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사회

[치매극복의 날]치매관리대책은...환자보호자 지원서비스

등록 2016.09.21 14:13:58수정 2016.12.28 17:40:16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서울=뉴시스】방지원 인턴기자 = 30일 오전 서울 중구 남산한옥마을 천우각 광장에서 열린 '안전문화 체험한마당' 에서 의료분야 치매예방 부스에서 한 어르신이 팔찌를 만들고 있다.  이날 행사는 중구에서 주관하며 재난, 화재, 생활 등 분야별로 안전체험을 시민들이 체험할 수 있도록 개최됐다. 2016.05.30  tu1889@newsis.com

진료인원 2006년 이후 8년간 320.8%↑  진료비도 750.5%↑, 연평균 30.7% 늘어  예방 중요성 부각…조기발견시 발병 2년 지연  가족부담 축소 숙제…78% 수발로 근로에 영향   

【세종=뉴시스】이인준 기자 = 정부는 '치매관리종합계획'을 수립해 예방과 치료를 지원하고 있다. 하지만 고령화에 가속도가 붙어 치매환자 증가를 의료·요양 인프라가 따라잡지 못하고 있다.

 올해 우리나라의 65세 이상 치매 노인은 68만6000명으로 추산된다. 치매유병율은 9.99%로, 노인 10명중 1명은 치매 환자인 셈이다.

 그동안 정부의 치매 관련 대책은 건강보험 적용 확대 등 의료·지원 인프라 확대에 맞춰져 치매노인 관련 혜택은 꾸준히 증가해왔다.

 치매진료인원은 2006년 10만5253명에서 2014년 44만2855명으로 8년간 320.8%, 연평균 19.7%씩 증가했다. 치매진료비도 같은기간 1898억원에서 1조6142억원으로 750.5%, 연평균 30.7% 증가했다.

 반면 이 때문에 치매로 인한 사회적 비용도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지난해 장기요양서비스 이용자 43만5000명중 치매환자는 54.3%(23만6000명)으로 절반 이상을 차지한다. 1인당 평균 요양비용은 1023만원 수준에 달한다.

 지난 2013년 치매로 인한 사회적 비용 역시 11조7000억원에서 지난해 약 43조2000억원으로 269.2% 증가했다.

 오는 2050년까지 치매 노인은 유병율 15.1%인 약 271만명까지 증가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어 갈수록 치매에 따른 사회 비용 부담은 커질 수밖에 없는 구조다.

 이 때문에 치매 예방·조기검진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상황이다.

 해외 연구결과에 따르면 치매 고위험군을 조기발견·지속적 관리시 치매발병이 2년 지연되고 치매를 조기에 꾸준히 치료시 5년 후 요양시설 입소율이 55%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비용절감 규모는 연 5174억원 수준이다.

 이와 함께 치매 노인에 대한 가족 부담이 크다는 점도 문제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조사에 따르면 2012년 기준 치매 노인 1215명 중 72.1%가 가족의 수발을 받고 있는 상황이다. 또 대한치매학회가 치매환자 보호자 1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서 응답자의 78%가 치매환자 때문에 직장을 그만두거나 근로 시간을 줄였다고 답했다.

 정부도 조기발견에 따른 사회경제적 비용 절감을 위해 예방·조기발견을 통해 증상악화와 시설입소를 지연하는 전략을 추진 중이다.

 복지부는 저소득층 치매 노인중 치매위험이 높은 만 60세 이상을 대상으로는 보건소를 통해 치매검진을 지원하고 치매진단을 받은 경우 월 3만원 이내 치매 진료비와 약제비를 지원중이다.

 올해 치매전담실 도입, 인지활동형 방문요양 시간 확대 등 치매 관련 서비스를 지속 확대하고 있으며 재가 치매노인을 지원하기 위한 방문요양, 간호 통합서비스 등 다양화하고 있다.

 특히 가정내 치매노인 수발 부담을 줄이기 위해 중증치매수급자를 돌보는 가족에게 연간 6일 24시간 방문요양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치매 가족에 대한 지원도 강화해나가고 있다. 치매상담콜센터(1899-9988)를 통한 24시간 치매가족 상담제공도 제공 중이다.

 복지부 관계자는 "치매가 환자와 가족들만의 고통이 아니라 정부와 전 국민이 함께 노력해야하는 문제"라며 "치매 환자와 그 가족분들이 지역사회에서 안전하고 행복하게 살아갈 수 있도록 정부와 국민들이 함께 노력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

구독
구독
기사제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