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TBS 인수 후보 나타났지만…직원 '고용 불안' 우려 여전

등록 2024.05.22 17:05:34수정 2024.05.22 17:24:51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실제 인수까지 최장 2년…직원 월급 끊길 판

[서울=뉴시스] 고승민 기자 = TBS 노동조합, 전국언론노동조합 TBS지부가 22일 제323회 서울시의회 임시회 제2차 본회의 개의를 앞둔 서울시의회 앞에서 TBS 지원조례 폐지 등 현안 관련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2024.04.22. kkssmm99@newsis.com

[서울=뉴시스] 고승민 기자 = TBS 노동조합, 전국언론노동조합 TBS지부가 22일 제323회 서울시의회 임시회 제2차 본회의 개의를 앞둔 서울시의회 앞에서 TBS 지원조례 폐지 등 현안 관련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2024.04.22.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박대로 기자 = 서울시 미디어재단 TBS를 인수하려는 투자자의 면면이 드러나고 있지만 직원들의 고용 불안이 해소되기 어렵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22일 TBS 등에 따르면 TBS 인수 의향을 가장 적극적으로 밝힌 업체는 중앙 일간지 한겨레와 모 증권 유튜브 방송인 것으로 전해졌다.

한겨레는 TBS를 인수해 종합편성채널로 사업 영역을 확장하려는 것으로 알려졌다.

구독자 100만명 이상을 보유한 한 해당 증권 유튜브 방송은 TBS 인수를 통해 라디오 방송으로의 진출을 노리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 밖에 MBN을 비롯해 서울시 산하 서울관광재단, 경찰청 산하 도로교통공단의 TBN 한국교통방송 등도 TBS 인수 후보로 거론되고 있다.

다만 인수가 실제로 진행될 경우 250여명 수준인 TBS 직원들의 고용 승계가 어느 정도까지 이뤄질지 미지수다.

아울러 실제 인수까지 짧게는 6개월에서 길게는 2년까지 걸릴 수 있어서 그 기간 동안 TBS 직원들이 급여를 제대로 받지 못하게 된다.

게다가 서울시의회가 이달 초 ‘서울특별시 미디어재단 TBS 설립 및 운영에 관한 조례’를 폐지하면서 다음 달부터 서울시의 재정 지원이 끊긴다.

연간 약 350억원 규모 서울시 출연금이 전체 운영 예산의 70% 이상을 차지하는 TBS는 이에 대응하기 위해 임금 삭감을 전제로 한 무급 순환 휴직까지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각 논의 기간 동안 TBS 직원 월급 중단 사태를 막기 위해서는 서울시와 서울시의회가 한시적인 TBS 지원에 합의해야 한다.

다음달 10일부터 28일까지 제324회 서울시의회 정례회가 열릴 예정이다. TBS 지원 연장을 위한 새 조례 발의 시한은 오는 24일까지다.

서울시가 향후 TBS 직원 월급을 보장하려면 조례 발의 시한을 지켜야 한다. 지난달 임시회 과정에서도 서울시가 조례 발의 시한을 지키지 않은 점이 시의원들을 자극했다. 결국 서울시의회는 의회를 무시한다면서 TBS 지원 연장 조례를 상정조차 하지 않았다.

TBS 노동조합은 서울시의 적극적인 대응을 촉구했다.

TBS 양대 노조는 공동 성명에서 "서울시는 오세훈 시장의 뜻처럼 TBS를 삶의 터전으로 살아가는 평범한 구성원들이 선의의 피해자가 되지 않도록 끝까지 최선을 다해 달라"고 요구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