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文대통령 중재 외교 시험대···북미 비핵화 담판 접점 마련 '올인'

등록 2018.05.22 14:34:37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커져가는 한미회담 중요성에 文대통령 부담감 '가중'

비핵화 합의 이행 절충점, 안전한 성사도 한미회담 몫

【메릴랜드(미국)=뉴시스】전진환 기자 =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숙 여사가 21일 오후(현지시각) 한미 정상회담을 위해 미국 메릴랜드주 앤드류스 합동기지에 도착해 전용기에서 내리고 있다. 2018.05.22. amin2@newsis.com

【메릴랜드(미국)=뉴시스】전진환 기자 =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숙 여사가 21일 오후(현지시각) 한미 정상회담을 위해 미국 메릴랜드주 앤드류스 합동기지에 도착해 전용기에서 내리고 있다. 2018.05.22. [email protected]

【워싱턴D.C=뉴시스】김태규 기자 = 미국 워싱턴을 방문 중인 문재인 대통령이 22일(현지시각)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한반도 비핵화와 항구적인 평화정착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무릎을 맞댄다.
 
 문 대통령은 취임 후 네 번째로 성사된 한미 정상회담을 통해 '비핵화 담판'이 될 것으로 전망되는 북미 정상회담의 성공적인 견인을 위해 트럼프 대통령과 남·북·미가 각기 그리고 있는 '비핵화 로드맵 퍼즐'을 맞춘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후 1시 미국 백악관 오벌 오피스에서 트럼프 대통령과 한미 단독 정상회담을 한 뒤, 장소를 옮겨 주요 참모들이 참석하는 확대 정상회담을 갖는다.

 남북 정상회담과 북미 정상회담 사이에 성사된 한미 정상회담은 '한반도 비핵화 여정'의 안전한 '징검다리'로써의 의미를 지닌다.

 전례 없던 북미 정상회담을 앞두고 비핵화 문턱에서 주저하고 있는 북미 정상을 회담테이블로 안전하게 이끄는 게 이번 한미 정상회담의 최우선 목표라 할 수 있다.

 한미 정상회담은 당초 목적과 달리 최근 표출되고 있는 북미 간의 이상기류로 인해 북미 정상회담 자체를 성사시키는 쪽으로 무게 중심이 이동했다.
 
 북미 정상회담에서의 최선의 비핵화 합의를 이끌어내기 위한 과정 속의 일부분이었던 한미 정상회담의 중요성이 더욱 늘어난 것이다.

 정의용 국가안보실장은 21일 워싱턴으로 향하는 대통령 전용기 안에서 "한미 두 정상은 6월12일로 예정된 싱가포르 북미 정상회담을 성사시키는 것과 북미 정상회담에서 비핵화 합의가 이뤄질 경우 그 합의를 어떻게 이행해 나갈 것인지 논의하기 위한 2가지 목표만을 갖고 만난다"고 말했다.
 
 당초 문 대통령은 남북 정상회담을 통해 확인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구상하는 비핵화 로드맵을 트럼프 대통령에게 전달하고, 반대로 트럼프 대통령의 생각을 수렴해 북한에 전달하는 단순 중재자 역할로 포지셔닝을 해왔다.

 하지만 북한이 지난 16일 한미 연합공중훈련인 '맥스선더(MaxThunder)' 훈련과 태영호 전 주영 북한대사관 공사의 국회 기자회견을 문제 삼아 당일 예정된 남북 고위급 회담을 무기한 연기하겠다고 밝힌 뒤 남북 관계는 악화일로를 걸었다.
 
 뿐만아니라 북한은 비핵화 합의의 상징인 김계관 외무성 제1부상의 담화를 통해  '선(先) 핵포기, 후(後) 보상', '리비아식 해법', '대량살상무기(WMD)가 포함된 PVID' 등비핵화 허들을 높여온 미국을 향해 북미 정상회담 재검토 가능성을 시사하는 등 브레이크를 걸었다.

 상황이 이토록 돌변 하면서 '소극적' 중재자 역할에 머물렀던 문 대통령은 북미 간 '적극적' 중재자 역할을 하겠다고 팔을 걷어부치고 나섰다. 한반도 평화정착을 위한 필수적인 남북관계 개선과 비핵화라는 두 축에서 모두 이상 신호가 감지된 데 따른 위기감 때문이었다.

 청와대가 북미를 향해 '역지사지(易地思之)'를 강조한 것도 어렵사리 조성된 현재의  판 전체를 깰 수 없다는 다급함에서 나온 메시지였다. 비핵화 협상의 문턱을 낮추기 위해 북한과 미국에 각각 한 발씩의 양보를 요구한 것이다.
 
 "북한 측 입장에서 우리가 이해를 하는 방향으로 노력하고 있다"는 정의용 실장의 말도 이러한 평가를 뒷받침한다.
文대통령 중재 외교 시험대···북미 비핵화 담판 접점 마련 '올인'


 때문에 적극적 중재자 역할을 강조한 문 대통령 외교 능력은 이번 한미 정상회담을 통해 진정한 검증대에 서게 됐다는 관측에는 이견이 없다. 한반도 비핵화 과정에 있어 문 대통령의 정교한 핸들링이 요구되는 시점이다.

 북한과 미국 사이에서 양측의 의도를 정확히 전달해 서로가 현 정세를 오판하는 일을 막도록 해야하는 막중한 임무를 띄게 됐다.
 
 문 대통령은 이미 워싱턴 출국 하루 전 트럼프 대통령과의 통화에서 북한의 메시지와 관련한 생각을 주고 받았다.

 물리적 시간 제약을 극복하기 위해 사전에 필요한 논의를 정상통화로 끝낸 뒤 직접 만남에서는 심도 깊은 논의를 진행하기 위한 절차로 풀이된다.
 
 정 실장은 "대개의 정상회담은 합의문 작성 등 99.9% 사전 조율을 끝내는 것이 관행이었지만 이번 회담은 그런 것이 전혀 없이 이뤄졌다"고 말했다.
 
 한미 정상회담 가운데서 통역을 제외한 배석자 없이 이뤄지는 두 정상 간의 단독회담이 하이라이트라 할 수 있다. 문 대통령과 김정은 위원장의 '도보다리 회담'에 비유된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문 대통령의 이번 방미 목적은 두 정상 간의 단독회담에서 이루어질거라 본다"며 단독회담의 중요성을 강조한 바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국 조야에서는 시간이 흐를수록 북미 정상회담에 대한 회의적인 목소리가 제기되고 있어 한미 정상회담을 앞둔 문 대통령에게는 부담요소로 작용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뉴욕타임스는 20일(현지시간) 미국 정부와 외국 정부 관계자를 인용해 트럼프 대통령이 북미 정상회담을 계속 진행하는 위험 부담을 떠안고 계속 가야하느냐며 백악관 참모들을 다그쳤다고 보도했다.

 청와대는 이와 관련해 애써 태연함을 유지하려는 분위기가 감지된다.

 정 실장은 "그러한 것을 저희가 감지한 것은 없다"며 "국가안전보장회의(NSC) 간 소통과 한미 정상 간 통화 때도 그런 것을 느낀 적 없다"고 일축했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기자들과 만나 "뉴욕타임스 보도는 최근의 흐름을 잘못 짚은 측면이 강한 오보"라고 말했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