료 특화 수련프로그램에 일정 기간 의원급 협력기관 수련을 포함할 수 있다"고 말했다.

노 위원장은 "네트워크 수련체계를 구체화하기 위해서는 수련 현장의 목소리가 필요하다"며 "수련을 받는 당사자인 전공의와 전공의 수련과정을 책임지고 있는 대한의학회가 논의과정에 참여해 진료과목별 특성에 적합한 실효성 있는 네트워크 수련체계를 만들어주기를 바란다"고 당부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