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경기도 개발 폐섬유 재활용 여과필터 '실내공기질 개선 효과'

등록 2024.01.02 09:14:22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산·학·관 협력 연구개발(R&D)사업 추진…폐기물 저감 효과도

폐섬유 여과필터 설치 모습(사진=경기도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폐섬유 여과필터 설치 모습(사진=경기도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수원=뉴시스] 이병희 기자 = 경기도가 산·학·관 협력으로 개발 중인 폐섬유 재활용 여과필터가 실내공기질 개선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는 폐섬유를 활용한 여과필터 제작으로 자연 환기가 어려운 지하 역사의 실내공기질을 개선하고, 폐섬유 재활용으로 폐기물 저감에 기여하는 등 두 가지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2일 경기도에 따르면 도는 지난 2022년 1월부터 올해 12월까지 ㈜세진플러스와 안양대, 김포시, 김포골드라인㈜ 등과 산·학·관 협력사업으로 폐섬유 재활용 에어필터를 활용한 지하철 역사 미세먼지 제거 필터 모듈 개발하고 있다.

의류 제작 과정에서 발생하는 섬유폐기물을 활용해 대기오염물질 여과필터를 만든 것으로, 지난해 4월 1차로 폐섬유 15% 함량 여과필터를 김포골드라인 운양역 지하 역사 공조기에 설치해 6개월 동안 모니터링했다.

그 결과 실내공기질 오염도 평균값은 19.3㎍/㎥, 최댓값이 46.3㎍/㎥이었다. 이는 기존 필터를 사용했던 2022년 실내공기질 오염도 평균값 24.1㎍/㎥, 최댓값 52.5㎍/㎥와 비교해 각각 20%, 11.8% 낮은 수준이다. 초미세먼지 제거율은 최소 80%에서 최대 97.2%까지 나왔다.

도는 폐섬유 함량 증가실험을 위한 여과필터를 지난달 운양역 공조기에 설치해 올해 9월까지 2차 지하 역사 실내공기질 모니터링을 통해 성능을 확인할 계획이다.

차성수 경기도 기후환경에너지국장은 "업사이클 여과필터가 대기오염물질로부터 도민 건강을 보호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