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北, 국제기구 통한 식량지원만 '수용'…南 직접 지원은 거부 왜?

등록 2019.06.19 20:24:40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지자체나 민간 통한 대북지원엔 호응 안해

'비핵화 협상 교착' 정세 반영됐다는 관측

【신의주=AP/뉴시스】북한 신의주 압록강변에서 순찰하는 북한 군인의 모습. 2017.02.25

【신의주=AP/뉴시스】북한 신의주 압록강변에서 순찰하는 북한 군인의 모습. 2017.02.25

【서울=뉴시스】 김지훈 기자 = 정부가 19일 유엔 세계식량계획(WFP)를 통해 국내산 쌀 5만t을 북한에 지원하겠다고 밝힌 가운데 국내 민간 대북단체를 통한 물품 지원을 사실상 전면 보류하고 있어 그 배경이 주목된다.

이날 대북 소식통 등에 따르면 국내 북한은 남측 민간단체나 지방자치단체 차원에서 추진하는 인도적 지원 사업에 호응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이 하노이 2차 북미 정상회담 결렬 이후 통일전선부 등 대남 기구 재정비에 들어간 이후 대남 사업을 하는 민족화해협의회(민화협) 등의 단체도 움직이지 않고 있다는 게 소식통들의 공통된 전언이다.

지난달 중국 선양에서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민화협), 6·15공동선언실천 남측위원회(6·15 남측위), 사단법인 겨레하나 등 대북 단체들과 북측 민화협 등이 실무협의를 가지려 했다가 직전에 무산된 것도 이러한 북측의 분위기가 결정적이었다는 관측이다.
 
한 대북 소식통은 "북한이 최근 남측 지자체와 대북 민간단체의 지원 사업 추진에는 움직이지 않고 있다"며 "그나마 아주 소규모로 예전부터 정례적으로 해오던 대북 물품 지원 사업 정도만 유지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일례로 경기도는 북측에 10억원 상당의 밀가루(약 1600t)를 중국을 경유해 북한에 전달하려는 계획이었으나, 극히 일부만 북측에 들어간 것으로 전해졌다. 나머지는 여전히 단둥에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러한 현상은 한반도 정세 흐름과 무관치 않다는 분석이다. 또 다른 대북 소식통은 "북한이 당 차원에서 대남 라인을 정비하고 협상 전략을 수립하는 단계에서 남측의 직접지원을 받을 경우 협상 전략에 차질이 생길 것을 우려하는 분위기가 있는 거 같다"고 분석했다.

정부가 북한에 대한 식량지원을 검토하다가 WFP를 경유해 식량을 지원하기로 한 것도 이러한 분위기 때문이라는 관측이다. 북한이 국제기구를 통한 지원만 받겠다는 입장이 강하다는 것이다. 이번에 지원되는 국내산 쌀에는 포대 등에 '대한민국' 마크가 찍히지 않을 것으로 전해졌다.

북한이 체제 선전 차원에서도 남측의 직접 지원을 받지 않는다는 분석도 나온다. 대미 협상이 교착되면서 남측과의 교류·협력 사업도 중단한 상태에서 남측이 지원하는 식량을 받았다는 사실이 알려질 경우 대내 결속 차원에서도 좋을 게 없다는 판단을 하고 있는 거 같다는 것이다.

이러한 분위기는 북미 비핵화 협상 교착 국면이 해소될 때까지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김연철 통일부 장관은 이날 WFP를 통해 국내산 쌀 5만t을 지원하기로 한 정부 결정을 설명하는 자리에서 향후 직접지원 계획에 관한 질문에 "추가적인 지원 규모와 시기에 대해서는 일단 5만t을 지원하고 북한의 식량 사정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판단할 예정"이라며 즉답을 피했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