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지방

[기획]⑦ 중국이 충남도와 국제교류를 왜 원하는가?

등록 2014.09.30 09:21:26수정 2016.12.28 13:26:27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홍성·예산=뉴시스】유효상 기자 = 중국 서부지역 순방에 나선 송석두(오른쪽) 충남도 행정부지사가 1일(현지시간) 칭하이성 부성장을 예방한 자리에서 도와 칭하이성간 교류협력 MOU를 체결한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충남도 제공)  yreporter@newsis.com

【홍성·예산=뉴시스】유효상 기자 = 중국 서부지역 순방에 나선 송석두(오른쪽) 충남도 행정부지사가 1일(현지시간) 칭하이성 부성장을 예방한 자리에서 도와 칭하이성간 교류협력 MOU를 체결한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충남도 제공)  [email protected]

【중국 상해·하얼빈=뉴시스】유효상 기자 = 중국 각 지방정부들이 충남도와 국제교류를 원하는 이유가 무엇일까?

 충남도가 국제교류를 맺고 있는 중국 지방정부는 자매결연 1곳, 우호협력 11곳 등 모두 12곳이다.

 지금도 다른 중국 내 지방정부에서도 충남도와의 우호협력 등 다양한 국제교류를 희망하고 있다.

 인구 210만명에 불과한 충남도와 국제교류를 맺고 있는 중국내 지방정부들은 인구, 면적이 수십 배에 달하고 문화, 정치행정 등 모든 면에서도 비교할 만한 상대가 아니다.

 특히 최근 중국 경제는 세계 경제를 주도할 만큼 확대된 데다 학력, 문화 수준도 높이 평가할만 하다.

 이같이 거대한 중국이 무엇이 아쉬워서 충남도와 교류에 공을 들이고 있는 것일까? 의문이 든다.

 뉴시스는 9월 10일부터 14일까지 5일간 충남도 국제교류의 현장인 중국 내 산업현장과 지방정부, 역사문화유적 등을 찾아다니면서 충남이 중국시장을 어떻게 활용해야 할지 그 방안을 모색해봤다.

 중국은 우리나라와 지리적으로 매우 가깝다. 충남과는 황해를 끼고 있어 이웃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서산 대산항에서 중국 산동성을 향해 "이봐요" 하고 부르면 "왜"라고 답이 돌아온다고 할 정도이다.

 충남도 역시 모든 정책 앞에 붙는 수식어가 있다. 예를 들어 '환황해권시대 교통인프라구축' '환황해권 아시아경제시대' '환황해권 중심시대 항만육성' 등 도의 정책에 '환황해권'이 꼭 따라 붙는다.

 그 이유는 충남은 황해를 사이에 두고 있는 중국 거대시장을 겨낭하고 있기 때문이다. 중국 거대시장을 염두에 두고 있는 충남도 역시 각 지방정부와 교류를 맺는 것을 거부하지 않는다. 

 앞으로 모든 경제의 중심이 중국에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도는 중국 상해에 통상사무소를 두고 중국 지방정부와의 교류협력 및 수출입 기업에 대한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으며, 도청에도 중국 전문가를 고용해 다방면의 교류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충남도가 거대시장을 염두에 두고 중국과 교류를 희망하는 것은 이해가 되지만 아쉬울 것 없는 중국이 충남과 교류를 왜 희망하는지 들여다봤다.

 중국에는 이미 한류 바람을 타고 한국과 많아 가까워져 있다. 중국 관광객들이 서울, 제주를 중심으로 전국 곳곳을 찾고 있고 15년전부터는 중국 노동자들이 한국 인력시장에 진출해 있다. 서울을 비롯해 전국 각지 지방대학에조차 중국 유학생들이 우리 학생 수보다 월등하게 차지하는 등 이제 우리 주변에서 중국 사람들을 보는게 어렵지 않다.

 또 우리나라 각 대학에도 중국어과 또는 비슷한 전공이 대부분 있고 한국 대학생들도 중국 각 대학으로 유학을 가거나 중국내 기업에 취업하는가 하면, 우리나라 국민들 생활용품 대부분이 '메이디 인 차이나'(Made in China)일 정도로 중국은 이미 우리 곁에 깊숙히 자리하고 있다.

 중국 지방정부들도 한국을 이웃이라고 생각한다. 최근 박근혜 대통령과 시진핑 주석이 서로 교차 방문한 이후 더욱 친분은 두터워졌다. 무엇보다 두 나라가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는 것은 일제강점기에 일본으로부터 피해를 입은 국가라는 점이다.

 때문에 중국이 세계 경제 주도권을 잡기 위해서는 아시아 국가 중 일본을 제치고 한국이 우방으로 굳건히 자리잡기를 바라고 있다.   

