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김해·청주공항에 발리·울란바토르 직항 노선 생긴다

등록 2024.05.26 11:00:00수정 2024.05.26 11:30:53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국토부 항공교통심의위, 국제선 운수권 배분

동아시아 중심 LCC 중앙·서남아 등으로 확대

[부산=뉴시스]지난 4월 부산 강서구 김해공항 국제선터미널이 확장 개관한 모습. (사진=부산시 제공) 2024.05.26.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부산=뉴시스]지난 4월 부산 강서구 김해공항 국제선터미널이 확장 개관한 모습. (사진=부산시 제공) 2024.05.26. [email protected]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이연희 기자 = 김해(부산), 청주 등 지방공항에서도 직항으로 인도네시아 발리와 자카르타, 몽골 울란바토르에 갈 수 있게 된다.

국토교통부는 지난 24일 열린 항공교통심의위원회에서 30개 노선의 운수권을 11개 국적 항공사에 이같이 배분했다고 26일 밝혔다.

이번에 배분한 운수권은 해당 국가와의 항공회담을 통해 확보했거나 운항 실적이 부족해 회수된 수량으로, 이번 조치로 지방발(發) 노선이 확충돼 지역 주민들의 국제선 이용 편의가 개선될 전망이다.

우선 지방공항발 인도네시아 직항노선이 신설된다. 부산-발리 노선(에어부산 주4회), 부산-자카르타 노선(진에어 주4회), 청주-발리 노선(티웨이 주3회)이 운항된다.

지방공항에서 몽골 울란바토르를 오가는 노선 운항 횟수도 늘어난다. 부산-울란바토르 노선은 진에어 주3회, 제주항공이 주1회 운항하며 에어로케이와 티웨이가 각 주3회 울란바토르 노선을 운영한다.

그간 동북아·동남아 위주로 운항했던 국내 저비용항공사(LCC)는 인도, 우즈베키스탄, 카자흐스탄, 키르기즈스탄 등 서남아시아와 중앙아시아에도 취항할 수 있게 된다.

이스타는 주2회 인천-카자흐스탄 알마티 노선을, 제주항공은 주3회 한-우즈베키스탄 노선을 운항한다. 티웨이는 서울/인도 뉴델리·뭄바이 노선을 주3회 운항 예정이다.

호주, 포르투갈 등 중장거리 노선에도 기존 운항사 외에 LCC를 포함한 다양한 신규 운항사가 추가된다. 한-호주 노선은 에어프리미아가 주1241석, 티웨이는 주300석을 운영하며, 한-포르투갈 노선의 경우 대한항공이 3회 운항한다.

김영국 국토부 항공정책관은 "올해 여객 수요가 많고, 경제협력이 강화되는 국가들을 대상으로 지방에서 출발하는 국제선 네트워크 확충에 중점을 두고 항공회담을 지속적으로 개최하며 운수권을 확보해 오고 있다"며 "실제 넓어진 하늘길을 체감하실 수 있도록 운수권을 배분받은 항공사들의 조기 취항을 독려하고, 앞으로도 소비자들이 필요로 하는 곳에 국제선이 원활히 공급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