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복지부, 스마트 사회서비스 시범사업 5개 지역 선정

등록 2024.05.16 12:00:00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사회서비스에 혁신기술 결합…기술 실증, 상용화 유도

복지기술 보유 6개 기업에 최대 2억원 지원금 지급해

[세종=뉴시스] 이연희 기자 = 정부세종청사 보건복지부 전경. 2022.09.01. photo@newsis.com

[세종=뉴시스] 이연희 기자 = 정부세종청사 보건복지부 전경. 2022.09.01.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구무서 기자 = 보건복지부는 2024년 스마트 사회서비스 시범사업에 참여할 복지기술과 사업을 수행할 지역을 선정했다고 16일 밝혔다.

스마트 사회서비스 시범사업은 돌봄로봇, 디지털 기술, 인공지능(AI) 등 혁신기술이 결합된 사회서비스를 지역에서 제공하도록 지원해 기술의 실증과 상용화를 유도하고 새로운 서비스 모델을 개발하기 위해 추진된다.

정부는 지난해 12월 '제1차 사회서비스 기본계획(2024-2028)'을 통해 복지기술과 관련된 연구, 개발을 확대함과 동시에 스마트 사회서비스 시범사업을 통해 개발된 기술의 현장 실증과 활용을 지원하기로 한 바 있다.

지난 2월 시범사업 추진계획을 수립하고 복지기술 보유기업을 대상으로 공모를 실시한 결과 총 65개의 기업이 참여를 희망했다. 이후 2차례의 기술 심사와 지방자치단체 모집을 거쳐 6개의 복지기술과 이를 활용할 5개 지역이 최종 선정됐다.

선정 지역과 복지기술 보유기업은 강원 홍천군 (주)돌봄드림, 경북 안동시 (주)누비랩, 충남 당진시 (주)실비아헬스와 (주)메디로지스, 충남 금산군 (주)맨엔텔, 경기 동두천시 (주)마크노바 등이다.

최종 선정된 6개 기업에는 보유한 기술, 제품이 결합된 사회서비스를 지역 주민에 시범 제공할 수 있는 기회와 함께 과제당 1억~2억원의 지원이 이뤄진다.

이번 시범사업을 통해 우수한 성과를 입증한 기업에는 상용화 및 판로개척 등에 활용 가능한 실증결과 확인서가 제공되며, 실증을 거친 서비스 모델은 별도 절차를 거쳐 지역사회서비스 사업에 활용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진다.

사업은 매칭된 지역과 기업 간의 협약 체결 및 세부 사업계획 수립을 거쳐 6월부터 본격 추진된다.

김현준 복지부 인구정책실장은 "스마트 사회서비스 시범사업은 민간의 창의적 기술을 활용해 서비스 이용자에게 보다 질 높은 서비스를 제공함과 동시에 서비스 제공 방식의 효율성을 높여 서비스 제공자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어 매우 중요하다"며 "정부는 사업의 원활한 추진으로 복지기술 실증과 상용화를 지원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