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지방

부산 "가덕신공항 유치 운동에 여당의원은 뭐했나"

등록 2016.05.05 11:37:56수정 2016.12.28 17:01:09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부산=뉴시스】허상천 기자 = 4일 오후 부산시청에서 열린 '신공항 건대책 당·정·시민단체 연석회의'는 시민단체대표들이 가덕신공항 유치 운동에 미온적으로 대처해 온 부산지역 정치권에 대한 집중 포화가 쏟아졌다. 2016.05.05.  newsis.com

【부산=뉴시스】허상천 기자 = 4일 오후 부산시청에서 열린 '신공항 건설대책 당·정·시민단체 연석회의'는 시민단체대표들이 가덕신공항 유치 운동에 미온적으로 대처해 온 부산지역 정치권에 대한 집중 포화가 쏟아졌다.

 이날 회의는 일부 국회의원의 늑장 출석으로 예정보다 10여분 늦게 시작된 데다 회의를 시작하자마자 곧바로 새누리당 의원들이 비공개 회의를 요구해 시민단체 대표들이 발끈했다.

 시민단체 대표들은 “모처럼 만나서 가덕신공항 유치 활동을 점검하고 앞으로 대책을 논의 하려 했는데 비공개로 진행하려는 의도가 무엇이냐”며 새누리당 의원들에게 강한 불만을 쏟아냈다.

 김희로 범시민운동본부 상임대표는 "새누리당은 대통령선거와 두차례 국회의원 선거 등 그동안 3번이나 신공항을 이용해 먹고 내년 대통령선거때도 이용하려는 움직임을 보인다"고 지적하고 "부산시민들이 유치 운동을 펼칠 때 부산지역 국회의원들은 대구·경북지역 국회의원들 보다 열심히 했는지 의구심이 든다"며 아쉬움을 토로했다.

 이어 박인호 대표는 “100년대계인 신공항 국제프로젝트가 입지평가 기준과 가중치 등을 밝히지 않은채 ‘깜깜이’로 진행되고 있다”고 지적하고 “김해공항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안전하고 24시간 이용할 수 있는 새 공항 건설 계획을 추진해온 것인데 최근 ‘동남권 광역공항’으로 둔갑해 본질을 흐리고 있다”며 걱정했다.

 그는 “부산에 국제공항이 없다면 부산뿐 아니라 국가적으로 엄청난 손실과 타격을 받게 될 것”이라며 “정부가 오판하지 않도록 부산시와 여·야 정치권이 비상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며 결단을 촉구했다.

 조성제 부산상의 회장은 "이용객이 몰리는 김해공항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24시간 안전한 공항을 만들기 위해 20여년전부터 신공항 건설을 요구해 왔는데 대구·경북지역이 K2비행장 이전을 빌미로 무임승차 하고 있다“며 "국책사업이 지역 이기주의에 좌우돼 오판해서는 안된다"고 강조했다.

 이에 김해공항과 가덕도를 지역구로 둔 김도읍 의원은 별도 보고서를 마련해 “지역 의원들의 활동으로 신공항 건설을 대통령 공약에 반영하고 국토부의 항공수요조사를 하는 등 노력해 왔다"고 해명했다.

 이어 서병수 시장은 “가덕도에 신공항을 유치하기 위해 마련된 당·정·시민단체 연석회의가 과거 잘잘못을 따지기만 하면 회의가 제대로 진행되기 어렵다”며 “이런 분위기(시민단체들의 성토)라면 비공개로 진행해 충분한 논의를 하는 것도 바람직할 것 같다”고 동조해 비공개로 진행됐다.

 서병수 부산시장은 회의에 앞서 “신공항 입지 결정이 ‘전부가 아니면 아무것도 못 가지는 방식’으로 돼서는 안 된다”며 “서로 상생할 수 있는 그런 방안을 추진하기 위해 힘을 모아야 한다"고 밝혔다.

 서 시장은 “대구는 밀양신공항 유치가 안돼도 K2비행장 이전 등 대안을 찾을 수 있지만 부산은 가덕신공항을 건설하지 않으면 지역 경제는 물론이고 다른 대안을 마련할 방법이 없다”고 털어놨다.

 김정훈 의원은 “신공항 부산유치를 위해 정부와 정치권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해명하고 “신공항입지가 객관적이고 합리적으로 선정된다면 당연히 가덕도가 되겠지만 부산과 대구·경북이 상생하는 방안이 무엇인지 심각하게 고민해야 한다”며 서 시장 발언에 힘을 보탰다.

 이날 2시간 가까이 진행된 회의 결과 “새누리당 부산 국회의원들은 국토교통부 신공항 용역 조사가 공정하고 투명하게 안 되면 5개 시도 합의를 파기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한편 새누리당 부산시당은 이날 3선에 성공한 김세연 의원(금정구)을 시당위원장으로 추대하고 김 의원을 중심으로 가덕신공항 유치에 총력을 쏟기로 했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

구독
구독
기사제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