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양가 6억 이하' 청년청약통장, 남양주·하남 등 3기 신도시 노려볼 만
최고 4.5% 이율, 2%대 최장 40년 대출 연계
분양가 6억, 전용면적 84㎡ 이하 주택 대상
서울 6억 이하 분양, 10채 중 1채 그쳐
수도권은 3기신도시 등 공공분양 위주일 듯
![[서울=뉴시스] 홍효식 기자 = 서울 중구 남산에서 바라본 아파트 모습. 2024.02.05. yesphoto@newsis.com](https://img1.newsis.com/2024/02/05/NISI20240205_0020221585_web.jpg?rnd=20240205130507)
[서울=뉴시스] 홍효식 기자 = 서울 중구 남산에서 바라본 아파트 모습. 2024.02.05. [email protected]
청년주택드림통장은 납입금액에 대해 최고 연 4.5% 금리를 제공한다. 납입금액의 40%까지는 소득공제를, 이자소득 500만원까지는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다.
통장을 이용해 청약에 당첨되면 분양대금의 최대 80%까지 2%대 낮은 금리로 대출해주는 '청년주택드림대출'과 연계된다. 대출은 최장 40년까지 가능하다.
청년주택드림통장의 가입 대상자는 19~34세의 연소득 5000만원 이하의 청년, 청년주택드림대출의 대상은 청년청약통장을 사용해 청약에 당첨된 20~39세의 무주택자다. 정부는 청년드림대출의 구체적 사항을 올해 말 확정해 발표할 예정이다.
청년층이 주택구입 자금을 모으고 저리의 대출까지 지원하는 혜택이지만 분양 받을 수 있는 주택은 다소 아쉬움이 남는다. 대상 주택이 전용면적 85㎡, 분양가 6억원 이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부동산R114가 지난해 1월부터 11월까지 서울에서 분양된 약 1만6400 가구를 조사한 결과 6억원, 전용면적 85㎡ 이하는 전체의 약 9.8%, 1610여 가구에 불과했다.
서울에서는 공공분양도 6억원 이하로는 나올 가능성이 적다. 지난달 사전청약이 진행된 동작구 대방A1블록의 경우 전용면적 59㎡가 약 7억7700만 원, 84㎡는 10억8000만 원으로 책정됐다.
다만 토지는 공공이, 건축물은 수분양자가 소유하는 토지임대부 주택이라면 가능하다. 마곡16단지의 경우 59㎡는 분양가 3억6000만원에 월 임대료 58만원, 84㎡는 각각 4억9000만원에 82만5000원이다.
수도권 아파트 가격도 최근 민간 분양을 중심으로 분양가가 치솟는 상황이어서 청년들이 몇 년 간 저축을 한 후 청약에 당첨되는 시점에는 6억원이라는 조건을 만족하기가 쉽지 않을 전망이다.
이에 사실상 청년청약통장이 쓰일 수 있는 대상 주택은 3기신도시에서 공급되는 공공분양일 가능성이 높다. 현 정부는 3기신도시 등지에 공공분양주택 '뉴:홈'을 50만호 공급할 계획이다.
일각에서는 대상 가액을 특례보금자리론이나 신생아특례대출과 같은 9억원으로 높여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지만 정부는 재정이 한정적인 만큼 쉽지 않다는 입장이다.
정부의 주거복지정책이 전체 주택을 놓고 볼 때 고가에 속하는 서울 신축 분양까지 대상으로 하기는 어렵다는 시각도 있다. 서진형 공정주택포럼 공동대표(경인여대 교수)는 "9억원으로 현실화 하면 좋겠지만 주거복지 대상은 사회적 합의가 이뤄질 수 있는 수준에서 결정되는 것이 맞다"며 "현재 정부의 정책도 주거취약계층에 지원이 집중되던 방식에서 다양한 계층에 주택을 공급하는 방향으로 가고 있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