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유통업계, 트럼프 '한미FTA 폐기' 언급 파장 예의주시

등록 2017.09.04 11:37:01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유통업계, 트럼프 '한미FTA 폐기' 언급 파장 예의주시

【서울=뉴시스】김종민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폐기' 검토를 지시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대미 수출 비중이 큰 국내 자동차, 철강업계뿐 아니라 유통업계도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4일 업계에 따르면 트럼프의 발언이 한미FTA 폐기보다는 내수시장 추가 개방 등 미국에 유리한 방향으로 개정하기 위한 '엄포성 발언'으로 관측하고 있다. 하지만 '재협상'이나 '폐기' 모두 직접적인 타격은 크지 않더라도 수년째 저성장에 빠져있고 규제에 얽메인 유통업계의 고민을 더욱 커지게 하는 변수가 될 전망이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 자료를 살펴보면 미국의 한국 수입시장 점유율은 FTA 발효 전인 2011년 8.50%에서 지난해 10.64%로 2.14%p 상승했다. 이 기간 대미 수입 농축수산물은 중량 기준 11.6% 증가했으며 과실류 21.9%, 오렌지 42.4%, 식물성유지 80.4%, 커피류 84.8%, 육류 17.0%, 쇠고기 46.1%, 수산물 5.9%의 증가율을 나타냈다.

당초 한미FTA발효 이후 미국산 농산물이 우리 식탁의 대부분을 차지하게 될 것이라는 우려가 있었으나 오렌지, 체리, 포도, 와인 등 일부 품목을 제외하곤 유통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예상만큼 크지 않았다. 하지만 재협상 결과에 따라 미국산 농축수산물 수입확대 및 관세 폐지 등이 추가될 경우 예전의 우려가 현실화할 가능성이 높다는 지적이다.

게다가 가뜩이나 불황형 소비패턴에 따라 '가성비(가격대비 성능)' 높은 상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선호도는 높아져 유통업체들은 수입산 상품 소싱을 강화하며 판매비중을 늘린 상황에서 향후 FTA재협상을 통해 미국산 제품이 늘어날 경우 난처한 상황에 몰릴 수도 있다.

한 대형마트 관계자는 "과거 한미FTA 이후 유통산업 규제가 풀릴 것이라는 기대도 있었지만 오히려 더 강화됐고, 새 정부 이후 규제강도는 더 거세졌다"며 "이런 가운데 소상공인, 중소기업 지원 확대 등 유통업계 역할론이 커진 상황에서 가격경쟁력을 바탕으로 한 미국산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게 된다면 국산 제품의 설 자리를 지키지 못했다는 책임의 화살이 유통업게에 쏟아질 수 있다"고 밝혔다.

한편, 한미 FTA가 폐기될 경우엔 소고기, 와인, 오렌지 및 가공식품 등 미국산 제품의 가격인상 요인이 되는 반면 한-유럽(EU) FTA, 한-칠레 FTA 등 수입선 다변화 및 수출국간 경쟁을 유발시켜 수입단가를 인하시킨 상태라 직접적인 피해는 없을 전망이다.

업계 관계자는 "철강, 섬유, 자동차 등 다른 산업과 달리 이미 한미FTA로 미국 농식품업계가 이득을 보고있는 상황이라, 재협상을 통해서도 지금과 크게 달라질 것은 없을 것으로 보인다"면서 "직접적인 피해보다는 다른 산업이나 내수경기에 미칠 여파에 더 관심이 쏠리지만, 향후 상황 변화시 제품 소싱이나 단가변화 등 측면에서 고려해야할 변수임에는 틀림없다"고 말했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