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관할지 관계 없이 '전국 단위' 소방헬기 출동…4곳→8곳 확대

등록 2024.05.15 12:00:00수정 2024.05.15 15:30:52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소방헬기 국가 통합출동 시스템, 8개 시도 확대 운영

소방헬기 출동체계 일원화…부산·광주·제주도 시행

[인천=뉴시스] 인천소방본부가 지난 3월6일 공개한 AW139 기종의 다목적 소방헬기 모습. (사진=뉴시스DB). 2024.05.15. photo@newsis.com. **위 사진은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습니다.

[인천=뉴시스] 인천소방본부가 지난 3월6일 공개한 AW139 기종의 다목적 소방헬기 모습. (사진=뉴시스DB). 2024.05.15. [email protected]. **위 사진은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습니다.

[세종=뉴시스]성소의 기자 = 소방청이 대전·충북·충남·전북 4개 시·도에서 시범 운영 중이던 소방헬기 국가 통합출동 시스템을 이달부터 부산·광주·제주 등 남부지역 8개 시·도까지 확대 운영한다고 15일 밝혔다.

소방청은 지난해 4월부터 중앙과 시·도로 이원화됐던 소방헬기 출동 체계를 중앙 차원으로 일원화하는 '소방헬기 국가 통합출동'을 시범 운영해오고 있다. 관할 지역과 관계 없이 사고 지역과 가장 근접하고 적정한 헬기가 신속히 출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골자다.

소방청이 시범운영 기간 동안 4개 시·도의 헬기 출동현황을 분석한 결과 전체 출동건수 194건 가운데 통합출동 건수는 44건(22.7%)에 달했다.

해당 출동을 분석한 결과, 출동시간과 출동거리가 눈에 띄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출동 1건당 출동시간은 평균 약 14분, 출동거리는 41.5km 단축됐으며 총 610분 1828km의 단축 효과가 있었던 것으로 분석됐다.

운항시간 감축으로 연료비와 소모품 교체·부품 수리 등 정비 비용도 절감됐다고 소방청은 전했다.

윤상기 소방청 장비기술국장은 "사업 운영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분석하고 제반사항 등을 정비해 통합출동 시스템이 원활하게 운영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