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위안화 또 절하한 中…환율 갈등, 전면전으로 가나

등록 2018.07.24 13:17:41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인민은행, 24일 위안화 기준치 0.44% 절하

"관세 카드 제한적인 중국이 환율로 보복" 관측 제기

美, 위안화 약세 지속시 10월 환율보고서로 대응할 듯

"트럼프, '제2의 플라자합의' 시나리오 가동" 분석도

【서울=뉴시스】 추상철 기자 = 위안화가 기준치 1달러=6.3732위안으로 3일 대비0.0211위안, 0.33% 올라 중국인민은행은 5거래일만에 절상을 고시했다. 4일 오후 서울 중구 KEB하나은행에서 은행직원이 위안화를 정리하고 있다. 2018.05.04. scchoo@newsis.com

【서울=뉴시스】 추상철 기자 = 위안화가 기준치 1달러=6.3732위안으로 3일 대비0.0211위안, 0.33% 올라 중국인민은행은 5거래일만에 절상을 고시했다. 4일 오후 서울 중구 KEB하나은행에서 은행직원이 위안화를 정리하고 있다. 2018.05.04.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안호균 기자 = 중국이 위안화 가치를 다시 한 번 큰 폭으로 절하하면서 미국과 중국이 무역에 이어 환율 문제로도 정면 대치하는 모양새가 연출되고 있다.

 중국 인민은행은 24일 위안화 기준치를 1달러=6.7891달러로 설정 고시했다. 전일(1달러=6.7593위안) 대비 통화 가치를 0.44%나 절하한 것이다.

 인민은행은 23일 위안화 기준치를 0.12% 절상하며 7거래일 연속 절하 기조를 중단하는 듯 했지만, 이날 다시 통화 가치를 큰 폭으로 떨어뜨렸다.

 시장 환율도 급등(통화가치 하락)세를 나타내고 있다. 전날 역내 시장에서 6.78 위안 수준이었던 달러당 위안화 환율은 이날 장중 6.82 위안을 돌파했다. 역외 시장에서는 환율이 6.83 위안을 넘어섰다.

 위안화 가치는 올해 들어서만 5% 넘게 하락했다. 미국은 중국이 무역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의도적으로 통화 가치를 떨어뜨리고 있다고 의심하고 있다.

 중국은 최근 중기유동성지원창구(MLF) 대출을 통해 시중은행에 대한 유동성 공급을 확대하고 지급준비율을 인하하는 등 통화 완화 정책을 적극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이같은 '돈풀기'는 경기 둔화를 방지하기 위한 의도가 크지만 위안화 약세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 때문에 미국의 '관세폭탄'에 대한 대응 차원에서 중국이 환율을 '무기화' 하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는 '환율 조작' 의혹을 제기하며 중국에 대한 압박에 나섰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0일 트위터를 통해  "중국과 유럽연합(EU), 다른 이들은 자신들 통화를 조작하고 기준금리를 낮췄다"며 "그런데 미국은 달러가 날이 갈수록 강세가 되고 있는데도 금리를 올리고 있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중국은 위안화 가치가 시장의 수급에 의해 결정되고 있으며, 최근 기준환율의 조정도 정상적인 경제 정책의 일환이라는 입장이다.

 겅솽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23일 정례브리핑에서 "위안화 환율을 주로 시장의 공급과 수요에 따라 결정된다"며 "중국은 통화를 경쟁적으로 평가절하해 수출을 자극할 생각이 없다"고 강조했다.

 미국은 오는 10월 발표하는 반기 환율보고서로 중국의 위안화 절하에 대응할 것으로 예상된다.

 스티븐 므누신 미국 재무장관은 지난 20일 로이터통신과의 인터뷰에서 중국 위안화 약세를 주시하고 있으며 위안화 환율이 조작됐는지를 면밀히 검토할 것이라고 전했다. 오는 10월 환율보고서에서 중국을 '환율 조작국'으로 지정할 수 있음을 시사한 셈이다.

 미 재무부는 2015년 도입된 교역촉진법에 따라 2016년부터 매년 4월과 10월 대미 수출 규모가 큰 국가들의 환율 조작 여부를 점검한 보고서를 발표한다.

 보고서에서 ▲현저한 대미 무역흑자(200억 달러 초과) ▲상당한 경상흑자(GDP의 3% 초과) ▲지속적 일방향 시장개입(연간 GDP 대비 2% 초과, 8개월 이상 순매수) 등 3개 요건에 모두 해당할 경우 심층분석대상국(환율조작국)으로 지정된다.

 중국은 환율조작국은 아니지만 2016년 4월부터 매번 '관찰대상국'으로 지정되고 있다. 2개 요건에 해당되는 한국, 일본, 독일 등과 달리 중국은 1개 요건(현저한 대미 무역흑자)에만 해당되는대도 관찰 대상국으로 분류되고 있다. 미국이 중국을 견제하기 위해 2017년  4월 보고서에서 '대미 흑자 규모와 비중이 큰 국가의 경우 1개 요건만 충족해도 관찰대상국으로 지정한다'는 새로운 기준을 도입했기 때문이다.

 중국이 이번 보고서에서 3가지 기준에 모두 해당돼 환율조작국으로 지정될 가능성은 거의 없다. 이 때문에 트럼프 행정부가 환율보고서를 중국의 위안화 절하에 대한 견제 수단 정도로 활용할 가능성이 높다는 전망이 나온다.

 하지만 1988년 도입된 종합무역법을 활용하면 미국이 중국을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하는게 불가능한 일도 아니다. 이 법은 상당한 대미 무역흑자를 내는 나라를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미국이 이번 환율 공세를 통해 결국 1985년 플라자합의 같은 결과를 바라고 있다는 분석도 있다. 중국이 위안화 절상에 합의하는 방식으로 문제가 해결될 수도 있다는 뜻이다.

 골드만삭스는 최근 트럼프 대통령의 행동은 미 달러화의 '협상적 약세'로 해결된 이전 무역 전쟁의 대본을 따르고 있다고 분석했다.

 중국과 미국의 환율 갈등은 양국의 관세 조치와도 연동돼 있어 작은 갈등 요인이 매우 큰 '상승 효과'를 만들어낼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중국이 계속해서 보복하 경우 관세 조치를 5000억 달러 규모까지 확대할 수 있다고 공언했다. 중국에서 수입하는 모든 제품에 추가 관세를 물릴 수 있다는 뜻이다.

 중국의 대미 수입액은 연간 1300억 달러 규모여서 같은 규모의 관세 보복을 하기 어렵다. 미국이 관세 조치의 규모를 늘릴 경우 중국은 계속해서 위안화 절하와 같은 비관세적 보복을 이어갈 수 밖에 없다.

 닐 매키넌 VTB캐피털 이코노미스트는 이날 포천지에 "무역 전쟁의 위험은 계속 심화되고 있으며, 전면적인 통화 전쟁에 대한 위험도 함께 확대되고 있다"고 말했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