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트럼프 "北, 미국이 원하는 비핵화 준비 안돼…제재 유지"(종합)

등록 2019.02.28 19:06:25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北, 핵 다 포기해야…완전하고 비가역적 비핵화 중요"

"한미군사훈련, 비용 때문에 중단…韓, 더 지원해야"

폼페이오 "영변 외 굉장히 규모 큰 핵시설 있어"

【하노이(베트남)=뉴시스】고승민 기자 = 제2차 북미정상회담 이틀째인 28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베트남 JW메리어트 호텔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2019.02.28. kkssmm99@newsis.com

【하노이(베트남)=뉴시스】고승민 기자 = 제2차 북미정상회담 이틀째인 28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베트남 JW메리어트 호텔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이현주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8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의 2차 정상회담 결렬에 대해 미국이 원하는 비핵화 수준에 북한이 미치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김 위원장이 더 이상의 핵실험을 없을 것이라고 한 약속을 믿으며 북한에 대한 경제 제재는 계속 유지하겠다는 입장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김 위원장과의 단독회담, 확대회담 이후 JW 메리어트 호텔에서 가진 기자회견에서 "언제든 협상에서 물러날 준비가 돼 있어야 한다"며 "합의문은 준비가 돼 있었지만 빨리하기 보다는 옳은 일을 하고 싶었다"고 결렬 소식을 전했다.

그는 결렬 이유에 대해 "제재 완화 관련"이라며 "북한에서 전면적인 제재 완화를 해줄 것을 요구했지만 그러지 못했다. (북한은) 상당히 많은 비핵화 의지가 있었지만 우리는 완전히 제재를 완화할 준비가 안 됐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은) 핵을 다 포기해야 한다"며 "완전하고 비가역적인 비핵화가 매우 중요하다. 우리에겐 분명한 개념"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북한은 매우 신속하게 발전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진 국가"라며 "많은 잠재력을 갖고 있다. 김 위원장은 중요한 경제, 미래를 위해 나아갈 것"이라고 주장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김 위원장과 계속 좋은 친구 관계를 유지할 것"이라며 "하지만 제재 문제가 쟁점이었다. 제재 완화를 원했지만 (김 위원장은) 우리가 원했던 것을 주지 못했다"고 강조했다.

그는 "김 위원장은 더 이상 로켓과 핵실험을 하지 않을 것이라 약속했다"며 "그 약속을 믿고 사실이길 바란다"고 말했다.

북한 여행 중 억류됐다 식물인간 상태로 송환돼 숨진 미국 대학생 오토 웜비어 사건과 관련해서 김 위원장과 대화를 나눴으며 유감을 표명했다고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김 위원장은 유감스럽다고 했다"며 "나중에서야 알게 됐다고 얘기했다"고 두둔했다.

그는 북한에 대한 중국의 영향력에 대해서도 언급, "북한 교역의 93%가 중국"이라면서도 "물론 김 위원장은 아주 강력한 지도자라 남의 말에 휘둘릴 사람은 아니다"고 주장했다.

【하노이=AP/뉴시스】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28일(현지시간) 하노이 메트로폴 호텔 회담장에서 회담하고 있다. 2019.02.28.

【하노이=AP/뉴시스】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28일(현지시간) 하노이 메트로폴 호텔 회담장에서 회담하고 있다. 2019.02.28.

문재인 대통령의 노력에 대해서도 언급하며 회견 후 가장 먼저 전화하겠다고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문 대통령이 북미 합의를 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지원을 했다"며 "기자회견 후 문 대통령에게 가장 먼저 전화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미군사훈련 중단과 관련해서는 북한 때문이라기보다는 비용 때문이며 한국이 더 돈을 내야 한다는 입장을 피력했다.

그는 "수억 달러를 군사훈련을 위해 사용하는데 불공정하다고 생각한다"며 "한국이 더 지원해줘야 한다. 물론 훈련은 재미있지만 꼭 필요하다고 생각하진 않는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과의 추후 회담에 대해서는 약속하지 않았다고 답했다. 그는 '차기 회담이 곧 이뤄지냐'는 질문에 "빨리 열릴 수도 있고 오랫동안 안 열릴 수도 있다"며 "장담은 못 한다"고 말했다.

단 대북 제재 추가 여부와 관련해서는 "현재 제재가 강력한 상황에서 더 필요하다고 생각하진 않는다"며 "북한 주민들도 생계를 이어가야 한다"고 답변, 추가 제재 계획이 없음을 알렸다.
 
한편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은 "영변시설 외에도 (북한 내) 굉장히 규모가 큰 핵시설이 있다"며 "미사일, 핵탄두, 무기체계가 빠져서 합의를 못했다. 신고 목록 작성 등에 대해서도 합의를 이루지 못했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우리가 알고 있는 것에 대해 그들(북한)은 놀라는 눈치였다"며 "우리는 한 단계 이상을 해야 한다. 왜나면 우리가 한 단계만 하고 모든 레버리지를 포기한다면 (비핵화에) 오랜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강조, 영변 핵시설 해체만으로는 전면적 경제 제재 해제를 할 수 없음을 분명히 했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