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UNIST, '꿈의 신소재' 그래핀 새로운 엠보싱 형태로 제작

등록 2018.05.10 12:00:00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UNIST,IBS 로드니 루오프 특훈교수, 실험 확인

【울산=뉴시스】구미현 기자 = UNIST는 로드니 루오프 특훈교수(기초과학연구원 다차원 탄소재료 연구단)가 엠보싱을 넣은 것처럼 볼록하게 돌출된 반구 형태의 그래핀을 제작해 기존 평면 그래핀보다 높은 화학적 반응성을 가짐을 실험적으로 확인했다고 10일 밝혔다. (사진=UNIST 제공) 2018.05.10. photo@newsis.com

【울산=뉴시스】구미현 기자 = UNIST는 로드니 루오프 특훈교수(기초과학연구원 다차원 탄소재료 연구단)가 엠보싱을 넣은 것처럼 볼록하게 돌출된 반구 형태의 그래핀을 제작해 기존 평면 그래핀보다 높은 화학적 반응성을 가짐을 실험적으로 확인했다고 10일 밝혔다. (사진=UNIST 제공) 2018.05.10. [email protected]


【울산=뉴시스】구미현 기자 = 국내 연구진이 '꿈의 신소재'라 불리는 그래핀(graphene)을 새로운 형태인 엠보싱 모양으로 제작해 실험하는데 성공했다.

 UNIST는 로드니 루오프 특훈교수(기초과학연구원 (IBS)  다차원 탄소재료 연구단)가 엠보싱을 넣은 것처럼 볼록하게 돌출된 반구 형태의 그래핀을 제작해 기존 평면 그래핀보다 높은 화학적 반응성을 가짐을 실험적으로 확인했다고 10일 밝혔다.

 또 '엠보싱 그래핀' 내부의 원하는 부위만 온도를 높여 선택적인 반응을 유도할 수 있다는 사실도 밝혀냈다.

 라만 분광법(Raman Spectroscopy) 을 이용한 이번 연구는 반응성이 높아 잠재적인 활용가치가 높지만 제작이 어려웠던 '엠보싱 그래핀'의 물리적·화학적 물성을 발현시키는 실마리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래핀의 평면 격자구조를 변형하면 탄소원자의 반응성이 달라져 새로운 물성이 발현될 수 있다. 하지만 이 과정은 주로 복잡한 공정들을 수반해 그래핀이 손상되는 경우가 많아 관련 연구가 활발히 이뤄지지 않았다.

그래핀 활용 분야 역시 주로 육각형 격자 구조 그대로의 평면 그래핀이 가진 고유의 성질을 활용하는 것에 국한돼 왔다.

 이번 연구에서 IBS 연구진은 흑연에서 떼어낸 고품질의 그래핀으로 연구에 적합한 크기와 높이를 가지는 엠보싱 그래핀을 만드는데 성공했다. 기판 위에 그래핀 박막을 올린 후 가열해 기판표면에 흡착되어 있던 불순물 분자들을 기화되며 그래핀 안에 갇히어 볼록하게 돌출된 엠보싱 그래핀을 만들었다.

 연구진은 라만 분광법을 이용해, 평평한 그래핀 격자에 굴곡이 생기면 탄소 원자간 거리가 늘어나고 장력(tension)이 생기면서 탄소 원자간 결합력이 약해져 화학적 반응성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했다.

 추가로 연구진은 엠보싱 그래핀의 국소부분을 가열하고 라만분광법으로 측정한 수치를 바탕으로 해당 위치의 온도를 계산값으로 산출해 냈다.

 이를 이용해 엠보싱 중심점에서 가장자리로 열이 확산되는 속도를 측정해 그래핀 고유의 특성인 높은 열전도성을 확인했다.

 이번 연구 이전까지 엠보싱 그래핀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연구는 거의 없었으며, 열전도도 측정도 복잡한 과정을 수반했다.

 더 나아가 연구진은 라만 분광법의 단일 파장 레이저 조사가 엠보싱 그래핀의 온도를 상승시킴에 착안해, 엠보싱 그래핀의 온도를 제어하는 방법을 알아냈다.

 또 레이저 빛의 강도에 따라 온도 변화의 폭이 결정됨을 실험적으로 밝혀냈다. 레이저 조사 위치와 빛의 강도에 따라 온도를 자유자재로 제어할 수 있게 된 것이다.

 루오프 단장은 "이번 연구는 라만분광법만으로 쉽게 그래핀의 높은 열전도성을 확인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줬고, 엠보싱 그래핀 온도 조절을 통해 선택적인 반응이 유도되는 메카니즘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공한다"며 "또 엠보싱 그래핀에 대한 물리적 성질을 더 이해한다면, 더욱 다양한 응용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피지컬 리뷰 레터스(Physical Review Letters, IF=8.462 ,DOI:10.1103/PhysRevLett.120.186104)에 미국 동부시간으로 2018년 5월3일자에 게재됐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