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서울시, '꿀벌 독성' 농약 사용 전면금지…무농약 방제 강화

등록 2024.05.20 06:00:00수정 2024.05.20 14:43:04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꿀벌에 독성 있는 '네오니코티노이드계 농약' 금지

[서울=뉴시스]서울시 방제 차량. 2024.05.17. (사진=서울시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서울시 방제 차량. 2024.05.17. (사진=서울시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박대로 기자 = 서울시가 공원이나 가로수 병해충 방제 때 꿀벌에 강한 독성이 있는 '네오니코티노이드계 농약' 사용을 전면 금지한다고 20일 밝혔다.

서울시는 꿀벌 폐사 원인으로 네오니코티노이드계 살충제가 거론되고 있어 선제적으로 사용을 전면 중지하고 대체 저독성 농약을 사용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시는 도심 내 병해충 방제 때 농촌진흥청에 정식 등록(농약안전정보시스템)된 약제 중 최저등급 독성 제품(인축독성 Ⅳ급, 어독성 Ⅲ급)을 쓴다.

지난해 길동생태공원과 서울창포원에 이어 올해 남산공원 일부(시민 이용이 많은 지역), 서서울호수공원 일부(시설공원부지)등 4개 공원이 무농약·친환경 방제 공원으로 지정됐다.

길동생태공원은 포살, 고압살수, 직접 살포, 페로몬 트랩 설치 등 무농약·무약제 방제를 시행한다.

서울창포원은 병해충별 다양한 유기농업자재(유칼립투스 오일, 고삼 추출물, 피마자 오일 등)를 이용한 무농약·친환경 방제를 실시 중이다.

남산공원 중 시민 이용이 많은 곳에는 계피오일, 자몽종자추출물, 정향나무 추출물 등 무농약·무약제를 쓴다.

서서울호수공원 중 시설공원부지에는 식물성오일, 님추출물을 이용한 무농약·친환경 방제를 하고 있다.
 
공원 외에 가로수 방제에도 친환경 방식이 도입됐다. 영등포구청은 여의도 윤중로 벚나무를 대상으로 겨자씨 오일을 이용한 벚나무사향하늘소 친환경 방제를 하고 있다.

다만 소나무재선충병 발생(우려)지역에는 소나무재선충병 방제특별법에 따라 산림청이 선정한 독성이 있는 약종을 제한적으로 쓴다고 서울시는 밝혔다.

이수연 서울시 푸른도시여가국장은 "앞으로도 서울시는 화학적 농약 사용을 최소화하고 친환경 방제를 확대해 건강한 도시생태계 조성에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