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교육부 "올해도 공정 수능"…킬러문항 배제·유사성 검증 강화[일문일답]

등록 2024.05.22 13:44:12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사교육·늘봄·학폭 등 정책자료 배포

"늘봄학교, 방학 중에도 이용 가능"

[전주=뉴시스] 김얼 기자 =교육부는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에서도 '공정 수능' 기조를 유지하겠다고 22일 밝혔다. 사진은 지난 2023학년 수능 당일 전북 전주시 동암고등학교에서 수험생들이 시험지를 받고 있는 모습. (전북사진기자단 공동취재) 2022.11.17. pmkeul@newsis.com

[전주=뉴시스] 김얼 기자 =교육부는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에서도 '공정 수능' 기조를 유지하겠다고 22일 밝혔다. 사진은 지난 2023학년 수능 당일 전북 전주시 동암고등학교에서 수험생들이 시험지를 받고 있는 모습. (전북사진기자단 공동취재) 2022.11.17.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정유선 기자 = 교육부는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에서도 '공정 수능' 기조를 유지하겠다고 22일 밝혔다.

공정성을 높이기 위해 킬러 문항을 배제하고, 사교육 카르텔 근절 방안으로 수능과 사교육 문항 간 유사성 검증도 강화하겠단 방침이다.

다음은 교육부가 배포한 자료를 통해 살펴본 사교육경감, 늘봄학교, 학교폭력 근절 등 초·중등교육 주요 정책에 대한 일문일답.

-작년의 공정 수능 기조가 올해도 유지되나. 수능 공정성을 강화하기 위해 어떤 방안들을 실행하고 있는지.

"올해도 킬러문항을 배제하고 변별력을 확보하는 '공정 수능' 기조를 유지한다. 아울러 수능-사교육 간 카르텔을 근절하기 위해 공정한 출제진 선정, 수능 문항과 사교육 문항 간의 유사성 검증을 철저히 할 계획이다."

-사교육업체의 카르텔, 부조리를 목격할 경우 어떻게 신고하면 되나.

"'사교육 카르텔·부조리 및 입시비리 신고센터'(https://fair-edu.moe.go.kr)에 신고하면 된다. 교육부는 접수된 신고 내용을 면밀히 검토해 사안에 따라 시도교육청, 타 부처와 함께 조사하고 필요한 조치를 하게 된다."

-사교육 없이도 공교육 내에서 수능·내신을 준비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EBS프로그램엔 어떤 것이 있나

"EBS의 중·고등학교 전 강좌를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인공지능(AI) 기반 문제 은행을 통해 수준별로 문제를 풀어보고, 해설강의를 들으며 맞춤형 학습관리까지 활용할 수 있다. 올해 7월부터는 교사와 대학생이 참여하는 소규모 온라인 상담도 운영할 계획이다."

-늘봄학교와 기존의 초등 방과후·돌봄 교실은 어떤 차이점이 있나.

"늘봄학교는 희망하는 누구나 이용 가능하다는 점에서 기존의 돌봄교실과 차이가 있다. 또 2시간의 맞춤형 프로그램을 무료로 제공한다는 점에서 기존 방과후 프로그램과 다르다.  올해에는 초등학교 1학년, 내년에는 초등학교 2학년까지, 2026년부터는 초등학교 모든 학년에서 희망하는 학생 모두 늘봄학교에 참여할 수 있다."

-2시간 맞춤형 프로그램 이후 추가로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는지.

"그렇다. 2시간 맞춤형 프로그램 이후에도 원하면 돌봄 서비스를 이용하거나 방과후 프로그램을 수강할 수 있다. 단, 2시간 무료 프로그램 이후 방과후 프로그램은 수강료를 납부해야 한다."

-늘봄학교에 참여하면 꼭 저녁 8시까지 있어야 하나.

"아니다. 늘봄학교는 희망하는 시간까지 이용할 수 있다. 학생과 학부모가 원한다면 최장 저녁 8시까지 이용할 수 있다."

-방학 중에도 늘봄학교를 이용할 수 있나.

"그렇다. 방학에도 초등학교 1학년 학생의 성장·발달 단계에 맞는 프로그램을 매일 2시간 무료로 제공한다. 초등학교 1학년 학생이 원하면 방과후 프로그램과 돌봄교실도 이용할 수 있다. 다만 이용 시간은 학교 여건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올해 전국 교육지원청에 '학교폭력 제로센터'를 설치한다고 했는데, 피해 학생들이 어떤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지.

"피해학생은 단 한 번의 신청으로 치료·상담·보호·법률대응지원 등 필요한 지원을 맞춤형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피해학생이 희망할 경우 가해학생과의 화해와 관계 회복을 위한 상담 및 프로그램에 참여해 안정적인 학교생활을 해 나가는 데 도움을 받을 수 있다."

-학교폭력 제로센터에서 서비스를 받기 위한 절차는.

"학교에서 학교폭력 피해 학생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다고 판단할 경우 학생의 동의를 받아 '피해 학생 전담지원관'이 파견될 수 있다. 지원관은 피해 학생과 면담을 거쳐 필요한 서비스를 연계·지원한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