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성장사다리펀드 시즌2 출범…딥테크·기후대응 등에 1조 투자

등록 2023.09.25 10:00:00수정 2023.09.25 10:08:05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4차 정책금융지원협의회…매년 2000억씩 총 1조 이상 조성

올 들어 8월까지 5대 중점분야에 정책자금 73.8조 공급

[서울=뉴시스] 성장사다리펀드 개편 방안. (자료=금융위원회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성장사다리펀드 개편 방안. (자료=금융위원회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김형섭 기자 = 국내 벤처 생태계 조성에 마중물 역할을 한 정책펀드인 성장사다리펀드가 시즌2로 개편된다. 딥테크(기저기술)과 기후대응 등 민간투자가 어려운 분야에 집중해 1조원 가량의 투자가 이뤄질 전망이다.

금융위원회는 25일 김소영 부위원장 주재로 정부 관계부처, 정책금융기관 및 청년창업재단과 함께 '제4차 정책금융지원협의회'를 열어 이같은 내용을 담은 성정사다리펀드 개편 방안을 발표했다.

김 부위원장은 "성장사다리펀드가 지난 10년 동안 창업·성장·회수·재도전 등 기업의 생애주기 전 과정에서 총 4190개 기업에 15조2000억원을 투자함으로써 벤처시장 성장에 마중물 역할을 하고 다양한 벤처펀드 출현을 촉진하는 등 모험자본 시장 활성화에 크게 기여했다"고 평가했다.

이어 "다만 글로벌 산업·무역 경쟁 격화, 공급망 급변 등 세계 경제질서가 빠르게 변화하고 새로운 투자자금 수요가 발생하는 등 많은 분야에서 모험자본 수요는 여전히 큰 상황"며 "앞으로 새로운 성장사다리펀드가 이러한 분야에서 더욱 적극적인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성장사다리펀드는 모험자본 공급을 지원하기 위해 정책금융과 민간자금으로 공동출자해 2013년 8월 출범했다. 산업은행 1조3500억원, 기업은행 1500억원, 은행권 청년창업재단 3500억원 등 총 1조8500억원 규모로 조성됐는데 지난달로 10년의 투자기간이 종료됐다.

새로운 성장사다리펀드는 기존 성장사다리펀드 투자에서 회수되는 원금을 출자해 만들어진다. 오는 2024년 1896억원, 2025년 2614억원 등 매년 약 2000억원의 모(母)펀드 출자를 기반으로 1조원 이상의 투자가 가능할 것으로 금융위는 전망했다.

특정분야에 대한 투자 의무는 없지만 구조적으로 민간에서 투자하기 어려운 분야와 시장상황에 따라 자금수요가 큰 분야 등 시장에서 부족한 곳에 새로운 성장사다리펀드의 투자를 집중하다는 계획이다.

양자컴퓨팅, 인공지능, 합성생물학, 로봇기술, 신소재재료, 핵융합 등 딥테크 분야와 기후대응 분야가 대표적이다.

딥테크의 경우 고도의 과학·공학 기술에 기반하고 있어 가치평가가 어렵고 높은 초기 투자금액 및 투자기간의 장기화 등으로 민간에서 투자하는데 한계가 있다. 온실가스 감축·적응 등 기후대응 분야도 정보비대칭, 가치평가의 어려움, 기업가치 제고 불확실성 등으로 민간투자가 어렵다.

또 회수시장을 지원하기 위한 세컨더리 분야, 산업정책 등과 관련된 매칭 분야에도 투자를 집중할 방침이다.

새로운 성장사다리펀드의  투자기간은 5년으로 하되 장기 모험자본 특성을 감안해 존속기간은 15년으로 설정된다. 향후 5년마다 모펀드 운용실적과 모험자본시장의 여건 등을 고려해 펀드 지속여부 및 운용방향을 재검토한다.

이날 협의회에서는 정책금융 지원 실적 점검도 이뤄졌다.

점검 결과 올해 들어 8월까지 산업은행, 기업은행, 신용보증기금 등 정책금융기관은 ▲글로벌 초격차 ▲미래유망산업 ▲산업구조 고도화 ▲유니콘·벤처·중견 육성 ▲기업경영애로 해소 등 5대 중점전략분야에 총 73조8000억원의 정책자금을 공급했다. 이는 연간 목표치의 80.4%를 달성한 것으로 당초 목표 집행률(66.7%)을 크게 초과했다.

김 부위원장은 "중국발 경기 둔화 우려와 함께 고금리·고유가 기조가 한동안 지속될 수 있는 만큼 남은 기간에도 기업들에 자금애로가 발생하지 않도록 산업부처들과 협의해 세심하게 공급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협의회는 산업별 정책금융 지원의 지속 가능성을 제고하기 위해 산업정책 프로그램과 예산의 연계 방안에 대해서도 논의했다.

각 부처별로 산업정책과 수요를 고려해 정책자금 지원 프로그램을 마련하고 프로그램에 필요한 예산을 확보하면 정책금융기관들은 해당 예산을 기반으로 특별대출, 협약보증, 공동펀드 조성 등을 통해 충분한 규모로 정책금융을 지원키로 했다. 이에 더해 정책금융기관 자체 여력을 해당 프로그램에 우선 배분해 효과를 극대화하기로 했다.

김 부위원장은 "앞으로 다양한 산업분야에 지속가능한 정책금융 지원을 위해서는 정책금융 공급과 재정 역시 긴밀히 연계돼야 한다"고 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