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5.30 (화)
서울 23℃
메가FTA, 위기를 기회로
[메가FTA, 위기를 기회로①]FTA 체결 20년, 韓 농업에 불어온 변화의 바람
한국과 칠레 양국은 3년여의 협상 끝에 2003년 2월 자유무역협정(FTA, Free Trade Agreement) 협정문에 공식 서명했다. 대한민국 정부 출범 이래 처음으로 FTA가 체결된 것이다. FTA는 협정 체결국간에 무역장벽을 완화하는 특혜무역협정으로, 기본적으로 낮은 관세를 적용하거나 관세 철폐를 통해 시장을 확장하는 것을 말한다. 지금
[메가FTA, 위기를 기회로②]농식품 수출액 5년 내 150억불 달성 잰걸음
초거대 자유무역협정(메가 FTA)이 발효되면 농업 분야의 피해가 극심할 거라는 목소리가 들끓고 있다. 높은 관세율을 철폐하고 민간 품목을 개방하면 농가의 수입이 줄어들 거라는 우려 때문이다. 하지만 2004년 한국과 칠레의 FTA가 발효된 지 20년이 지난 현시점, 농식품 분야의 수출은 해마다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메가FTA로 국가 간의
[메가FTA, 위기를 기회로③]프리미엄 딸기 시장 선점…신품종 개발로 美·日과 경쟁
킹스베리, 알타킹, 매향, 비타베리, 금실, 아리향 등 이름만으로도 상큼하고 달달함이 전해져 입맛 다시게 한다. 불과 10여년전만해도 외국산 품종에 의존해 한철 국내 시장에서나 소비되던 딸기가 이제는 고품질의 맛과 풍부한 영양으로 해외 프리미엄 과일 시장에서 그 위세가 대단하다. 딸기는 수출에 적합한 신품종 개발과 정부 지원을 등에 업고 신선과일
[메가FTA, 위기를 기회로④]수출 효자 굳힌 샤인머스캣…포도 산업 고품질·신품종 승부수
국내 포도 농가는 정부가 2004년 칠레와의 자유무역협정(FTA)을 시작으로 세계 각국과 FTA 체결을 확대하면서 큰 위기를 겪었다. 주요 포도 생산국인 칠레와 페루, 미국 등에서 생산된 신선한 포도가 낮은 관세를 적용, 물밀듯 들어오면 국산 포도는 설 자리를 잃게 될 것이란 우려가 컸다. 실제로 FTA 체결 이후 포도 수입이 증가했고, 국내 포도
[메가FTA, 위기를 기회로⑤]종자산업, 기상이변 극복‧식량주권 확보 보루
#. 지난해 4월 인도네시아는 자국 내 식용유 가격 안정을 위해 팜유 원유, 알비디(RBD) 팜유, 알비디 팜올레인 등 수출을 금지했다. 같은 해 5월 47도가 넘는 기록적인 폭염이 발생한 인도는 밀 수확량 급감을 우려해 국경 문을 걸어 잠그고 자국 식량 보호에 나섰다. 전 세계를 뒤흔든 코로나19,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을 계기로 국제 곡물
[메가FTA, 위기를 기회로⑥]세계 입맛 사로잡은 K-푸드 열풍…"지금이 기회"
지난해 농식품 수출액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과 세계 경제의 불확실성 속에서도 역대 최고치를 달성했다. 한류가 확산하고 한국의 국제적 지위가 올라가면서 우리의 농식품은 어느새 세계인의 트렌드가 됐다. K-푸드는 앞으로도 지난 수년간 갖춘 경쟁력으로 농식품 시장을 선도할 것으로 기대된다. 메가 자유무역협정(FTA) 시대의 위기를 기회로 삼아 K-푸
[메가FTA, 위기를 기회로⑦]지역특화작목 농촌 경쟁력 강화…수출 1억불 유망 품목 육성
2004년 한국과 칠레 자유무역협정(FTA) 발효 이후 국내 포도 산업은 급격한 내리막을 걸었다. 개방 첫 해 포도 수입량은 63%나 늘었다. 매년 수입량이 증가하며 국내 시장을 빠르게 잠식했고, 재배면적도 절반으로 줄었다. 다수의 FTA 이행으로 수입개방이 가속화하면서 포도 농가는 설 자리를 잃었다. 2015년에는 FTA 농어업법에 의해 폐업지원
[메가FTA, 위기를 기회로⑧]최적화 환경 '생산성 40배↑'…K-스마트팜, 재배→유통까지
"봄·가을은 물론이고 혹서기에도 문제없어요. 스마트팜에서는 사계절 내내 원하는 작물을 빠르게 생산할 수 있습니다." 경기 평택시에 위치한 플랜티팜 식물공장은 24시간 내내 22도의 저온, 습도 70%가 유지된다. 자연 상태에서 400ppm가량인 이산화탄소를 900~1000ppm으로 공급해 광합성 양도 최대한 늘린다. 태양 빛 대신 설치된 발광다이
[메가FTA, 위기를 기회로⑨]FTA가 농업에 가져온 기회요인…"韓 농식품의 브랜드화"
"2027년 농식품 수출 150억 달러 달성은 지금 추이상 어려울 거로 생각합니다. 다만 이례적으로 대통령실부터 전 부처가 농식품 수출에 관심을 갖고 있으니 이 분위기를 활용한다면 못 이룰 목표는 아닙니다." 지난해 88억2000만 달러로 역대 최고 수출액을 달성한 농식품업계는 내년 100억 달러를 목표로 달리고 있다. 5년 후인 2027년에는
[메가FTA, 위기를 기회로⑩]국내시장만으로 한계…정부, 해외 판로 개척 등 전방위 지원
우리나라는 2004년 한국-칠레 자유무역협정(FTA) 발효를 시작으로 59개국과 21건의 FTA를 체결했다. 작년에는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 시행으로 중국,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 유럽연합(EU), 아세안 10개국 등과 시장개방을 추진하며 관세를 철폐하거나 낮춰 상호 교역 확대가 예상된다. 현재 일본, 캐나다, 호주, 브루나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