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김상호 동구의원 "중대동 방치 현충비, 현충시설로 지정해야"

등록 2024.05.24 17:54:57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대구=뉴시스] 대구 동구 중대동에 조성된 현충비. (사진=대구 동구의회 제공) 2024.05.24.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대구=뉴시스] 대구 동구 중대동에 조성된 현충비. (사진=대구 동구의회 제공) 2024.05.24. [email protected] *재판매 및 DB 금지

[대구=뉴시스]정재익 기자 = 다가오는 호국보훈의 달을 맞아 대구 동구 중대동에 방치된 현충비를 현충 시설로 지정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김상호 대구 동구의원이 24일 열린 제335회 임시회 제2차 본회의에서 5분 자유발언을 통해 "지역 현충 시설 실태 조사와 철저한 유지 관리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김 의원의 조사에 따르면 올해 국가보훈부 현충시설정보서비스에 등록된 현충 시설은 독립운동시설 989개, 국가수호시설 1316개 등 총 2305개소다. 

대구의 현충 시설은 총 49개소다. 이 가운데 동구는 탑과 기념비 등 6개소로 집계됐다.

현충 시설 관리는 건립한 당사자가 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국가보훈부에서 현충 시설로 등록하면 국가나 지방자치단체에서 관리하게 된다.

이와 관련 김 의원은 "대구시와 동구청 관련 부서에 미지정 현충 시설 현황자료를 파악한 결과 정확한 실태를 파악하지 못하고 있었다"며 "다만 일부 타 지자체에서는 미지정 현충 시설 현황을 개별적으로 파악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동구 중대동에 있는 현충비는 1962년 8월 국가보훈부의 전신인 대구지방원호청에서 건립했음에도 불구하고 수풀에 덮쳐 구석진 곳에 방치되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동구청은 미지정 현충 시설의 데이터베이스 구축과 관리, 유지관리 체계 구축, 현충 시설 홍보 등을 통해 중대동 현충비가 현충 시설에 지정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