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4.01 (토)
서울 15℃
챗GPT 쇼크
[챗GPT 쇼크③] 유토피아 혹은 디스토피아…"AI는 인간의 도구"
'챗GPT의 성과 과시하지마' 미국 샌프란시스코에 있는 인공지능(AI) 연구소 오픈AI가 개발한 대화형 챗봇 챗GPT의 열풍이 거세다. 이런 가운데 오픈AI 창업주 샘 알트먼이 트위터에 "AI는 때때로 매우 어리석은 실수를 한다"는 경고 게시글을 올렸고, 직원들에게 챗GPT의 성과를 과시하지 말라며 들뜬 분위기를 단속했다. 챗GPT와 같은 생
[챗GPT 쇼크②]체면 구긴 구글 '바드'…韓美中, AI 전쟁
"챗GPT와 같은 생성형 인공지능(AI)이 우리의 세상을 바꿀 것이다." 최근 마이크로소프트의 창업자 빌 게이츠는 독일 경제지 한델스블라트와의 팟캐스트 대담에서 "AI의 발전은 현시점에서 가장 중대한 혁신이다. MS와 구글이 이 분야에서 선두자리를 차지하기 위해 경쟁하고 있다"며 이 같이 전망했다. 미국의 AI 기업 오픈AI가 개발한 '챗
[챗GPT 쇼크①]'중꺾마' 알아?…'우주 강아지'도 그리는 AI
#. '중꺾마'는 '중국의 말(Chinese horse)' 입니다. 이는 챗GPT가 '중꺾마'의 의미를 묻는 질문에 꺼낸 첫 대답이다. '중꺾마'는 "중요한 것은 꺾이지 않는 마음"의 줄임말로, 리그오브레전드 프로게이머 '데프트'(김혁규)의 인터뷰 기사 제목에서 유래한 말이다. 2021년까지 학습한 데이터에 의존하는 챗GPT에게 '중꺾마'라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