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김포시, 강남직결 GTX-D 현실화 "서울생활권 확대 기대"

등록 2024.01.25 13:08:49수정 2024.01.25 14:43:29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강남 직결 GTX-D노선·김포골드라인 단기 혼잡완화방안 이끌어 내

김병수 시장 "협의해 온 내용 대부분 반영…지속적 노력 이어갈 것"

김포시, 강남직결 GTX-D 현실화 "서울생활권 확대 기대"


[김포=뉴시스] 정일형 기자 = 정부가 수도권 광역급행철도(GTX) A·B·C 기존 노선을 연장하고, D·E·F 신규 노선을 신설하는 '2기 GTX' 사업이 본격화 한 가운데 김포 시민들의 염원하던 강남 직결 노선이 현실화 됐다.

김포시(시장 김병수)는 25일 국토교통부가 내놓은 GTX-D노선과 김포골드라인 단기 혼잡완화방안에 대해 차질 없이 진행되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시는 그 동안 중앙정부 협력과 지원을 이끌어 내기 위한 끈질긴 협의와 소통이 구체화됐다며 차질 없는 추진을 약속했다.
 
국토부가 밝힌 GTX-D·E·F 신설노선은 5차 국가 철도망 계획에 전체노선을 함께 반영, 속도감 있는 사업을 위해 구간별(1-2단계) 개통을 하고 1단계 구간은 2035년 개통 목표로 윤석열 대통령 임기 내 동시 예타 통과를 추진한다. 신속한 추진을 위해 예타신청과 민간제안절차도 병행한다.
김포시, 강남직결 GTX-D 현실화 "서울생활권 확대 기대"


김포에서 출발하는 GTX-D노선은 장기에서 서울 삼성까지 직결, 팔당~원주로 이어진다. 김포시와의 협의 내용이 대부분 반영된 ‘강남까지 직결되는 Y자 노선’으로 김포시민의 서울생활권이 더욱 확대될 전망이다.

또 이날 국토부와 대광위가 함께 발표한 ‘김포골드라인 단기 혼잡완화방안’은 국토부와 대광위가 추진하는 신도시 교통개선 대책의 일환인 교통불편지역 맞춤형 대책이다. 김포시는 중앙정부 관심사의 중심에 있음을 증명하듯 유일하게 최우선 도시로 선정돼 즉시 추진될 것으로 전망된다.

‘김포골드라인 단기 혼잡완화방안’의 주요 내용은 ▲광역버스 등 공급확대 ▲올림픽대로 버스전용차로 도입 ▲차량 증편 및 안전인력 확대 등 ▲혼잡도앱 개발 등이다.

이 같은 사항들은 김병수 김포시장이 지난해 4월 김포골드라인 혼잡사고 발생 이후 구성해 현재까지 주 1회 정기회의를 진행하고 있는 ‘김포골드라인 혼잡률 개선 TF’에서 기획해 대광위 및 서울시 등과 협의해 온 내용이 반영된 것이다.

김병수 김포시장은 "김포골드라인 혼잡률 완화를 위한 궁극적인 대안인 서울 지하철 5호선 김포 연장의 가닥이 잡히자마자 GTX-D 노선의 조속한 개통이 구체화 돼 다행"이라며 "김포시민의 입장에서 최선의 결과를 도출하려는 생각뿐이고 ‘김포 지하철 시대’에서 5호선과 GTX-D는 시작일 뿐 최종 목표가 아니다"고 또 다른 목표에 대한 의지를 밝혔다.
[김포=뉴시스] 김병수 김포시장이 지난해 12월 박상우 국토교통부 장관을 만나 김포골드라인 교통 혼잡 대책 일환으로 서울5호선 김포연장 노선요청서를 전달하고 있다.

[김포=뉴시스] 김병수 김포시장이 지난해 12월 박상우 국토교통부 장관을 만나 김포골드라인 교통 혼잡 대책 일환으로 서울5호선 김포연장 노선요청서를 전달하고 있다.


앞서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홍철호 전 의원 보좌관으로 중앙부처와 서울시 등을 오가며 실무협상을 주도했던 김 시장은 대선기간 중 윤석열 대통령 선대본 직능총괄본부 광역교통개선지원단장을 맡아 김포지역 교통문제 해결방안을 캠프에 제안했다.

그렇게 서울5호선 김포연장과 GTX-D는 지역을 넘어 대통령의 공약이 됐다. 김 시장은 후보시절부터 윤석열 정부가 ‘수도권 출퇴근 30분 시대’를 위한 강한 의지를 가지고 있다고 강조하며 원희룡 장관과 오세훈 서울시장 등을 만나며 방안 모색과 협력을 다져왔다. 이후 꾸준히 GTX-D노선이 강남까지 직결될 수 있도록 국토부와 소통을 진행해 왔다.

김 시장은 "김포시민이 서울을 더 편리하고 안전하게 왕래하려면 김포~서울 구간 광역버스 노선과 버스전용차로가 신설돼야 한다"고 주장하는 등 김포골드라인 단기 혼잡 완화 방안의 기본방향을 제시하기도 했다.

취임 후에는 국회에 ‘승객 혼잡 및 과밀 현상에 따른 안전사고 대비 및 지원’을 핵심으로 한 골드라인 등 ‘도시철도 혼잡과밀대책법’을 정식 건의한 바 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