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윤석열, 中 '한복공정' 논란에 "고구려·발해는 남의 것 아냐"

등록 2022.02.05 16:30:26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사드 추가 배치, 제주는 상식적으로 어렵다"

'대장동 몸통은 국힘' 與 공세에 "민주당 시장이 설계·집행한 일"

[서귀포=뉴시스] 전신 기자 =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5일 제주 서귀포 강정해오름노을길에서 입장문을 발표하고 있다. 2022.02.05. photo1006@newsis.com

[서귀포=뉴시스] 전신 기자 =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5일 제주 서귀포 강정해오름노을길에서 입장문을 발표하고 있다. 2022.02.05. [email protected]

[서울·제주=뉴시스] 박준호 김승민 기자 =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는 5일 사드 추가 배치 공약과 관련해 제주도는 후보군 지역이 아니라고 선을 그었다.

윤 후보는 이날 오후 제주 강정마을을 방문한 후 기자들과 만나 "저는 사드 추가배치가 수도권 방어를 위해서, 북한의 핵 미사일이 고도화되고 있기 때문에 요격을 위한 방어, 자위권 방어 차원에서 추가 배치가 필요하다는 말씀을 드렸다"며 "위치선정은 군사전략 전술적 문제라 제가 이 자리에서 말씀드리기 어렵지만 상식적으로 제주는 좀 어렵지 않겠나 이런 생각"이라고 말했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가 제주 2공항과 해저터널 KTX 개통 동시 추진을 검토하는 데 대해 윤 후보는 "일단 공항 건립이 우선"이라며 "해저터널은 비용이 지금 추산으로 한 17조원 정도가 소요가 되는데 공항 건립을 먼저 하고 또 제주에 들어오는 관광객이나 여러 방문자들의 수요나 이런 거를 감안을 해서 판단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베이징 동계올림픽 개막식에 한복이 등장해 중국의 '문화공정' 논란이 일고 있는 데 대해선 "고구려와 발해는 대한민국의 자랑스럽고 찬란한 역사이다. 남의 것이 아니다"라고 일침했다.

곽상도 전 국민의힘 의원이 대장동게이트 관련 '50억 클럽' 의혹으로 구속 수감되자, 대장동 몸통은 국민의힘이라고 공세를 펴는 민주당에 대해선 "민주당의 황당한 떠넘기기, 지어내기 선전선동은 국민이 다 아실 것"이라며 "곽상도 전 의원 하나를 갖고 국민의힘 게이트라고 하는데, 아니 이 대장동의 도시 설계와 집행이 누구 손에 의해서 이뤄졌느냐"고 반문했다.

윤 후보는 "곽상도 전 의원에 대한 사법처리를 넘어서 대장동에서 벌어들인 천문학적 수익이 도대체 누가 그 돈을 쓰고 현재 그 돈은 어디에 있는지, 그 자금의 추적을 하지 않고 이렇게 뭉개고 앉아있는 정부와 수사당국의 행태가 황당할 뿐"이라며 "그 천문학적인 돈이 지금 김만배 이런 분들 그런 사람들 호주머니나 그 명의 계좌에 그대로 있겠나. 그걸 왜 확인을 안 하나. 민주당 시장(이재명)이 설계해서 집행한 일이면 책임귀속을 정확히 가리고 천문학적 돈이 현재 어디로 가있는지 정확하게 밝혀야 한다"고 말했다.

안철수 국민의당 대선 후보가 소모적인 사드 추가배치 찬반 논쟁보다 한국형 미사일 방어체계 완성이 더 시급하다고 한 주장에 대해선 "괜히 쓸 데 없는 사드를 우리가 왜 들여오겠느냐"며 "지금 우리가 갖고 있는 미사일 방어 시스템은 40㎞ 고도 아래쪽이다.  북한의 고각미사일과 초음속 미사일이 자꾸 개발되고 핵미사일 고도화되는 상황이기 때문에 그런 고각 미사일, 사람으로 말하면 머리를 향해 날아오는 공격을 막기 위해선 사드 도입이 일단은 필요하다"고 반박했다.

노무현 전 대통령을 언급하는 발언 도중 울컥한 데 대해선 "노무현 대통령께서는 순수한 열정, 그리고 원칙 있는 국정운영을 해오신 분인데 본인을 지지하는 정치 세력에서 극구 반대하는 것을 국익이라는 한 가지 원칙에 입각해서 해군기지 건설 결단을 내리는 것이 얼마나 힘들고 고독한 결정이었을까 하는 것을 생각해 보니까 잠시 제가 노무현 대통령의 당시 입장을 좀 생각하게 됐었다"고 설명했다.

윤 후보는 "강정마을을 두고 말로는 하와이 진주만 같이 해군기지와 관광과 이런 산업들이 동시에 발전하는거라고 말씀하지만 실제 실행은 잘 되지 못하고 있다"며 "저는 이 나라의 핵심 전략 요충지인 강정마을이 해군기지와 함께 우리 제주 도민들 뿐만 아니라 대한민국 국민들이 많이 사랑하고 아끼는 지역이 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해군기지 반대 시위 관련 주민 사면 여부에 대해선 "아직도 사법 절차가 완결이 안 된 분들이 많이 있는 것으로 알고 있고 제가 사면이라는 문제에 대해서 지금 이렇게 하겠다, 저렇게 하겠다고 말씀드릴 수는 없는 입장이지만 어쨌든 강정이 우리의 평화와 통합의 출발점이라고 제가 말씀드린 것을 잘 생각해 주시기 바라겠다"고 언급했다.

제주 4·3 사건 민간인 피해 과정에서 이승만 전 대통령의 책임이 얼마나 된다고 보느냐는 질문에는 "4·3과 관련해서는 무고한 민간인 희생자의 피해에 대해서 인권과 민주주의라는 가치에서 저희가 자유민주주의 국가의 국민으로서 그 의무와 예를 다해야 된다는 말씀만 드리겠다. 거기에 대한 역사적인 경위와 이런 부분은 제가 이 자리에서 말씀드리기 어려운 것 같다"며 즉답을 피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