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신산업 진출 늘리고 AI 확산…'중소기업 도약전략' 추진

등록 2024.04.29 10:30:00수정 2024.04.29 10:46:54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중기부, 5대 전략·17개 추진과제 마련

[서울=뉴시스]중소기업 도약 전략.(사진=중소벤처기업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중소기업 도약 전략.(사진=중소벤처기업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권혁진 기자 = 중소벤처기업부(중기부)가 중소기업의 새 도약을 위한 5대 전략, 17개 추진 과제를 수립하고 본격적인 행동에 나선다.

오영주 중기부 장관은 29일 오전 10시30분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 상생룸에서 브리핑을 갖고 '중소기업 도약전략'을 발표했다.

중소기업은 전체 기업수의 99%, 고용의 81%, 부가가치의 65%를 담당하고 있는 국내 경제 핵심 주체다. 매출액 대비 R&D 투자 비중은 대기업을 넘어서는 등 혁신 기반도 탄탄하다.

그러나 최근 미·중 패권경쟁, 자국 첨단산업 보호주의, ESG의 신 무역장벽화 등으로 글로벌 경영환경이 급속히 악화되고 신산업 출현 가속화, 디지털 전환 압력 증가, 인구 구조 변화에 따른 중소기업 구인난 심화 등 대내외적 경영환경의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

이에 중기부는 중소기업의 지속성장을 위해 '미래대비 선제적 대응'과 '신산업 진출 역량 강화'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판단, 분야별 현장 애로와 전문가 의견을 수렴한 전략을 마련했다. 이를 통해 7만3000여개인 혁신 중소기업을 2027년까지 10만개 수준으로 만들고, 부가가치를 70% 이상으로 끌어올리겠다는 구상이다.

5대 전략은 ▲혁신성장 ▲지속성장(이상 4가지) ▲함께성장 ▲글로벌 도약 ▲똑똑한 지원(이상 3가지)으로 구분된다.

우선 중기부는 '신산업 진출 촉진'으로 성장을 가속화한다. 전통산업 내 중소기업이 신산업 진출로 스케일업할 수 있도록 ‘사업전환 제도’를 신산업 중심으로 대폭 개편하는 식이다. 우수 딥테크 스타트업 DB를 구축하고, 대·중견기업과의 매칭 및 협력을 통한 스타트업 밸류업 프로그램도 선보인다.

산업 전반의 인공지능·디지털 전환으로 생산성 또한 제고한다. 제조데이터 표준 가이드를 정립해 개별 설비 중심에서 공장·기업 간 디지털 연결을 촉진하고 지역특화 AI 센터와 권역별 TP, 지자체 간 협업 연계를 강화한다.

현재 38% 수준인 국가전략기술분야 R&D 지원을 50% 이상으로 확대하고, 시장 주도로 벤처투자와 M&A를 촉진한다는 내용도 혁신성장에 담겼다. 

지속성장에는 탄소감축 규제, ESG 기준강화에 선제적 대응해 글로벌 경쟁력 강화의 계기로 삼는다는 구상과 중소기업 금융리스크 사전 파악으로 위험을 차단하는 조기경보 시스템 구축이 포함됐다. 이를 위해 중기부는 민간 신용평가사가 보유한 약 240만 중소기업의 신용등급, 휴·폐업 등을 활용할 계획이다.

저출산·고령화로 친족승계가 곤란한 중소기업의 지속경영을 돕고자 현행 가업 승계(친족) 개념은 기업 승계(M&A 등)로 확대한다. M&A 방식의 기업승계를 희망하는 중소기업에 대해서는 중앙정부·지자체, 민간 중개업체를 연계한 지원체계를 구축해 M&A 준비·컨설팅, M&A 매칭·중개, M&A 후 경영통합까지 전 단계를 지원한다.

최근 고물가, 산업 변화 등을 감안해 2015년 이후 10년 동안 조정이 없었던 업종별 중소기업 매출 기준의 적정성도 검토할 계획이다.

함께성장을 위한 방편으로는 대·중소기업이 윈윈할 수 있는 상생형 공급망 혁신 프로젝트를 가동한다. 지역 중소기업 육성을 전폭적으로 지원하고, 대·중소기업 임금격차 완화 및 가정 친화적 근무환경 조성으로 중소기업 재직 유인을 강화한다.

19만 외국인 유학생과 중소기업간 인재매칭 및 비자 전환(D2·D10→E7)으로는 글로벌 도약을 지원한다. 또한 모태펀드 해외펀드 출자 등으로 국내 스타트업의 해외 투자유치를 지원하는 글로벌펀드를 2027년까지 4조원 추가로 조성하고 독일 프라운호퍼 연구소, 슈타인바이스 재단 등 해외 유수 연구소·대학과의 R&D 협력을 꾀한다.

재외공관, 공공기관, 대기업 해외지사 등은 '민·관 글로벌 원팀'으로 중소기업 현지 애로해소를 돕는다.

AI 기반 개방형 선정·평가모델 도입은 좀 더 체계적인 지원을 위한 장치다. 집중 관리에 필요한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도 신규 추진된다. 현재 53%인 신성장 분야 신규 정책금융 공급 비중은 2027년까지 70% 수준으로 확대하고, 후속투자의 어려움을 겪는 스타트업 대상 정책금융 지원은 2027년 5000억원(현재 3000원)으로 늘린다.

중기부는 이같은 전략 이행을 위해 과제별 세부 실천방안 마련과 필요한 입법 절차 진행 및 관계 부처와 협력 강화에 나설 방침이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