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삼환기업 소액주주, 법정관리 신청

등록 2017.09.13 08:33:15수정 2017.09.13 09:49:54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서울=뉴시스】삼환기업 최용권 명예회장(왼쪽). (사진=뉴시스 DB)  mania@newsis.com

【서울=뉴시스】삼환기업 최용권 명예회장(왼쪽). (사진=뉴시스 DB)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이승주 기자 = 상장폐지 이후 자본잠식이 심화하고 있는 '70년 건설·토목명가' 삼환기업을 살리기 위해 소액주주들이 팔을 걷어붙였다.

 13일 건설업계 및 삼환 소액주주 모임에 따르면 소액주주들은 지난 11일 서울회생법원에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를 신청했다. 이처럼 기업을 살리기 위해 경영진이 아닌 소액주주들이 법정관리를 신청한 것은 이례적인 일이다.
    
 홍순관 삼환기업 소액주주 대표는 "지난 2015년 상장폐지 이후 결손이 계속되는 등 경영난이 악화됐지만, 경영진은 회사 살리기보다 자신들 지분 늘리기에만 급급했다"며 "이러다 회사가 파산에 이를 수 있겠다 우려해 우리가 직접 나선 것"이라고 말했다.
 
 소유지분의 10%가 넘으면 법정관리를 신청할 수 있다. 현재 소액주주 총 지분은 약 17%에 이른다.

 소액주주 모임에 따르면 삼환기업은 연말까지 약 650억원을 갚아야 한다. 이를 위해 최고 12%에 달하는 고금리 이자를 내고 있다. 하지만 영업이익이 나지 않아, 자산을 팔면서 이를 갚고 있는 상황이다.

 지난 4월 이후 전도금조차 지급되지 않아 직원들이 사비를 털어 운영되는 현장도 상당수다. 협력업체 미지급금도 100억원이 넘는데 유동성위기도 심각한 상태다. 지난해 말 회계감사 의견거절이 난 뒤 신용등급이 하락하면서 사실상 공사수주도 끊겼다. 

 삼환기업 소액주주들은 지난 2015년 한차례 법정관리를 신청한 적 있다. 하지만 금융채권단의 반대로 반려됐다.

 홍 대표는 "(이전 법정관리 신청 당시) 경영진은 사유재산을 털어서라도 회사를 살리겠다고 약속했지만 하나도 지키지 않았다. 본인들 지분 늘리기에만 급급할 뿐 회사를 살릴 생각이 없어보였다"며 "무책임한 대주주로 인해 70년 역사의 삼환기업이 역사에서 사라지는 것은 애통한 일이라 생각해 법정관리를 다시 신청하게 됐다"고 말했다.
 
 이어 "지난 2015년보다 회사상황이 악화돼 금융채권단도 위기를 느끼고 있을 것"이라며 "이번에는 회생절차가 진행돼 회사가 정상화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삼환기업은 지난 1946년 고 최종환 회장이 설립한 중견 건설사다. 국내 건설사 중 가장 처음으로 중동에 진출했다. 1960~70년대에는 도급순위 5위권 내에 들 정도였다.

 하지만 지난 1996년 최용권 회장이 경영권 바톤을 이어받은 뒤 내리막길을 걷기 시작했다. 국제통화기금(IMF) 위기 이후 불법 정리해고 논란 및 비자금 문제도 터졌다. 2012년 법정관리에 들어갔지만 조기에 졸업했다.

 2015년에는 상장폐지됐다. 회계감사 의견거절, 신용등급 하락 등으로 자본잠식 및 7년째 영업손실을 이어가고 있다. 시공능력평가 순위도 올해 기준 67위까지 하락했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