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중동분쟁 확전 우려…"의약품 수급은 괜찮을까" 불안불안

등록 2024.04.16 07:01:00수정 2024.04.16 07:30:51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전운 고조에 의약품 수급 불안정 우려

미리 비축 각국 경쟁 가중 될 수 있어

원료 자급률 제고 약가정책 실행 시급

[뉴욕=AP/뉴시스] 지난 14일(현지시각)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열린 긴급 안전보장이사회에 참석한 아미르 사이드 이라바니 유엔 주재 이란대사가 발언하고 있다. 2024.04.15.

[뉴욕=AP/뉴시스] 지난 14일(현지시각)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열린 긴급 안전보장이사회에 참석한 아미르 사이드 이라바니 유엔 주재 이란대사가 발언하고 있다. 2024.04.15.


[서울=뉴시스]송연주 기자 = 이란의 보복 공습에 따라 중동 전운이 고조되면서 또다시 의약품 수급 불안정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16일 제약업계에 따르면 이란이 지난 13일 이스라엘로 300개 이상의 드론·미사일을 날려 보낸 후 업계는 중동 정세와 일촉즉발의 확전 가능성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확전될 경우 고물가·고금리에 이어 고유가의 삼중고에 허덕이게 될 뿐 아니라 코로나19, 우크라이나 전쟁 후 불거진 의약품 수급 불균형 문제가 더 심해질 수 있어서다.

중동 전쟁의 최악 시나리오까지 가지 않더라도, 중동 리스크가 고조된다는 이유만으로 의약품을 미리 비축해두려는 각국 경쟁이 가중될 거란 지적이다.

정윤택 제약산업전략연구원장은 "만에 하나 중동 전쟁으로까지 이어진다면 전쟁 시 수요가 늘어나는 의약품의 생산·공급에 쏠리게 되고, 그 영향을 받아 각국에서 의약품을 비축하려는 노력이 거세질 것"이라며 "의약품 수급은 국가안보의 문제"라고 말했다.

이어 "확전되지 않더라도 의약품을 확보하려는 각국 노력이 경쟁적으로 이뤄질 것이므로 미리 준비하지 않으면 더 수습하기 어려워질 것"이라고 지적했다.

의약품 수급 불안은 코로나19로 공급망이 불안정해지면서 세계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다. 코로나19 기간 동안 각국에서 환자 생명과 직결되는 해열제, 진통제, 항생제, 필수의약품의 수요가 급증했다. 반면 원료물질 부족, 배송 지연, 무역 제한에 따라 공급망이 타격받으며 의약품 부족 현상으로 이어졌다.

지난해 6월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의 해외시장뉴스를 보면 미국의 경우 어린이용 감기약 같은 일반의약품(OTC)부터 식염수,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치료제, 항생제, 항암제 및 각종 처방약에 이르기까지 역대 최악의 부족 사태를 겪었다.

제약산업 중심지인 스위스도 의약품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2022년 말부터 스위스 언론에선 항생제, 이부프로펜, 파라세타몰 등 일반 진통제, 파킨슨병, 심장병, 간질 등 만성질환 치료제에 이르기까지 의약품 공급 부족 보도가 쏟아졌다. 일본의 경우 작년 6월 기준 3800개 품목 이상이 공급 정지나 출하 제한 상태로, 의약품 부족이 심각하다. 75%가 제네릭이다.

한국도 팬데믹 시기에 의약품 수급 부족, 해열진통제 품귀 현상이 발생한 후 현재까지도 수급 불안이 이어지고 있다.

정 원장은 "과거에는 원료의 경우 중국이나 인도에서 저가로 공급하는 등 국가 간 역할이 있었지만 미·중 무역 갈등으로 역할이 와해됐고, 코로나19,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하마스 전쟁, 그리고 이란·이스라엘 갈등까지 오며 세계 무역 공급망이 어려워질 수밖에 없는 상황에 이르렀다"고 말했다.

불안정한 세계 공급망에 대응하기 위해선 자급률을 높이는 게 상책이다. 국내 원료의약품 자급도는 2008년 21.7%에서 등락을 반복하다 2022년 11.9%로 최저치를 기록했다.

작년 12월 보건복지부는 1차 바이오헬스혁신위원회에서 국가필수의약품에 국산 원료를 사용하면 약가를 우대해주는 정책 추진을 발표하며 기대감을 자아냈다. 올해 1월 '혁신형 신약·혁신형 개량신약의 원료의약품 개발·제조'에 대한 세제 지원을 담은 조세특례제한법 시행령도 개정됐다.

다만 약가 우대 관련 후속 입법 절차는 아직 나오지 않았다. 업계는 원료의약품 국산화를 제고하기 위한 정부의 후속조치가 하루빨리 이뤄져야 한다고 봤다.

정 원장은 "정책 발표 후 아직 법제화되지 않았다"며 "당장 시행된다고 하더라도 의약품 생산·공급에는 시간이 필요하므로 지금도 늦었다. 불안정한 국제 정세를 심각한 사안으로 인식하고 약가 우대가 조속히 실행돼야 한다"고 말했다.

한국제약바이오협회는 국가필수의약품의 범위 확대 방안에 대해서도 검토하고 있다.

제약업계 관계자는 "현재 448종이 국가필수의약품으로 지정돼 있으나 이 중 시판허가 되지 않은 의약품도 다수 포함돼 있고 공급 중단으로 보고된 경우도 많다"며 "감염병 유행 또는 계절성 원인으로 인한 사용량 증가, 원료 수급 어려움 등으로 공급이 불안정해질 경우 진료에 차질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사용량 많은 약제는 국가필수약 선정을 검토해야 한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