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중국서 발병 흑사병 환자 2명 중 1명 '위중 상태'...“방역에 만전”

등록 2019.11.14 13:19:49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흑사병 원인균

흑사병 원인균


【서울=뉴시스】이재준 기자 = 중국 북서부 네이멍구 자치구에서 쥐를 매개로 퍼지는 흑사병(페스트)에 걸려 베이징으로 후송, 치료를 받은 환자 2명 가운데 1명이 위중한 상황이라고 인민망(人民網)과 신화망(新華網)이 14일 보도했다.

매체는 베이징시 위생건강위원회 발표를 인용해 11명의 전문의로 이뤄진 의료팀이 폐 흑사병으로 확진을 받은 환자들을 집중 치료하고 있다며 한 명은 병세가 안정되고 있지만 다른 환자 경우 위급한 상태라면서 다만 더 악화하지는 않고 있는 것으로 전했다.

베이징 위생건강위는 국가위생건강위 지휘를 받아 공공위생 긴급기제를 가동했으며 유관 부서, 네이멍구 위생건강위와 긴밀히 협력하면서 치료와 방역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베이징 위생건강위는 중점의원과 질병예방통제센터, 중의원(한방의원) 등에서 차출한 11명의 전문의로 의료팀을 편성해 격리치료에 전력을 다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네이멍구에서 구급차로 환자들을 베이징 차오양(朝陽)구 병원까지 이송하는 과정에서 접촉한 인원에 대해선 규정에 의거해 격리 역학 조사와 관찰을 진행하는 한편 긴밀 접촉자를 대상으로 이상증세 발생 등을 신고하도록 조치했다고 한다.

한편 발병지인 네이멍구 자치구 시린궈러(錫林郭勒)맹 위생건강위는 현지 의료기구와 질병센터과 함께 긴급 방역태세에 돌입했다.

시리궈러맹 흑사병 응급지휘부는 방역 대책을 서둘러 강구하고 역학조사를 벌이는가 하면 발병자와 접촉자를 추적 관리하고 있다.

네이멍구 자치구 당위와 정부도 이번 사태를 중시해 전문가팀을 현장으로 보내 방역 상황을 진두지휘하고 있다.

자치구 종합질병예방통제센터 판멍광(範蒙光) 부주임은 흑사병 발생 원인을 조사하는 동시에 방역을 위한 다양하고 효과적인 조치를 취함으로써 확산을 통제 가능한 범주 안에서 차단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앞서 중국 언론은 전날 네이멍구 시린궈러맹 쑤니터우(蘇尼特) 좌기(左旗)에서 사는 2명이 흑사병 확진 판정을 받고 베이징으로 이송됐다고 밝혔다.

환자들은 지난 12일 정식으로 흑사병 판정을 받았다. 지난 5월 네이멍구 자치구에 인접한 몽골에서 흑사병으로 2명이 사망한 바 있다.

흑사병은 중국 법정 갑류 전염병으로 사망률이 높고 전파력이 빠르며 잠복기간이 1~6일에 이를 정도로 치명적이다.

특히 패혈성과 폐 흑사병 경우 제대로 치료를 하지 않을 경우 치사율이 30~100%에 달한다.

이와 관련해 일부 언론은 지난 9월 중국에서 이미 1명이 흑사병으로 인해 사망한 사례가 있다고 전했다.

지난 2014년 10월에는 간쑤성 주취안(酒泉)에서 흑사병이 발생해 1명이 숨지고 41명이 격리됐다.

당시 주취안시 쑤베이(肅北) 몽골족 자치현에서 가축을 키우는 남성(45)이 페스트에 걸려 숨졌다.

간쑤성에서는 그해 7월에도 페스트로 1명이 목숨을 잃었다는 발표가 있었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