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해양 미세플라스틱 35% 세탁물 미세섬유…생태계 위협 심각

등록 2020.01.17 05:30:00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패스트패션 급증 영향 커…"중장기적 관리必"

【서울=뉴시스】환경단체 그린피스 서울사무소와 여성환경연대가 7일 서울 여의도 국회 정론관에서 강병원 더불어민주당 원내부대표와 함께 미세 플라스틱 규제 입법 촉구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2016.09.07. (사진=그린피스 제공) photo@newsis.com

【서울=뉴시스】환경단체 그린피스 서울사무소와 여성환경연대가 7일 서울 여의도 국회 정론관에서 강병원 더불어민주당 원내부대표와 함께 미세 플라스틱 규제 입법 촉구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2016.09.07. (사진=그린피스 제공)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정성원 기자 = 해양에서 발견되는 미세 플라스틱의 35%를 차지하는 미세섬유(Microfiber)에 대한 규제 움직임이 더뎌 환경당국이 손놓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미세섬유는 합성섬유 재질의 옷에서 나오는 미세 플라스틱의 일종이다. 바다나 하천으로 흘러간 미세섬유는 물 속 독성물질을 빨아들인 후 바다생물에 흡수된다. 플랑크톤에서 작은 물고기-큰 물고기-사람으로 이어지는 먹이사슬에 따라 사람에게 되돌아온다.

서울대 보건대학원 환경보건학과 조경덕 교수와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에 따르면 해양에 유입되는 미세 플라스틱의 35%는 세탁물 미세섬유이며, 하천이나 바다에 흘러가는 양은 연간 100만t에 이른다.

미세섬유의 배출량은 유행에 따라 생산과 소비가 빠르게 이뤄지는 패스트패션(SPA)에 의해 더 늘어났을 것으로 추정된다.

국제 환경단체 그린피스가 지난 2016년 말 내놓은 '패스트 패션 중단'(Timeout for fast fashion) 보고서에 따르면 2000년부터 H&M, 자라, 유니클로 등의 SPA 브랜드가 급성장하면서 2014년까지 의류 생산은 2배로 증가했다. 이 기간동안 의류는 1000억장 이상 판매됐다.

SPA 업계가 가장 많이 사용하는 소재는 '폴리에스터'이다. 그린피스 영국지부의 탐사보도 매체에 따르면 폴리에스터 등 합성섬유를 사용한 의류의 양은 2000년 대비 2016년에 2배 이상 증가했다. 특히 지난해 생산된 의류 중 60% 이상에 폴리에스터가 사용됐을 정도로 20년 동안 그 사용량은 꾸준히 증가해 왔다.

현재 우리나라의 미세 플라스틱 규제는 마이크로비즈(Microbeads)에만 집중돼 있다.

지름 5㎜ 이하인 고체 플라스틱 입자인 마이크로비즈는 크림이나 로션이 부드럽게 퍼질 수 있도록 해 각질제와 치약, 세제, 일반의약품 등에 첨가됐다. 또 알갱이에 색이 입혀진 경우 시각적 효과도 줄 수 있어 여러모로 이용돼 왔다.

그러나 마이크로비즈가 걸러지지 않고 하천과 바다로 흘러가 생태계에 부작용을 끼친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마이크로비즈를 규제하기 시작했다.

우리나라는 지난 2017년 화장품과 세안제를 시작으로 지난해엔 세제와 섬유유연제 등에 마이크로비즈를 첨가하지 못하도록 했다.

특히 지난해 2월 환경부는 지난 2018년 6월부터 생활화학제품 내 미세 플라스틱에 대한 실태 조사 연구를 진행 중이고, 이후 글로벌 기준에 맞춰 생활화학제품에 들어가는 미세 플라스틱을 관리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서울=뉴시스】서울의 한 대형백화점에서 고객들이 옷을 보고 있다. (사진= 뉴시스 DB)

【서울=뉴시스】서울의 한 대형백화점에서 고객들이 옷을 보고 있다. (사진= 뉴시스 DB)

그러나 생활화학제품 만으로는 미세섬유 배출을 규제할 수 없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미세섬유를 배출하는 합성섬유 재질의 의류가 생활화학제품에 포함되지 않기 때문이다.

'생활화학제품 및 살생물제의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화학제품안전법) 제3조에서는 생활화학제품을 '가정, 사무실, 다중이용시설 등 일상적인 생활공간에서 사용되는 화학제품으로 사람이나 환경에 화학물질의 노출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정의하고 있다. 즉 세정제품, 세탁제품, 접착·접합제품, 방향·탈취제, 보존처리제, 살균제품 등만 생활화학제품에 해당한다.

환경 전문가들은 미세섬유 배출 저감을 위한 중장기적 대책 마련에 나서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홍수열 자연순환사회연구소 소장은 "아직 미세섬유 배출을 줄이는 기술이 없고 생산자 규제도 마땅찮은 게 현실"이라면서 "무엇보다 미세섬유를 해양 생태계를 교란시키고 인체를 해롭게 하는 플라스틱이라 생각하지 않는 국민 인식이 가장 문제"라고 말했다.

이어 "합성섬유 재질의 옷 사지 않기와 빨래 횟수 줄이기 등 미세섬유를 줄이기 위한 방안이 나오고는 있지만 사후 대책에 불과하다"면서 "미세섬유 사용이 근본적으로 줄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미세섬유를 비롯해 미세 플라스틱 전반에 대한 포괄적인 규제도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현지원 그린피스 커뮤니케이션 담당자는 "국내 일회용품 규제를 보면 일회용 컵과 포크만 '핀포인트'로 규제할 뿐 전체 플라스틱 식기는 규제하지 않는다"면서 "미세 플라스틱도 특정 제품군이나 생활화학군을 정해 규제하지 말고 포괄적으로 규제해야 한다"고 말했다.

홍 소장도 "미세 플라스틱 전체를 관장할 수 있는 법안을 마련하거나 환경보건법에 미세 플라스틱을 전반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규정이 추가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