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경기 대중교통②] '서울보다 17배 커'…도, 기후동행 어려운 이유는?

등록 2024.03.27 06:00:00수정 2024.03.27 06:41:29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거리와 교통수단별로 정기권 금액 다르게 책정해야해

정기권 도입시 예상 구매인원 20만명, 7.4% 불과

서울과 인접하지 않은 시·군 입장 달라, 일괄 적용 불가

경기지역 광역버스 (사진=뉴시스 DB) photo@newsis.com

경기지역 광역버스 (사진=뉴시스 DB) [email protected]

[의정부=뉴시스] 김도희 기자 = 국토교통부와 경기·서울·인천에서 각각 대중교통 지원 정책을 추진 중인 가운데 서울시는 가장 먼저 기후동행카드를 시행하며 경기도 도입을 주장하고 있다.

서울시는 경기도가 기후동행카드 사업에 참여하면 서울로 출퇴근하는 시민들이 더욱 편리하게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다는 입장이지만 경기도는 기후동행카드와 같은 '정기권' 방식 자체가 경기도의 교통 특성과 맞지 않아 적용할 수 없다고 맞서고 있다.

27일 경기도에 따르면 지난 1월 서울시는 기후동행카드 사업을 도입한 이후 경기도에도 기후동행카드 도입을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도는 경기도의 교통 체계를 고려하면 기후동행카드와 같은 정기권 방식 자체가 도민들의 혼란만 야기할 뿐 적합하지 않다고 설명한다.

그 이유는 먼저 경기도에서 이용하는 교통수단이 일반버스와 지하철, 광역버스, 신분당선, GTX 등 매우 다양하기 때문이다.

또 경기도는 서울 면적의 17배로, 지역 간 거리비례에 따른 다양한 요금 차이가 발생해 정기권을 도입하게 되면 교통수단과 거리에 따라 각각 다른 가격으로 정기권을 발행해야 한다.

예를 들어 지하철과 버스를 이용하는 일반 정기권의 경우 수원과 의정부는 월 6만2000원이 가능하다고 해도 서울과 거리가 더 먼 평택·안성은 월 9만5000원의 정기권을 만들어야 한다.

특히 경기도는 광역버스의 경우 거리에 따라 2800원부터 3500원까지 차이가 있다.

따라서 광역버스를 이용할 때 수원에서 서울 기준으로 월 11만원이 가능하지만 평택에서 서울은 월 14만원으로 다르게 적용해야 한다.

일반 지하철보다 요금이 비싼 신분당선의 경우는 월 12만원, GTX는 월 13만원으로 교통수단 별로도 각각 다르게 책정이 필요하다.

만약 거리나 교통수단에 상관없이 일정한 요금의 정기권을 도입하면 시·군별 대중교통 요금에 차이가 있는 현 상황에서 지자체별 지원에 형평성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정기권 방식은 단일한 교통수단 또는 요금체계가 유사한 경우에는 효과적이지만 그렇지 못한 경기도와는 상황이 맞지 않는 것이다.

[의정부=뉴시스] The 경기패스 BI. (사진=경기도청 제공) 2024.03.20 photo@newsis.com

[의정부=뉴시스] The 경기패스 BI. (사진=경기도청 제공) 2024.03.20 [email protected]

특히 정기권을 도입하면 전국적으로 사용이 불가능하지만 The 경기패스를 이용하면 전국 어디에서나 사용이 가능하고 매달 충전을 해야하는 번거로움도 없어 편리하다.

기후동행카드의 경우에는 월 40여회 이상을 사용해야 혜택이 있는데 the 경기패스는 월 15회 이상만 사용하면 환급을 받을 수 있어 대중교통 사용 빈도가 적은 도민들도 폭 넓게 지원할 수 있다는 것도 장점이다.

도는 만약 월 6만2000원의 기후동행카드와 같은 정기권을 도입하더라도 예상 구매 인원은 20만명으로 경기도 대중교통 이용객의 7.4%에 불과하다고 보고 있다.

The 경기패스의 환급비율과 기후동행카드 구매비용을 비교했을 때 약 월 8만원을 이용해야 정기권 혜택이 더 큰데, 도내 대중교통 이용자 중 8만원 이상 사용자는 20만명 정도밖에 없다는 것이다.

반면 월 15회 이상 대중교통을 이용해 The 경기패스를 이용할 인원은 159만명으로 60%를 차지한다는게 경기도의 설명이다.

정기권 도입에 대해 31개 시·군별 입장이 각기 다른 점도 기후동행카드 참여가 여러운 이유 중 하나다.

경기도 통합 정기권 도입을 위해서는 시·군 참여가 필요하지만 서울 인근의 시·군과 그렇지 않은 시·군들의 입장이 다르기 때문이다.

김상수 경기도 교통국장은 "교통비 정책은 지역별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정책이어야 한다"며 "도는 다양한 교통수단과 서울보다 17배 넓은 지역적 교통 특성을 반영한 경기도만의 맞춤형 정책으로 The 경기패스를 설계한 것"이라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