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광주·전남, 마약중독↑…적발 어렵고 치료기관 단 2곳

등록 2022.05.11 08:00:00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광주 지역 압수 필로폰 3년간 62g→298g 5배 증가

수사망 피하기 위해 가상계좌 이용해 마약 밀거래

"치료기관·전문성 부족해 타지역에서 치료하는 실정"

광주·전남, 마약중독↑…적발 어렵고 치료기관 단 2곳


[광주=뉴시스]김혜인 기자 = 광주·전남 지역 젊은 층 사이에서 향정신성 약물 과다 복용 사례가 잇따르고 있지만 물밑 거래·유통이 이뤄져 적발이 어려운데다 약물 중독자들을 치료할 기관도 턱없이 부족해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11일 광주경찰청 등에 따르면 광주 지역에서 마약류로 분류돼 압수된 필로폰(향정신성의약품)은 ▲2019년 62g ▲2020년 347g ▲2021년 298g 등으로 최근 3년 사이 5배 가량 늘었다.

반면 마약 적발건수는 되레 줄었다. 광주지역 마약류 사범 검거 사례는 ▲2019년 244건 ▲2020년 304건 ▲2021년 153건 등으로 집계됐다. 2021년의 경우 전년도와 비교해 절반 정도 검거율이 줄었다. 전남의 경우도 ▲2019년 219건 ▲2020년 280건 ▲2021년 232건 등을 기록해 전년도보다 검거율이 17.1% 감소했다.

현재 젊은 층 사이에선 이른바 향정신성의약품의 일종인 이른바 '물뽕', 케타민, 엑스터즈 등이 유행처럼 번지고 있다.

이들은 흥을 돋구기 위해 일정 금액을 내고 마약류를 구매, 복용한 뒤 클럽에 입장하거나 삼삼오오 술자리를 갖기도 한다.

최근 경찰에 적발된 20대 남성들의 사례가 단적인 예다. 광주 동부경찰서는 마약류를 복용한 혐의(마약류관리법 위반)로 20대 남성 3명을 입건해 조사하고 있다. 이들은 지난달 말부터 이달 초 사이 각자의 자택에서 알약 형태의 향정신성 물질을 복용한 혐의를 받는다.

지난 4일 이들과 함께 광주 한 클럽 안팎에서 시간을 보낸 A씨는 뒤 귀가 도중 호흡 곤란 증상을 보인 뒤 치료 중 숨졌다. 숨진 A씨의 혈액에선 향정신성 약물 두 가지가 발견됐는데, 이 중 한 가지 약물은 치사량에 이른 것으로 조사됐다. 목숨마저 앗아갈 수 있는 마약류의 위험성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약물에 취해 극단적인 선택을 한 사례도 있다.

20대 남성 B씨는 중국 유학시절 강력한 환각제의 한 종류인 LSD와 대마초를 접했다. B씨는 지난해 2월 지역 한 클럽에서 직장동료 C씨와 함께 약물을 복용했다. 이후 귀가한 동료 C씨는 당일 심한 환각과 충동에 시달리다 극단적 선택을 했다.

B씨는 약물 중독의 심각성을 알게 돼 현재 상담과 치료를 병행하고 있다.
광주·전남, 마약중독↑…적발 어렵고 치료기관 단 2곳


마약은 환각·환청·환시 증상을 일으켜 일상생활을 어렵게 하고 심할 경우 사망과 극단적인 선택을 야기해 즉각적인 제재와 체계적인 치료가 시급하다.

그러나 현재 마약 거래책들이 해외에서 약물을 밀반입한 뒤 전자(가상)화폐를 이용해 약물거래를 하고 있어 수사에 적잖은 어려움이 따르고 있다.

경찰 관계자는 "거래책들이 대금을 비트코인 등 가상화폐로 주고 받기 때문에 계좌가 사라지거나 계좌를 여러 차례 옮기는 경우 추적이 쉽지 않고 시간도 많이 소요된다"며 "수사 당국도 이를 대응하기 위해 다각도로 수사망을 넓히고 있다"고 밝혔다. 

약물 중독을 치료할 기관과 인력도 부족한 실정이다.

한국마약퇴치본부 광주·전남지부는 매달 10여 명의 약물중독자를 상담하고 있지만, 중독 치료를 지속적으로 관리할 기관이 부족하다고 설명한다.

현재 전국 마약 중독자 치료보호시설로 지정된 곳은 21곳이다. 이 중 광주·전남권 지정 병원은 광주시립정신병원과 국립나주병원, 단 2곳 뿐이다.

한국마약퇴치본부 광주전남지부 강미량 상담실장은 "치료기관이 있긴 하지만 중독자들을 치료할 만한 전문성이나 인력이 부족해 현재 상담자들을 다른 지역으로 보내 치료를 받게 하는 실정"이라며 "마약중독자 중 30%가 치료 이후 다시 약물중독에 빠진다. 처벌과 별개로 정부에서 이들을 위한 입원·치료·상담 지원책을 체계적으로 마련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