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보건의료노조 "의대 증원땐 파업? 명분없는 국민 협박"

등록 2024.02.06 13:32:15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보건의료노조 6일 입장문…"집단행동 명분·설득력 없어"

[서울=뉴시스] 김선웅 기자 = 1500~2000명 규모로 예상되는 2025학년도 의과대학 정원 증원 정부 발표가 예정된 6일 서울 소재 의과대학 앞에서 시민들이 오가고 있다. 이날 오후 세시로 예정된 보건복지부의 발표에는 의과대학을 포함해 간호학과, 치과, 한의학과 증원 규모도 함께 발표될 것으로 알려졌다. 대한의사협회는 정부가 의대 정원을 증원할 경우 즉각 총파업에 돌입하겠다는 입장을 내놓은 상태다. 2024.02.06. mangusta@newsis.com

[서울=뉴시스] 김선웅 기자 = 1500~2000명 규모로 예상되는 2025학년도 의과대학 정원 증원 정부 발표가 예정된 6일 서울 소재 의과대학 앞에서 시민들이 오가고 있다. 이날 오후 세시로 예정된 보건복지부의 발표에는 의과대학을 포함해 간호학과, 치과, 한의학과 증원 규모도 함께 발표될 것으로 알려졌다. 대한의사협회는 정부가 의대 정원을 증원할 경우 즉각 총파업에 돌입하겠다는 입장을 내놓은 상태다. 2024.02.06.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백영미 기자 = 정부의 의대 증원 발표를 앞두고 대한의사협회(의협)가 총파업을 예고하자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보건의료노조)이 "명분도 설득력도 없는 억지"라고 밝혔다.

보건의료노조는 6일 입장문을 내고 "의협은 의대 정원 확대에 반대해 집단 진료 거부까지 불사하겠다며 대국민 협박을 하고 있다"며 이 같이 말했다.

이들은 "의사 수가 늘어나면 의사인력 부족으로 파행 진료를 겪고 있는 곳에 필요한 의사 인력을 배치할 수 있게 되고, 양질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면서 "의사 수 확대는 적정인력 배치의 필수조건"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의사 수가 늘어나야 의사 자격이 없는 의료인들이 수술·시술·처치·처방·설명·회진 등을 대리하는 의료 현장의 불법의료를 막을 수 있고, 의료서비스 질을 높일 수 있다"고 말했다.

또 "정부의 일방적이고 졸속적인 의대 정원 확대 추진에 반대해 집단행동에 나서겠다는 의협의 주장은 설득력이 없다"면서 "보건복지부는 의협과 28차례 의료현안협의체를 개최했고, 현장과 소통하는 자리 33회, 지역별 의료 간담회 10회 등 충분한 의견 수렴과정을 거쳤다"고 말했다.

이들은 "더 이상 의대 정원 확대를 반대하지 말고, 국민들에게 양질의 의료 서비스를 균형있게 제공하기 위해 의대 정원으로 늘어난 의사인력을 어떻게 필수의료·지역의료·공공의료에 배치해 올바른 의료체계를 구축할 것인지 사회적 합의를 이룩하기 위한 대화의 장에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한편, 이날 의협은 정부가 의대증원을 강행할 경우 즉각 총파업 절차에 돌입하겠다고 밝혔다. 총파업이 현실화할 경우 2000년 의약분업과 2014년 비대면 의료 도입, 2020년 의사 증원 방안 논의 등에 이어 네 번째가 된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