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김정은 軍사열 논란 최소화…靑 "DJ·盧도 北의장대 사열"

등록 2018.04.26 15:56:47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서울=뉴시스】안지혜 기자 = 문재인 대통령은 오전 9시30분 판문점 군사정전위원회 회의실 앞 군사분계선(MDL) 선 위에서 김정은 국방위원장과 첫 만남을 갖는다. hokma@newsis.com

【서울=뉴시스】안지혜 기자 = 문재인 대통령은 오전 9시30분 판문점 군사정전위원회 회의실 앞 군사분계선(MDL) 선 위에서 김정은 국방위원장과 첫 만남을 갖는다.  [email protected]

【남북정상회담 프레스센터(고양)=뉴시스】김형섭 김성진 기자 = 오는 27일 남북 정상회담에 앞서 진행될 국군 의장대 사열이 약식으로 결정되고 전통의장대를 행사 전면에 내세운 것은 정치적 논란을 최소화하기 위한 결정으로 풀이된다.

 26일 남북 정상회담 준비위원장인 임종석 대통령비서실장에 따르면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정상회담에 앞서 자유의 집과 평화의 집 사이에 있는 판문점 광장에서 의장대 사열을 포함한 공식 환영식을 갖는다.

 군 의장대 사열은 국가 환영행사 의전 가운데 최상의 예우를 표현하는 방식 중 하나다. 북한 최고지도자가 우리 군의 의장대를 사열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를 두고 일각에서는 정치적 논란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우리 군의 주적이 여전히 북한이고 남북이 분단된 상황에서 북한 최고지도자가 국군을 사열하는 게 적절하냐는 것이다.

 임 실장도 이같은 비판을 의식한 듯 김 위원장의 군 의장대 사열 소식을 전하면서 "2000년 김대중 대통령과 2007년 노무현 대통령의 평양 방문에서 열린 공식 환영식에서도 남북 두 정상은 북측 육·해·공군 의장대의 사열을 한 바 있다"고 말했다.

 앞서 김 전 대통령은 2000년 6월13일 평양 순안공항에서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안내를 받으며 인민군 명예의장대를 사열했다. 당시 태극기 게양이나 애국가 연주, 예포발사 등은 없었지만 의장대와 군악대가 '레드 카펫'을 따라 도열했다.

 2007년 10월2일 노 전 대통령의 평양 방문 당시에는 평양시 모란봉구역 4·25문화회관 광장에서 환영행사가 열렸다. 노 전 대통령은 김정일 위원장과 함께 분열대에 올라가 인민군을 사열한 후, 북한 당·정·군 고위인사와 인사를 나눴다. 역시 태극기 게양이나 애국가 연주, 예포 발사 등은 없었다.​

 과거 두 차례 남북 정상회담에서도 이처럼 남한 정상이 북한 의장대를 사열한 전례가 있는 만큼 상호주의 차원에서 국군 의장대 사열을 결정한 것이라는 게 청와대의 설명이다.

 전날 남북 정상회담에서의 의장대 사열을 처음 발표한 국방부도 보도자료를 통해 미·소 냉전시대 때도 군 사열은 이뤄졌다는 점을 강조했다.
【서울=뉴시스】박진희 기자 = 죠셉 던포드 미국 합참의장 환영 의장 행사가 열린 27일 오전 서울 용산국 합동참모본부 대연병장에서 국방부 의장대가 행사를 준비하고 있다. 죠셉 던포드 미국 합참의장은 한·미 합참의장이 공동 주관하는 제42차 한·미 군사위원회회의(MCM)에 참석차 방한했다. 2017.10.27. pak7130@newsis.com

【서울=뉴시스】박진희 기자 = 죠셉 던포드 미국 합참의장 환영 의장 행사가 열린 27일 오전 서울 용산국 합동참모본부 대연병장에서 국방부 의장대가 행사를 준비하고 있다.  죠셉 던포드 미국 합참의장은 한·미 합참의장이 공동 주관하는 제42차 한·미 군사위원회회의(MCM)에 참석차 방한했다. 2017.10.27. [email protected]

국방부에 따르면 1972년 리처드 닉슨 전 대통령의 소련·중국 방문, 1987년 미하일 고르바초프 전 소련 공산당 서기장의 미국 방문, 1988년 로널드 레이건 전 대통령의 소련 방문 당시에도 상대국 정상에 대한 의장대 사열이 이뤄졌다.

 이번 사열은 조선시대 복장을 입은 전통의장대의 호위로 시작된다. 또 의장대 행사 간 인공기 게양이나 북한 국가 연주도 생략되고 그 규모 역시 100여명 안팎으로 구성한 약식으로 진행될 것으로 전해졌는데 이 역시 보수진영의 비판을 감안해 논란의 여지를 최대한 줄이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