 중국은 한국의 첨단산업과 제조기술, 탄탄한 기업경영에 호감을 갖고 있다.

 13억 인구들이 잘먹고 잘살기 위해서는 한국의 첨단산업, 제조기술, 탄탄한 기업경영이 필요하다.

 즉 중국 내 투자를 계속 희망하고 있다.

 한국 굴지의 대기업들이 앞다퉈 중국시장에 진출해 공장을 설립하고 많은 노동자를 고용하고 있지만 아직도 계속 한국의 중소기업들이 현지에 공장을 설립해주기를 바라고 있다.

 중국내 지방정부들이 충남을 향해 교류를 하고자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충남에는 크고 작은 탄탄한 기업들이 있다. 이들 기업들이 중국내 지방정부에 투자를 해주기를 바란다.

 안희정 충남지사가 오는 12월 방문해 자매결연을 맺게 될 헤이룽장성(黑龍江省) 정부 관계자는 도내 기업들의 투자유치를 부인하지 않는다.

 흑룡강성은 인구가 4000만명으로 대한민국 인구와 거의 비슷하다. 우리나라와 연관된 유적도 산재해 있고 하얼빈 빙등축제 등 각종 관광자원도 풍부하다. 충남과의 특별한 인연도 있다.

 흑룡강성 관계자는 "충남도와 자매결연을 추진하는 것은 안희정 지사가 오실 때 도내 기업인들을 대거 초청해 투자유치 설명회를 갖고자 하는 것"이라며 "기업인들이 안 지사와 함께 온다면 우리 성정부에서 할 수 있는 특혜는 최대한 제시하겠다"고 말했다.

 하지만 중국서 공장을 운영하는 한국 기업인들은 생각이 다르다.

 이미 오래전부터 중국서 기업을 운영했던 기업인들은 매년 두자릿수로 오르고 있는 인건비, 각종 세금납부, 공장부지 인허가, 여기에 로비자금까지 감당해야 할 고통이 크다는 점을 하소연하고 있다.

 충남도는 도내 기업들에게 중국에 투자하라고 권유할 수 있는 입장이 아니다.

 충남도 역시 외국인 투자를 유치해야 하는 입장이고 심지어 외국으로 갔다가 돌아오는 기업을 다시 충남에 입지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하는 상황이다.

 다만 도내 기업이 중국에 투자를 희망할 경우 충남도는 가교역할을 할 수 있다.

 충남도지사가 자매결연을 맺고 있는 중국 지방정부 수장을 상대로  도내 기업이 투자를 희망할 경우 어떤 혜택을 줄 수 있는지 요구할 수가 있다. 기업을 경영하는 동안 발생되는 문제와 민원에 대해 적극 중재도 가능하다. 또 수출입기업에 대한 행정적 지원을 할 수 있다. 

 무엇보다 이미 중국시장에 우리나라 기업들이 대거 진출해서 장단점을 모두 파악한터라 충남도가 나서서 투자를 권유하거나 적극 개입한다고 해도 판단은 기업인들이 할 수밖에 없다.

 문제는 충남도와 중국 지방정부가 서로 교류에 대한 속내를 뻔히 알고 있으면서도 실제 할말을 못한다는 점이다.

 실무자 또는 지방정부 수장 간에 상호방문을 하고 있지만 정작 해야 할 말에 대해서는 눈치를 보면서 좋은게 좋은거라고 그저 웃기만 할 뿐이다. 

 현재 상태에서는 실효성 없는 교류로 비춰질 수도 있지만 앞날을 내다 볼 때 그렇지 않은 게 현실이다.

 충남도는 중국 거대시장에 뿌리를 내리기 위해서는 환황해권시대를 대비해 현재 상태의 교류를 계속 이어갈 수밖에 없다. 중국 지방정부들도 충남 기업들이 풍부한 자원과 인력을 필요로 할 수밖에 없다는 사실을 인정하고 있다.

 결국 현재 중국 지방정부와의 교류는 상호 윈윈을 하기 위한 하나의 과정일 뿐이고 지금부터 쌓고 있는 두터운 교류만이 향후 교류성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는 것은 예측 가능하다.

 충남도 상해사무소 이종민 소장은 "중국과의 교류협력은 단순히 지금의 성과를 논할 수 없다"며 "앞으로 더욱 두터운 교류를 통해 환황해권시대를 대비하고 현재 도내 기업들에게 어떤 혜택과 이익을 줄 수 있는지 등에 대한 작은 성과부터 큰 성과로 이어가야 한다"고 말했다.

  [email protected]  

   *이 기획기사는 충청남도 지역언론 지원사업의 지원을 받아 취재한 것입니다.

많이 본 기사

구독
구독
기사제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