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알코올중독 환자 年7만2천명↑…관리지원센터 50곳 불과

등록 2019.05.19 08:00:00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보건사회연구원, 건강보험 진료정보 분석

환자 36% 50대…10명중 3.5명은 저소득층

센터 50곳 인력 236명 뿐…한곳당 4~5명꼴

【서울=뉴시스】박주성 기자 = 강남구(구청장 정순균)가 18일 오후 서울 지하철 삼성역에서 '금연·절주 캠페인'을 실시하고 있다.  구와 자원봉사자가 함께하는 이번 행사는 연말연시 금연과 건전한 음주문화를 독려하기 위해 마련됐다. 2018.12.18.  park7691@newsis.com

【서울=뉴시스】박주성 기자 = 강남구(구청장 정순균)가 18일 오후 서울 지하철 삼성역에서 '금연·절주 캠페인'을 실시하고 있다.  구와 자원봉사자가 함께하는 이번 행사는 연말연시 금연과 건전한 음주문화를 독려하기 위해 마련됐다. 2018.12.18. [email protected]

【세종=뉴시스】임재희 기자 = 알코올 중독으로 의료기관에서 치료를 받거나 입원한 사람이 한 해 7만2000명이 넘지만 사회와의 관계 속에서 이들의 회복을 지원할 중독관리통합센터 등 인프라는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사회연결망 기반의 중독 회복 지원 방안' 보고서에 따르면 2016년 알코올사용장애(F10) 환자는 7만2237명으로 집계됐다. 전체 향정신성의약품 사용으로 인한 정신 및 행동장애(F10-F19) 환자(7만8142명)의 92.4%를 차지했다.

알코올사용장애로 진단받고 의과입원, 의과외래, 보건기관 외래, 정신과 낮병동, 정신과 입원, 정신과 외래를 이용한 환자들이다.

연령대별로 50대가 36.2%로 가장 비중이 컸고 40대 23.5%, 60대 20.4%, 70세 이상 9.3%, 30대 8.1%, 20대(19~29세) 2.5% 순이었다.

알코올성사용장애 환자 중 64.5%는 건강보험 가입자였는데 나머지 35.5%는 생활유지 능력이 없거나 생활이 어려워 국민기초생활보장법상 지원을 받는 의료급여 수급자였다.

환자 5명 중 1명 이상인 21.0%(1만5194명)가 경기도에, 16.8%(1만2156명)이 서울에 살고 있어 그 다음으로 환자가 많은 부산(8.2%), 경남(7.3%) 등보다 2~3배 높은 비율을 보였다.

절반에 가까운 48.2%의 환자가 입원을 선택했으며 33.9%는 외래만 이용했다. 입원과 외래 모두 이용한 환자는 17.9%였다.

연구진은 이들의 특성을 들여다보기 위해 중독자와 보호자 등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했다.

아동기 땐 술을 마시는 가족이나 음주에 관대한 가정 내 문화 등이 음주에 영향을 미쳤으며 청소년기엔 친구 등 또래 관계에서 음주가 친밀감 등을 형성하는 사회적 도구로 작용한다.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입대할 즈음 음주는 일종의 성인이 되는 통과의례처럼 여겨지며 직장생활에선 자연스러운 것으로 받아들여진다. 장년기로 접어들면 실직이나 사업실패 등 스트레스를 음주로 해소한다.

연구진은 중독 진행 과정을 "술로 말미암아 가족, 직장, 그리고 자기 자신과 점차 멀어지는 과정"으로 설명한다. 술을 마시려 가정 내 불화를 일부러 일으키는가 하면 술 마시기 편한 직장을 찾기도 한다. 이들의 치료를 도와야 할 사회엔 알코올 중독이란 인식 자체가 없다. 중독 치료를 마치고 퇴원한 사람을 술자리에서 축하하는 일도 일어난다.

치료는 가족들에 의해 시작되는 경우가 많은데 치료기관에서 만난 다른 중독자들이 원활한 치료를 돕기도 한다. 이 과정에서 잘못된 치료 정보 등으로 단순히 사회와 격리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중독 예방과 회복 지원을 위한 인프라가 중요하다.

그러나 2000년 알코올상담센터 시범사업으로 시작해 현재 지역사회 내 알코올은 물론 마약, 인터넷 게임, 도박 등 4대 중독 예방과 알코올 중독 고위험군 상담 서비스를 제공하는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는 현재 전국에 50곳이 전부다. 정신재활시설 중 중독재활시설은 전국에 4곳밖에 없다.

최근 잇따른 강력범죄로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 기초정신건강복지센터에 비하면 시설 규모는 5분의 1 수준(기초정신건강복지센터 237개소)이다. 서울 19곳 등 정신건강복지센터에서 알코올 관련 사업을 하는 곳이 전국에 67곳 있지만 7만2000명이 넘는 중독 환자를 관리하기엔 부족한 실정이다.

게다가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지난해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종사자는 236명으로 한 곳당 4.72명에 불과하다.

이에 연구진은 사회연결망을 기반으로 한 중독 회복 지원 방안과 함께 인프라 강화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연구진은 "지역별 중독 환자 규모를 고려한 설치 기준을 구체화하고 필수 설치지역을 선정하여 단계적으로 확대해 나가는 방식이 필요하다"며 "알코올 중독자의 규모와 중독 사망자 수 규모가 높은 지역의 30%, 50%, 혹은 70% 수준의 지역에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를 설치하는 것을 5~10년의 장기 목표로 설정하는 등 방식을 고려해 볼 만하다"고 조언했다.

현재 4~5명 규모인 인력도 "다수 지역에서 정신건강복지센터를 통한 중독 예방 및 회복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상황을 고려해 볼 때는 정신건강복지센터 내 중독 예방 및 관리서비스를 제공하는 전담 인력으로 1인을 배치하는 방식을 제안한다"고 했다.
【세종=뉴시스】2016년 국민건강보험공단 진료정보를 분석한 기준 시도별 향정신성의약품 사용으로 인한 정신 및 행동장애 및 알코올사용장애 환자 규모. (표=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제공)

【세종=뉴시스】2016년 국민건강보험공단 진료정보를 분석한 기준 시도별 향정신성의약품 사용으로 인한 정신 및 행동장애 및 알코올사용장애 환자 규모. (표=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제공)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