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일부 최고위원, 김기현에 "지도부 책임 느껴지도록 고강도 쇄신"

등록 2023.10.13 13:01:44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김기현, 지도부와 일대일 면담

"지도부가 책임을 진다는 걸 느낄 수 있는 고강도 쇄신 의지 드러내야"

[서울=뉴시스] 추상철 기자 = 김기현 국민의힘 당 대표가 13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당대표실로 출근하고 있다. 2023.10.13. scchoo@newsis.com

[서울=뉴시스] 추상철 기자 = 김기현 국민의힘 당 대표가 13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당대표실로 출근하고 있다. 2023.10.13.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정윤아 최영서 기자 = 김기현 국민의힘 대표가 13일 최고위원들과 일대일 면담을 했다. 일부 최고위원들은 김 대표에게 인적쇄신을 포함한 고강도 대책을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기현 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 대표실에서 일대일 면담 직후 기자들과 만나 "이번 강서구청장 보궐선거 과정에서 나타난 여러가지 민심의 변화에 대해 당이 체질 개선을 어떻게 해서 다시 사랑을 받을 수있게 만들거냐가 핵심 과제"라며 "다양한 의견을 듣고 있다"고 말했다.

김 대표는 그러면서 해결 방안 제시 시기에 대해 "오래 걸리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임명직 당직자 사퇴론에 대한 질문엔 침묵했다.

김 대표는 이날 오전 9시 긴급최고위원회의를 열 예정이었으나 면담 형식으로 전환했다.

김 대표는 윤재옥 원내대표, 김병민·김가람·장예찬·강대식 최고위원, 박대출 정책위의장과 차례로 일대일 면담을 했다.

이 자리에서 일부 참석자들은 고강도의 쇄신을 주문한 것으로 알려졌다.

장예찬 최고위원은 면담 직후 기자들에게 "김 대표에게 우리 지도부가 먼저 국민과 당원들께 반성하고 쇄신 의지가 있다는 걸 강도 높게 보여드리는 것이 위기를 수습하는 길이라고 말씀드렸다"고 말했다.

장 최고위원은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 "개별 최고위원들의 의견이 공개되면 대표께서 결단하는데 방해가 될 수 있다"면서도 "다만 적당히 면피성 대책이 아니라 누가봐도 지도부가 어려운 결단을 하고 함께 책임을 진다는걸 느낄 수 있는 고강도 쇄신 의지를 드러내야 한다고 강조했다"고 했다.

김병민 최고위원은 "현재 수도권 원외 당협위원장으로 활동하면서 수도권 민심과 국민의힘을 바라보는 상황을 그대로 말씀 드렸다"며 "국민의힘이 수도권에 있는 국민의 마음을 잡기 위해 모든 총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말했다"고 밝혔다.

다만 김 최고위원은 인적쇄신과 관련해 "여러 구체적인 말씀을 드렸다"며 "대표님이 고민하고 정해야하기 때문에 안에서 드린 구체적 이야기는 하지 않겠다"고 했다.

김가람 최고위원은 당 안팎에서 제기되는 지도부 책임론에 대해 "당연히 책임감을 가져야겠지만 어떤 방식으로 국민들께 보여드려야 하는지도 고민해봐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국민의힘은 11일 치러진 서울 강서구청장 보궐선거에서 민주당 후보와 17.15%차이로 패배했다. 내년 총선을 앞두고 수도권 민심 이반에 대한 적신호가 켜진 것이다. 당장 당 안팎에서 김기현 지도부의 책임론이 대두됐다.

김 대표는 미래비전특별위원회 출범, 총선준비단 조기 발족, 인재영입위원회 출범 등을 제시해 대표체제를 유지하겠다는 입장이다.

앞서 12일 열린 비공개 최고위원회의에서는 선거 패배 책임과 당 쇄신 방향을 놓고 이견이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수도권 출마를 준비하는 일부 최고위원은 "당 지도부가 고강도로 책임을 져야한다"고 주장한 것으로 알려졌다.

일부 최고위원은 임명직 당직자 총사퇴 주장도 김 대표에게 건의했다고 한다. 임명직 당직자는 사무총장, 부총장, 대변인, 여의도 연구원장, 지명직 최고위원 등이다.

당 안팎에서 누군가는 책임을 져야한다는 의견과, 이철규 사무총장은 내년 총선에서 필요한 사람이라는 의견이 엇갈리는 것으로 알려졌다.

김기현 대표와 함께한 일대일 면담에서도 일부 최고위원들은 인적쇄신을 주문한 것으로 전해졌다.

국민의힘은 오는 15일 의원총회를 열고 강서구처장 패배 원인과 내년 총선 전략 등에 대한 의견을 수렴한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