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美펀드, 신흥국 부진 속 금리인상 업고 '훨훨'

등록 2018.06.20 15:05:11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1개월 수익률 3.46%…해외주식 펀드 가운데 가장 높아

"중국과 무역분쟁에도 미국 자금유입·강달러 지소될 것"

【뉴욕=AP/뉴시스】뉴욕 타임스 스퀘어의 전광판에 다우존스 산업평균 지수가 표시되고 있다. 2018.02.07

【뉴욕=AP/뉴시스】뉴욕 타임스 스퀘어의 전광판에 다우존스 산업평균 지수가 표시되고 있다. 2018.02.07

【서울=뉴시스】김형섭 기자 = 미국발 금리인상 충격으로 신흥국 펀드들이 수익률 하락에 신음하고 있는 것과 대조적으로 미국 증시에 투자하는 펀드들은 견조한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한국펀드평가 펀드스퀘어에 따르면 미국주식형 펀드의 최근 1개월 수익률은 지난 19일 기준 3.46%로 국가별해외주식 펀드 가운데 가장 높았다.

미국 펀드의 3개월 및 6개월 수익률은 각각 2.68%, 5.95%로 역시 다른 국가별해외주식 펀드의 수익률을 압도했다.

개별 펀드를 살펴보면 미래에셋자산운용의 '미래에셋TIGER나스닥100증권ETF(주식)'가 최근 1개월 간 7.73%로 수익률이 가장 높았으며 '미래에셋TIGER나스닥바이오증권ETF(주식)'가 5.98%로 뒤를 이었다.

또 흥국자산운용의 '흥국미국배당우선주[자]1(주식)C'이 5.64%의 수익률을 기록했으며 얼라이언스번스틴자산운용의 'AB미국그로스(주식-재간접)C-형A'와 삼성자산운용의 '삼성애버딘미국중소형[자]H(주식-재간접)-C'도 각각 4.88%, 4.65%의 우수한 성과를 거뒀다.

우수한 수익률을 바탕으로 자금도 끌어모으고 있다. 미국주식형 펀드에는 최근 6개월새 3353억원이 유입됐다. 같은 기간 1조1072억원이 증가한 베트남주식형 펀드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것이다.

반면 신흥국 증시에 투자하는 펀드들은 마이너스 수익률을 기록하고 있다. 최근 1개월 수익률을 기준으로 브라질주식형 펀드의 수익률이 -13.83%에 그친 것을 비롯해 남미신흥국주식(-10.83%), 유럽신흥국주식(-5.09%), 베트남(-5.03%), 러시아(-3.99%) 등의 펀드들도 투자자들에게 상당한 손해를 안겼다.

이처럼 희비가 극명하게 엇갈린 것은 미국이 기준금리 인상으로 전세계 자금을 빨아들이며 달러화 자산의 몸값이 치솟고 있는 데 반해 인해 신흥국에서는 대규모 자금유출과 통화가치 급락이 일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는 지난 13일(현지시간)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를 통해 기준금리를 1.75~2.0%로 0.25%포인트 올렸을 뿐만 아니라 하반기 기준금리를 두 차례 더 인상할 것임을 시사했다. 여기에 유럽중앙은행(ECB)도 연말까지 양적완화를 종료하겠다며 글로벌 긴축에 합류하겠다고 선언했다.

물론 미중 무역분쟁으로 휘청이고 있는 미국 증시가 변수로 작용할 수 있지만 전문가들은 그럼에도 미국으로의 자금유입과 달러화 강세는 지속될 것으로 보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이전 조치보다 4배나 큰 2000억달러 규모의 대중(對中) '관세 폭탄'을 예고하면서 미국과 중국 간의 무역 전쟁이 전 세계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공포감이 고조되자 19일(현지시간)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전일대비 1.1% 떨어져 이달 들어 가장 큰 폭의 하락세를 나타냈다.

최보원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선진국 중에서도 11월 선거를 앞두고 경기 호조에 대한 기대감이 큰 미국은 투자자들에게 매력도가 높을 전망"이라면서 "미중 무역전쟁 우려가 부각됐음에도 달러인덱스는 95포인트 수준을 보이고 있고 미국 성장 전망치도 꾸준히 상향되고 있기 때문에 자금 유입과 달러 강세는 한동안 이어질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박세원 현대차투자증권 연구원은 "당초 미국 경기가 회복되며 글로벌 경기 동조화 현상으로 세계 경기가 확장세를 보일 것이라고 예상됐지만 현재는 미국만이 '골디락스(Goldilocks·완만한 경제성장과 낮은 물가상승)'를 맞은채 글로벌 경기가 탈동조화를 보이기 시작했다"고 진단했다.

이어 "신흥국은 자금 유출에 동반되는 통화가치 하락, 채권 금리 상승, 증시 하락이 연쇄적으로 발생했고 펀드 투자자들은 환율로 인한 손실까지 이중손실이 발생했다"며 "선진국의 긴축기조는 지속될 것으로 확실시되고 있어서 신흥국에 대한 투자 자금을 그대로 두고 기다려 볼 것인지 아니면 투자금을 회수해야 할 상황인지 판단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