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文대통령 "G7 체제는 한계…트럼프 초청에 기꺼이 응할 것"(종합)

등록 2020.06.01 23:53:07수정 2020.06.01 23:57:35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文대통령, 트럼프와 정상통화…G7 체제 전환 문제 논의

"G7 체제는 전세계적 문제 대응 한계, 4개국 초청 적절"

"G7 대면 확대정상회의, 포스트 코로나 이정표 될 것"

靑 "G11 外 브라질 포함 G12 체제 확대 방안도 논의"

미중 패권 싸움 가세 우려…국격 상승 기회 기대감도

靑 "오늘 통화서 트럼프는 중국의 '중'자도 언급 안 해"

[서울=뉴시스] 문재인 대통령이 1일 청와대 관저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통화하고 있다. (사진=청와대 제공) 2020.06.01.  photo@newsis.com

[서울=뉴시스] 문재인 대통령이 1일 청와대 관저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통화하고 있다. (사진=청와대 제공) 2020.06.01.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김태규 기자 = 문재인 대통령은 1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전화 통화를 갖고 주요 7개국(G7) 확대 정상회의 개최 방안을 논의했다고 청와대가 밝혔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후 9시30분부터 15분 간 이뤄진 한·미 정상통화에서 G7 확대 정상회의 개최 방안에 대한 트럼프 대통령의 설명을 들은 뒤, 관련 내용을 논의했다고 강민석 청와대 대변인이 서면 브리핑에서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통화에서 "G7이 낡은 체제로서 현재의 국제정세를 반영하지 못한다"며 "이를 G11 이나 G12 체제로 확대하는 방안을 모색 중에 있다"며 문 대통령의 의견을 구했다.

이에 문 대통령은 앞서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을 G7 회의에 초청한 것과 관련해 "올해 G7 정상회의 주최국으로서 한국을 초청해주신 것을 환영하고, 감사드린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그러면서 "나는 트럼프 대통령의 초청에 기꺼이 응할 것"이라며 "방역과 경제 양면에서 한국이 할 수 있는 역할을 다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또 "올해 G7이 확대 형태로 '대면 확대정상회의'가 개최되면 포스트 코로나의 이정표가 될 것"이라면서 "적절한 시기에 대면 회의로 성공적으로 개최된다면 세계가 정상적인 상황과 경제로 돌아간다는 신호탄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트럼프 대통령의 질문에 대해 문 대통령은 "G7 체제는 전 세계적 문제에 대응하고 해결책을 찾는 데 한계가 있다"며 "G7 체제의 전환에 공감하며, G7에 한국과 호주, 인도, 러시아를 초청한 것은 적절한 조치"라고 화답했다.

올해 G7 정상회의 의장을 맡고 있는 트럼프 대통령은 다른 회원국의 반대가 없으면 원하는 나라를 의결권이 없는 '옵서버' 자격으로 초청할 수 있다. 한국은 2008년 당시 이명박 대통령이 일본 홋카이도에서 열린 G8(G7+러시아) 정상회의에 옵서버로 참석한 바 있다.

[미 대통령 전용기=AP/뉴시스]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30일 미 대통령전용기로 앤드루스 공군기지로 향하던 중 기자들과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그는 이날 다음달 백악관에서 열기로 했던 주요 7개국(G7) 정상회담을 가을로 연기할 것이라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정상회담에 한국과 러시아, 호주, 인도가 참여하도록 범위를 확대해야 한다고 말했다. 2020.5.31

[미 대통령 전용기=AP/뉴시스]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30일 미 대통령전용기로 앤드루스 공군기지로 향하던 중 기자들과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그는 이날 다음달 백악관에서 열기로 했던 주요 7개국(G7) 정상회담을 가을로 연기할 것이라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정상회담에 한국과 러시아, 호주, 인도가 참여하도록 범위를 확대해야 한다고 말했다. 2020.5.31

하지만 이날 한미 정상은 단순히 의장국 초청에 의한 한 차례 확대 정상회의 개최 방안을 논의한 게 아니라, 기존 G7 체제의 한계 위에서 새로운 정상회의체 마련에 대한 공감대를 전제로 한 논의였다는 게 청와대의 설명이다.

한미 정상은 G11 이외에 브라질을 포함시켜 G12 체제로 확대하는 방안에 대해서도 논의했다고 강 대변인은 전했다.

이에 트럼프 대통령은 "좋은 생각이다. 그런 방향으로 노력을 해보겠다"고 말했다고 강 대변인은 전했다.

다만, 외교 전문가 사이에서는 참여 대상국이 대(對) 중국 봉쇄 전략인 '인도·태평양 전략' 참여국과 크게 다르지 않다는 점에서 자칫 문 대통령의 G7 확대 정상회의 참여가 미·중 사이의 패권 전쟁에 가담하는 외교적 결과를 낳을 수 있다는 우려 섞인 시각을 제기한다. 결과적으로 중국을 국제사회에서 고립시키려는 트럼프의 의도에 손을 들어주는 셈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인도·태평양 전략은 미국이 중국의 태평양 진출 봉쇄를 위해 마련한 외교전략으로 극동 지역은 일본, 남쪽은 호주, 서쪽은 인도를 거점으로 한 벨트를 활용해 인도양부터 태평양 안에서의 경제·안보 패권을 유지하겠다는 것을 골자로 하고 있다.

한미 정상이 논의한 한국, 러시아, 호주, 인도, 브라질 포함의 G12 체제에도 중국은 포함돼 있지 않아 적잖은 반발이 예상된다. 다만 청와대 관계자는 "이날 한미 정상통화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의 '중'자도 언급하지 않았다"고 전했다.

반면, 한미 정상 주도로 새로운 정상회의체가 탄생한다면 그동안 G20에 머물던 한국의 위상이 높아질 뿐더러, 문 대통령이 한국의 K 방역을 소개하고, 이를 계기로 국제사회에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가 될 것이라는 기대감도 공존한다.

[서울=뉴시스] 문재인 대통령이 1일 청와대 관저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통화하고 있다. (사진=청와대 제공) 2020.06.01.  photo@newsis.com

[서울=뉴시스] 문재인 대통령이 1일 청와대 관저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통화하고 있다. (사진=청와대 제공) 2020.06.01. [email protected]

문 대통령은 이날 통화에서 미국의 첫 민간 유인 우주선 '크루 드래건' 호의 발사 성공에 대해서도 평가했다.

문 대통령은 "인류에게 큰 꿈을 심어준 매우 멋진 일이었다"면서 "미국이 민간 우주탐사 시대라는 또다른 역사를 열었다"고 평가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30일(현지시각) G7 정상회의에 회원국이 아닌 한국, 러시아, 호주, 인도 등 4개국을 초청하겠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당시 미국 플로리다주에서 열린 첫 민간 유인우주선 발사 참관 뒤 백악관으로 돌아오는 전용기에서 기자들에게 G7의 대표성에 의문을 나타내며 한국을 비롯한 4개국 초청 의사를 밝힌 바 있다.

이와 관련 청와대는 "미국과 협의해야 할 부분"이라며 신중한 입장을 견지했다가, 이날 "적절한 시점에 관련 내용을 말씀드릴 기회가 있을 것"이라며 물밑에서 협의가 진행 중이었음을 시사했다.

이번 한미 정상통화는 지난 4월18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응 공조 방안과 한반도 정세를 논의한 이후 44일 만에 이뤄졌다. 문 대통령 취임 후 25번째 한미 정상통화이며, 코로나19 사태 이후 이뤄진 3번째 통화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