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정부, 연구장비 산업 육성 나서…장비 신규 도입 '활용성' 중점

등록 2018.01.21 19:26:11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연구장비 국산화·전문인력 직군 신설 등 관련 산업 지원
 연구장비 풀링제 도입…민간 접근성 개선 등 추진 계획

【서울=뉴시스】심동준 기자 = 정부가 연구개발(R&D) 장비의 이용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연구장비 전문인력' 직군을 신설하는 등 관련 산업을 육성하기로 했다.

 또 대학과 정부 출연 연구기관 등에 대한 연구 장비 도입 기준을 '활용성'에 두고, 유휴 장비의 경우 이전 또는 처분을 적극 권고하기로 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지난 19일 열린 과학기술심의회 운영위원회에서 유휴 연구 장비를 재배치하고 관련 산업을 육성하는 등의 내용이 담긴 '제2차 국가연구시설장비 운영·활용 고도화계획을 확정했다고 21일 밝혔다.

 이번에 확정된 계획은 ▲연구 지원형 연구 장비의 활용성 향상 ▲R&D 기반 구축형 연구 장비의 이용 효율성 향상 ▲국내 연구장비 산업 육성·연구인력 양성 등을 주된 골자로 한다.

 먼저 정부는 기업과 연구기관 등에 납품되는 연구장비를 국산화하면서 이를 위한 하드웨어·소프트웨어 인력 양성과 운영 과정을 지원하기로 했다.

 연구장비와 관련한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구축해 기업에서 최적화된 상태에서 장비를 구동할 수 있는 환경 자체를 제공하겠다는 방침도 세웠다.

 연구장비에 관한 성능 인증 체계를 별도로 마련하고, 장비 개발 단계에서 판매단까지 지원하는 방안도 세워졌다.

 아울러 국가직무능력표준에 '연구장비 전문인력' 직군을 별도로 만들고 종류별 최소 배치 정규 인원을 정하는 등 관련 인력이 시장에서 전문성을 갖출 수 있는 토대도 마련하겠다는 계획이다.

 연구기관 등을 상대로는 장비 방치를 막기 위해 수탁 과제가 끝난 이후에도 유지·보수 비용을 이월 집행할 수 있는 등의 내용이 담긴 '연구장비비 풀링제(Pooling)' 제도를 도입하는 방안이 검토된다.

 또 연구그룹별로 핵심연구 지원시설을 형성해 분야별로 장비를 운영하고, 용도를 다한 장비의 경우에는 처분하거나 다른 기관에 양도할 것을 적극적으로 권고하겠다는 방침이다.

 정부는 연구장비 관련 정보 체계를 '제우스(ZEUS)'로 통합하고 연구 지원 분야별로 장비 활용 연계 플랫폼을 형성하는 등 민간 기업 등의 접근성도 개선하기 위한 조치를 취하기로 했다.

 또 종전 장비 가동률 등 양적으로 산정하던 연구개발 구축 사업 성과 지표를 사업별 목적에 맞는 별도의 평가 방식을 마련하는 식으로 효율성을 높이겠다고 정부는 밝혔다.

 과기정통부는 "창의성에 기반한 선도형 연구체제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연구장비 등에 대한 지원 체계를 확충해야 한다"며 "단순히 연구의 질적 수준이 아니라 연구 장비와 전문인력, 서비스 기술을 축적한 핵심연구지원시설을 마련하자는 것이 이번 계획이 목표"라고 강조했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