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규제 샌드박스' 본격 시행…도심에 수소차 충전소 생기나

등록 2019.01.17 11:19:02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개정 정보통신융합법 및 산업융합촉진법 발효

시행 첫날 19건 접수…과기정통부 9건, 산업부 10건

모바일 전자고지, 도심지역 수소충전소 등 신청

2월중 특례부여 심의 예정

'규제 샌드박스' 본격 시행…도심에 수소차 충전소 생기나

【서울=뉴시스】오동현 기자 =ICT융합 및 산업융합 규제 샌드박스 제도가 17일 본격 시행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산업통상자원부는 '정보통신융합법'과 '산업융합촉진법'이 이날 발효됨에 따라 규제 샌드박스 제도가 본격 시행된다고 밝혔다.

규제 샌드박스는 신기술·서비스가 빠르게 창출되는 상황에서 신기술·서비스가 국민의 생명과 안전에 저해되지 않을 경우, 기존 법령이나 규제에도 불구하고, 실증(실증특례) 또는 시장 출시(임시허가)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제도다.

과기정통부와 산업부에 따르면 규제 샌드박스 제도 시행 첫날 기업들로부터 총 19건의 신청이 접수됐다.
 
◇모바일 전자고지, 도심지역 수소충전소 등 신청

ICT융합(과기정통부) 규제 샌드박스에는 KT와 카카오페이가 '공공기관 등의 모바일 전자고지 활성화'를 위한 임시허가를 각각 신청했다.

지금까지 국민연금공단, 경찰청 등 공공기관은 종이 우편을 통해 고지 업무를 수행해 왔다. 그러나 모바일 전자고지를 활용하게 되면 카톡 알림이나 문자 메시지로 쉽고 빠르게 받을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모바일 전자고지를 위해서는 공공기관이 보유한 정보를 공인전자문서중계자(KT·카카오페이 등)에게 보내면 중계자가 이용자의 동의를 얻어 이미 확보한 정보와 맞춰보는 과정이 필요했다.

방통위 등은 '모바일 전자고지 활성화' 필요성에는 공감하고 있지만, 정보통신망법 등에 관련 규정이 미비하다는 한계가 있었다. 향후 심의위원회에서 임시허가가 되면 KT(MMS), 카카오페이(카톡알림)를 통해 공공기관·행정기관의 모바일 전자고지가 활성화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밖에 스타트업·중소기업에서는 '블록체인 기반 해외 송금서비스(모인)', 'VR 트럭(VRisVR)', '온라인 폐차 견적 비교 서비스(조인스오토)', '임상시험 참여희망자 중개 온라인 서비스(올리브헬스케어)', '센서탐지신호 발신기반 해상조난신호기(블락스톤)' 등 9건의 임시허가·실증특례를 신청했다.

산업융합 분야(산업부) 규제 샌드박스 대표 사례는 현대자동차에서 신청한 도심지역 수소차 충전소 설치 요청이었다.

'규제 샌드박스' 본격 시행…도심에 수소차 충전소 생기나

현대자동차는 수소차 운전자들의 편의와 접근성을 고려해 서울 시내 5개 지역에 수소차 충전소 설치를 위한 임시허가·실증특례를 요청해왔다.그러나 해당 지역은 입지 제한, 건폐율 제한, 토지임대 제한 등의 규제로 인해 설치가 불가능했다.

이에 산업부는 서울시, 국토부 등 관계기관과 협의해 신청 지역중 일부지역에 수소충전소 인프라를 설치 할 수 있도록 실증특례 또는 임시허가 여부를 검토, 논의할 계획이다.

이외에도 산업융합분야에서는 '유전체 분석을 통한 맞춤형 건강증진 서비스(마크로젠)', '디지털 사이니지 버스 광고(제이지인더스트리)', '전기차 충전 과금형 콘센트(차지인)' 등 10건의 실증특례, 임시허가 신청이 접수됐다.

과기정통부와 산업부는 향후에도 스마트 의료기기, 에너지신산업, IoT, O2O 등 분야에서 신청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2월중 특례부여 심의 예정

신청된 사례들은 관계부처 검토(30일 이내) 및 사전검토위원회 검토 후 각각 '신기술·서비스 심의위원회(위원장 과기정통부 장관)' 및 '규제특례 심의위원회(위원장 산업부 장관)'의 심의·의결을 거쳐 임시허가·실증특례 여부가 결정된다.

심의위원회에서는 신기술·서비스의 혁신성 및 국민의 편익과 함께 국민의 생명과 건강, 개인정보 보호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실증특례 또는 임시허가를 부여하는 것이 타당한지 여부를 논의할 예정이다.

과기정통부와 산업부는 1월중 심의위원회 위원을 위촉하고, 빠르면 2월 중 심의위원회를 각각 개최하여 준비된 안건부터 심의·의결할 계획이다.

심의위원회는 분기별 1회 이상 개최를 원칙으로 하되, 시행 첫 6개월 동안에는 성과 창출·제도 안착을 위해 수시로 개최할 예정이다.

과기정통부와 산업부는 "제도의 내실 있는 운영과 기업들의 적극적인 지원을 위한 맞춤형 정책 지원도 강화할 예정"이라며"앞으로도 상담회·설명회를 지속 개최해 기업들과 소통하고, 제도 안내 및 상담을 이어나갈 예정"이라고 전했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