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1기 신도시 1번 재건축은?…선도지구 선정 기준·규모 오늘 발표

등록 2024.05.22 05:00:00수정 2024.05.22 09:02:52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국토부, 1기 신도시 단체장 간담회 통해 계획 확정

용적률 상향 등 규제 완화 혜택…연말께 최종 선정

분당·일산 선정 규모·이주단지 전세난 대책 관심

[고양=뉴시스] 경기도 고양시 일산 신도시 일대 아파트 단지의 모습. 2024.05.22. photo@newsis.com

[고양=뉴시스] 경기도 고양시 일산 신도시 일대 아파트 단지의 모습. 2024.05.22.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이연희 기자 = 정부가 22일 1기 신도시(분당·일산·평촌·산본·중동) 중 재건축 규제 완화 혜택을 처음 받게 될 선도지구 선정 규모와 기준을 확정해 발표한다.

재건축을 추진하는 동안 각 도시별 전세 매물이 줄고 가격이 급등하는 '전세대란'을 막기 위한 이주대책도 함께 내놓는다.

국토교통부는 이날 오전 10시 정부서울청사에서 국토부-경기도-1기 신도시 단체장 간담회를 통해 '1기 신도시 선도지구 선정계획'을 확정할 예정이다. 간담회가 끝난 후에는 합동브리핑을 열어 선정기준과 규모, 이주단지 대책 등을 발표할 계획이다.

선도지구는 조성 20년 이상 경과한 100만㎡ 이상 면적의 노후계획도시가 특별정비구역으로 정해지면 안전진단 완화·면제, 용도지역 변경, 용적률 상향 등 각종 규제를 완화하는 제도다. 전국 신도시 중 혜택이 처음 적용되는 1기 신도시는 2027년 착공, 2030년 입주가 목표로, 재건축에 소요되는 시간을 최대한 단축하는 것이 핵심이다.

국토부는 우선 1기 신도시 중 도시별로 총정비 대상 물량의 약 5~10% 수준에서 지자체 선도지구 규모 및 개수 등을 협의해왔다. 5개 신도시 중 물량이 적은 평촌·산본·중동은 1구역(약 4000세대), 물량이 많은 분당(약 9700세대)과 일산(약 6900세대)은 3~4구역 내외에서 선정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선도지구 선정 경쟁이 가장 뜨거운 분당은 최소 8개의 통합단지가 선도지구 선정을 추진하고 있다. ▲이매 풍림·선경·효성 ▲서현 시범단지(한신·한양·우성·현대) ▲한솔마을 1·2·3단지 ▲정자일로(임광보성·한라3·화인유천·계룡·서광영남) ▲까치마을·주공 5단지 ▲양지마을(한양1·2단지 및 금호1·3단지, 청구2단지) 등이 대표적이다.

일산의 경우 ▲강촌마을 1·2단지 및 백마마을 1·2단지 ▲오마학군단지(문촌 1·2단지 및 후곡 7·8단지) ▲후곡마을 3·4·10·15단지 등이 고양시 사전컨설팅을 받는 등 경쟁을 예고한 상황이다. 1구역 수준에서 선정하게 될 안양 평촌, 부천 중동, 군포 산본 등도 복수의 단지가 선도지구 선정을 추진 중이다.

국토부는 주민 동의율과 세대 당 주차장 대수 등 노후도와 주민 불편, 통합정비 규모, 주변지역 확산 가능성 등 정량적인 기준을 중심으로 선정한다는 원칙을 세운 상태다. 그 중에서도 단지 규모가 크면서 주민들의 동의율이 높을 수록 유리하다. 재건축 추진 과정에서 갈등이 발생하는 등 반대 동의율이 높으면 감점 요인이 된다.

국토부는 이날 확정된 선정기준과 규모에 따라 추후 신청을 받고 지정 평가를 거쳐 연말께 선정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정부는 이날 원주민의 이주단지 대책도 함께 발표한다. 1기 신도시 내 재건축이 이뤄지면 인근의 전세 매물 공급이 줄고 가격은 급등하는 전세대란이 벌어질 우려가 크기 때문이다. 국토부는 가급적 전세시장 영향을 최소화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