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숨통 트는 '한한령'…배터리·항공·車 등 기대감 고조

등록 2017.05.17 14:41:26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서울=뉴시스】중국이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 관련 보복을 강화하고 있는 가운데 중국 국민의 롯데그룹 불매운동이 확산되고 일부 사람들이 한국산 차량을 파손되는 등 수위 높은 혐한 분위기가 확산되고 있다. 지린시 쟝난 롯데마트 앞에서 롯데 중국을 떠나라는 플래카드가 나 걸린 모습. 2017.03.03 

【서울=뉴시스】이연춘 한상연 유자비 기자 = 문재인 대통령 집권을 계기로 한중 관계 개선 움직임이
 나타나면서 국내 배터리·항공 및 자동차 업계의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17일 재계에 따르면 한반도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에 대한 보복으로 중국 당국의 '한한령(韓限令)'이 최근 새정부 출범에 맞춰 크게 완화될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중국과의 사업에서 큰 타격을 받아온 관련 업계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삼성SDI와 LG화학, SK이노베이션 등 배터리업계는 사드여파로 사실상 중단돼온 중국 내 배터리 공급이 조속히 재개되길 기대하는 모습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당장 훈풍이 분다고 해석하기는 시기적으로 이르지만 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논의를 지속할 것"이라고 말했다. 문재인 정부 출범과 특사 파견 등에서 좋은 결과가 있지 않을까 기대한다고 이 관계자는 전했다.

 또다른 관계자는 "중국 견제로 인해 고전해 온 전기차 배터리업계도 고민이 깊어진 게 사실"이라며 "올 들어 한국 기업에 대한 규제가 완화되길 기대했지만 사드 이슈가 불거지며 개선될 가능성이 줄어들고 있었지만 새 정부가 사드문제를 잘 풀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에 실적이 점층 나아질 것 같다"고 말했다. 아울러 중국과의 외교문제도 개선되고 있는 실정에 향후 체질 개선이나 기업 효율을 증가시키는 계기로 이어질 것 같다고 전했다.

 앞서 삼성SDI와 LG화학은 지난해 6월 중국 정부의 4차 인증에서 탈락하면서 사드의 후폭풍이 아니냐는 관측도 나왔다. 중국 정부가 보조금을 지급할 전기차 모델을 선정하는 과정에서 국내 업체 배터리가 적용된 전기차를 모두 제외했다.

 중국에서 전기차 제조사는 국가보조금을 받고, 판매상은 지방정부의 보조금을 받는 구조다.

 중국정부는 NCM(삼원계) 배터리를 탑재한 전기버스의 경우, 지역별로 번호판 혹은 보조금 혜택을 없애는 조치로 규제하고 있다. 리튬인산철(LFP) 배터리를 주력으로 하고 있는 중국업체들 보호 조치라는 해석이다.

 하지만 한중관계가 급속히 개선될 경우 1년 넘게 답보상태에 빠진 배터리 인증 문제 등이 자연스럽게
【서울=뉴시스】중국 정부의 사드 보복 제재조치가 폭력 범죄로 발전한 조짐을 보이는 가운데 관영 언론이 한국에 대해 제재를 하는 것은 국격 모독이나 한국인 개인 인격에 대한 모독이 아니라면서 제동을 걸었다. 지난 2일 인터넷에서 화제가 된 훼손된 현대차.

해결되는 것 아니냐는 기대를 하고 있다.

 항공과 자동차 업계도 대중 관계의 새로운 돌파구를 기대하고 있다.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은 중국에 각각 34개, 32개 노선을 운항 중이다. 아시아나항공은 여행객 기준 중국 비중이 20%에 달한다.

 특히 중국 정부에서 신규 취항과 증편을 불허할 방침을 정하면서 공격적인 노선 확장에 나서고 있던 저비용항공사(LCC)들 역시 타격이 불가피했다. 현대·기아차는 반한 감정 추이에 대한 면밀한 모니터링하면서 긴장감을 늦추지 못했다.

 항공업계 관계자는 "현재는 중국정부의 동향을 예의주시하고 있다"며 "변화된 분위기에 대한 기대가 크다. 금한령 해제 여부를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현대기아차는 올해들어 중국에서 급감한 차량판매가 정상화 될 수 있을지 주목하고 있다.

 지난 1분기 기준 중국 판매량은 전년동기 대비 현대차는 14%, 기아차는 36% 각각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자동차업계 관계자는 "현지 고객반응이나 경쟁사들의 마케팅에 변화가 생겼는지 아직 파악되진 않았지만 최근의 분위기 변화가 판매 회복으로 이어질지 조심스럽게 지켜보고 있다"고 전했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